DOI QR코드

DOI QR Code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al Labor Strategy of Childcare Teachers

보육교사의 정서표현규칙과 정서노동 수행전략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5.07.07
  • Accepted : 2015.10.19
  • Published : 2015.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inkage between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al labor strategy and the affects of the display rule factors on the emotional labor strateg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68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isplay rule percep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And the deep act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display rule education, commitment, fairness of display rule, and explicit display rule. Second, display rule percep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And the commitment to display rule has a positive effect on deep acting.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to help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emotional competence of childcare teachers.

이 논문은 보육교사의 직무에서 정서표현규칙의 하위요인과 정서노동 수행전략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서표현규칙 지각은 정서노동의 내면행동, 표면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행동은 정서표현규칙의 교육, 몰입, 공정성, 명확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규칙 지각은 표면행동, 내면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서표현규칙에 대한 몰입이 내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을 지원하고 교사의 정서관리 능력향상을 위한 교육방향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경 (2007). 감정 노동에서 표현 규칙의 공정성에 대한 지각과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원경, 김민수, 오원경 (2012). 감정노동에서 표현규칙의 공정성에 대한 지각과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37(2), 57-72. https://doi.org/10.7737/JKORMS.2012.37.2.057
  3. 권정윤 (20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6), 269-289.
  4. 권혜진 (2009).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규칙의 중재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3(6), 255-276.
  5. 김경은, 홍순정, 임윤택 (2012). 서비스 종업원의 감정노동과 감정표현관리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27(1), 151-170.
  6. 김나리, 조영일 (2014). 국내 심리학 분야의 정서노동 연구 개관.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4(1), 85-108.
  7. 김상표, 하환호 (2009). 감정표현규칙의 명확성과 긍정적 정서전달 간의 관계: 조직의 관리기제에 대한 지각의 조절효과. 서비스경영학회지, 10(3). 321-342.
  8. 김수연 (2015).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박은혜, 고재천 (2008). 유아교사의 부모, 원장, 동료교사에 대한 정서적 지형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2(4), 139-166.
  10. 백승근, 신강현, 허창구 (2011). 서비스직 종업원의 정서노동 과정에서 정서지능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스트레스 교류모형과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및 조직, 24(2), 429-455.
  11. 백승근, 신강현, 김완석, 유지훈, 한영석 (2010). 조직의 정서표현규칙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노동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1), 27-51.
  12. 백영숙, 강병재 (2014).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179-200.
  13. 백윤정, 김보영 (2014). 직무관련 부정정서와 표면행위: 감정소진과 자기 감정인식의 조절된 매개모형. 인사조직연구, 22(4), 71-101.
  14. 성연옥 (2013). 감정노동의 개념화 및 선행변수에 관한 연구. 경영컨설팅 리뷰, 4(1), 63-85.
  15. 안혜정, 이승연 (2014).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77-103.
  16. 안혜준 (2010). 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 과정의 의미탐색.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4(4), 287-314.
  17. 염지숙 (2005). 유아교육현장에서 돌봄의 실천과 한계. 유아교육연구, 25(5), 147-171.
  18. 이선미, 이승미 (2013). 영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6), 153-180.
  19. 이영미, 민하영 (2011). 영유아보육기관 교사의 표면적 정서노동과 직무소진 간 관계에서 원장, 동료교사, 학부모의 정서적 지지의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167-185.
  20. 이병임 (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3), 129-152.
  21. 이종각 (2013).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 정서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재원 (2014). 고객 상호작용 불공정성, 심층적 행위, 긍정정서 전달 행위사이 관계.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8(3), 211-232.
  23. 이진화 (200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진화, 박은혜 (2008). 개인 및 기관 정서변인이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5-27.
  25. 이춘복 (2013). 유아교사의 정서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3), 295-318.
  26. 이화석 (2013). 항공운송산업의 감정표현규칙, 감정노동 및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임지윤, 도승이 (2014).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1(1), 197-220.
  28. 조운주 (2007). 유아교사와 유아가 인식한 유아교사의 이미지 이해. 유아교육연구, 27(3), 315-335.
  29. 조중연 (2014). 감정노동 현장에서의 조절초점의 역할에 대한 연구: 조절초점의 매개와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전희진, 이재원(2013). 감정표현규칙 몰입에 관한 연구: 감정표현규칙 몰입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7(4), 37-64.
  31. 정옥분, 장순화, 임정화 (2007).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서울 : 학지사.
  32. 조혜진, 박효진 (2012). 유아교사의 정서조절책략과 직무소진 및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231-248.
  33. 조형숙 (2009). 유아교사의 교직윤리관련 딜레마에 나타난 갈등요인. 유아교육학논집, 13(2), 243-276.
  34. 최형성 (2014).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5), 271-292.
  35. 탁진국, 노길광, 이은경(2009).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4(4), 567-589.
  36. 황문희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적성 및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황혜신 (2010). 정서노동 및 자아탄력성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주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8(7), 23-32. https://doi.org/10.6115/khea.2010.48.7.023
  38. Ashforth, B. E., & Humphrey, R. H. (199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1), 88-115. https://doi.org/10.5465/AMR.1993.3997508
  39. Brotheridge, C. M., & Lee, R. T. (2002). Testing a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of the dynamics of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7(1), 57-67. https://doi.org/10.1037/1076-8998.7.1.57
  40. Brotheridge, C. M., & Grandey, A. A. (2002).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1), 17-39. https://doi.org/10.1006/jvbe.2001.1815
  41. Cote, S., & Morgan, L. M. (2002).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 regulati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qui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3(8), 947-962. https://doi.org/10.1002/job.174
  42. Day, C. (2000). Stories of chang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costs of commitment. In C. Day, A. Fernandez, T. Hauge, & J. Moller(Eds), The life and work of teachers:International perspectives in changing times. London: Falmer Press, 109-129.
  43. Day, C. (2011). A Passion for teaching, teaching as passion 열정으로 가르치기(박은혜, 이진화, 위수경, 조혜선 공역). 서울 : 파란마음(원판 2004).
  44. Diefendorff, J. M., Richard, E. M., & Croyle, M. H. (2006). “Are emotional display rules formal job requirements? Examination of employee and supervisor percep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9(2), 273-298. https://doi.org/10.1348/096317905X68484
  45. Diefendorff, J. M., Croyle, M. H. (2008). Antecedents of emotional display rule commitment. Human performance, 21(3), 310-332. https://doi.org/10.1080/08959280802137911
  46. Diefendorff, J. M., Croyle, M. H., & Gosserand, R. H. (2005).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2), 339-357. https://doi.org/10.1016/j.jvb.2004.02.001
  47. Diefendorff, J. M., & Gosserand, R. H. (2003). "Understanding the emotional labor process: A control theory perspective."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4(8), 945-959. https://doi.org/10.1002/job.230
  48. Diefendorff, J. M., & Richard, E. M. (2003).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display rule percep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2), 284-294. https://doi.org/10.1037/0021-9010.88.2.284
  49. Ekman, P. (1973). Darwin and facial expression: A century of research in review. New York:Academic Press.
  50. Gilstrap, C. M. (2005). Closing in on closeness: Teacher immediacy as a form of emotion lab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orado State University, Colorado Spring, Co.
  51. Goldstein, L., & Lake, V. E. (2000). “Love, love and more love for children”: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ar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8), 861-872.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31-7
  52. Goldstein, L. (2002). Reclaiming caring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PeterLang.
  53. Gosserand, R. H., & Diefendorff, J. M. (2005).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al labor: The moderating role of commit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6), 1256-1264. https://doi.org/10.1037/0021-9010.90.6.1256
  54. Grandey, A. A. (2000).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95-110. https://doi.org/10.1037/1076-8998.5.1.95
  55. Grandey, A. A., Fisk, G. M., & Steiner, D. D. (2005). Must service with a smile. Be stressful? The moderating role of personal control for American and French employe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5), 893-904. https://doi.org/10.1037/0021-9010.90.5.893
  56. Grandey, A. A. (2003).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nd deep acting as predictor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6(1), 86-96. https://doi.org/10.2307/30040678
  57. Hargreaves, A. (1998). The emotional politics of teaching and teacher development: With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leadership. International journal of Leadership in Education. 1(4), 315-336. https://doi.org/10.1080/1360312980010401
  58. Hargreaves, A. (2002). Teaching in a box: Emotional geographies of teaching. In C. Surgue & C. Day (Eds), Developing teachers and teaching practice(pp. 2-25). London: Routledge Falmer Press.
  59. Hess, U, & Bourgeois, P. (2010). You smile-I smile: Emotion expression in social interaction. Biological Psychology, 84(3), 514-520. https://doi.org/10.1016/j.biopsycho.2009.11.001
  60. Hochschild, A. (2009).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감정노동-노동은 우리의 감정을 어떻게 상품으로 만드는가 (이가람 역). 이매진(원판 1983).
  61. Hochschild, A. (1979).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5(3), 551-575. https://doi.org/10.1086/227049
  62. Hochschild, A.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3. Isenbarger, L., & Zembylas, M. (2006). The emotional labor of caring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1), 120-134. https://doi.org/10.1016/j.tate.2005.07.002
  64. Kremenitzer, J. P., & Miller. R. (2008). Are you a highly qualified, emotionally intelligent early childhood educator?. YC Young Children, 63(4), 106-112.
  65. Kruml, S. M., & Geddes, D. (2000).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The heart of Hochschild's 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1), 8-49. https://doi.org/10.1177/0893318900141002
  66. Leavitt, R. L. (2014). Power and emotion in infant-toddler day care, 어린이집에서의 권력과 정서 Power and Emotion at Daycare (양옥승, 신은미 공역). 서울: 학지사(원판 1994).
  67. Morris. J. A., & Feldman, D. C.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https://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68. Noddings, N. (2012). The caring relation in teaching. Oxford Review of Education, 38(6), 771-781. https://doi.org/10.1080/03054985.2012.745047
  69. Rafaeli, A. & Sutton, R. I. (1987). Expression of emotion as part of the work role.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1), 23-37. https://doi.org/10.5465/AMR.1987.4306444
  70. Sutton, R. E., & Wheatley, K. F. (2003). Teacher's emotions and teach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5(4),327-358. https://doi.org/10.1023/A:1026131715856
  71. Zapf, D. (2002). Emotion work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some conceptual consider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2), 237-268. https://doi.org/10.1016/S1053-4822(02)00048-7
  72. Zembylas, M. (2005). Discursive practices, genealogies, and emotional rules; A poststructuralist view on emotion and identity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8), 935-948. https://doi.org/10.1016/j.tate.2005.06.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