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ynchronous SA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초

시간-도메인 비교기를 이용하는 10-bit 10-MS/s 0.18-um CMOS 비동기 축차근사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 10-bit 10-MS/s 0.18-um CMOS Asynchronous SAR ADC with Time-domain Comparator)

  • 정연호;장영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8-90
    • /
    • 2012
  • 본 논문은 rail-to-rail 입력 범위를 가지는 10-bit 10-MS/s 비동기 축차근사형 (SAR: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DC: analog-to-digital converter)를 제안한다. 제안된 SAR ADC는 커패시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DAC: digital-to-analog converter), SAR 로직, 그리고 비교기로 구성된다. 외부에서 공급되는 클럭의 주파수를 낮추기 위해 SAR 로직과 비교기에 의해 비동기로 생성된 내부 클럭을 사용한다. 또한 높은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 오프셋 보정기법이 적용된 시간-도메인 비교기를 사용한다. 면적과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분할 캐패시터 기반 차동DAC를 사용한다. 설계된 비동기 SAR ADC는 0.18-um CMOS 공정에서 제작되며, core 면적은 $420{\times}140{\mu}m^2$이다. 1.8 V의 공급전압에서 0.818 mW의 전력 소모와 91.8 fJ/conversion-step의 FoM을 가진다.

  • PDF

자체 보정 CDAC를 이용한 10비트 20MS/s 비동기 축차근사형 ADC (A 10-bit 20-MS/s Asynchronous SAR ADC using Self-calibrating CDAC)

  • 윤은지;장영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35-43
    • /
    • 2019
  • 본 논문은 10비트 비동기 SAR ADC에 사용되는 CDAC의 선형성을 개선하기 위한 커패시터 자체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커패시터 자체 보정 기법은 10비트 CDAC의 상위 5비트의 각각의 커패시터의 값이 하위 커패시터의 값들의 합과 같아지도록 수행된다. Behavioral 시뮬레이션의 결과에 의하면, CDAC의 커패시터의 최대 부정합 오류가 4%일 때, 제안한 커패시터 자체 보정 기법은 DNL과 INL를 각각 -0.810/+0.194LSB와 -0.832/+0.832LSB에서 -0.235/+0.178LSB와 -0.227/ +0.227LSB로 개선시킨다. 1.2V 공급전압과 110n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된 10비트 비동기 SAR ADC의 면적과 전력소모는 각각 $0.205mm^2$와 1.25mW이다. 20MS/s의 샘플율과 96.13kHz 입력 주파수에 대해 제안한 10비트 비동기 SAR ADC의 측정된 ENOB는 9.194비트이다.

MOM 커패시터를 사용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가진 10-bit 10-MS/s 비동기 축차근사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 10-bit 10-MS/s Asynchronous SAR analog-to-digital converter with digital-to-analog converter using MOM capacitor)

  • 정연호;장영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29-134
    • /
    • 2014
  • 본 논문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digital-to-analog converter), SAR 로직, 그리고 비교기로 구성된 10-bit 10-MS/s 비동기 축차근사형(SAR: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analog-to-digital converter)를 제안한다. Rail-to-rail의 입력 범위를 가지는 설계된 비동기 축차근사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샘플링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MOM(metal-oxide-metal) 커패시터를 이용한 바이너리 가중치 기반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사용하여 구현한다. 제안하는 10-bit 10-MS/s 비동기 축차근사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0.18-${\mu}m$ CMOS 공정에서 제작되고 면적은 $0.103mm^2$를 차지한다. 1.1 V의 공급전압에서 전력소모는 0.37 mW를 나타낸다. 101.12 kHz와 5.12 MHz의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대해 측정된 SNDR은 각각 54.19 dB와 51.59 dB이다.

A 12-b Asynchronous SAR Type ADC for Bio Signal Detection

  • Lim, Shin-Il;Kim, Jin Woo;Yoon, Kwang-Sub;Lee, Sangmin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108-113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a low power asynchronous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SAR) type 12b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for biomedical applications in a 0.35 ${\mu}m$ CMOS technology.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uses a capacitive split-arrays consisting of 6-b main array, an attenuation capacitor C and a 5-b sub array for low power consumption and small die area. Moreover, splitting the MSB capacitor into sub-capacitors and an asynchronous SAR reduce power consumption. The measure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DC achieved the SNDR of 68.32 dB, the SFDR of 79 dB, and the ENOB (effective number of bits) of 11.05 bits. The measured INL and DNL were 1.9LSB and 1.5LSB, respectively. The power consumption including all the digital circuits is 6.7 ${\mu}W$ at the sampling frequency of 100 KHz under 3.3 V supply voltage and the FoM (figure of merit) is 49 fJ/conversion-step.

센서 노드 응용을 위한 저전력 8비트 1MS/s CMOS 비동기 축차근사형 ADC 설계 (Design of a Low-Power 8-bit 1-MS/s CMOS Asynchronous SAR ADC for Sensor Node Applications)

  • 손지훈;김민석;천지민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54-464
    • /
    • 2023
  • 본 논문은 센서 노드 응용을 위한 1MS/s의 샘플링 속도를 가지는 저전력 8비트 비동기 축차근사형(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SAR)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 ADC)를 제안한다. 이 ADC는 선형성을 개선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스위치를 사용하며, 공통모드 전압(Common-mode voltage, VCM) 기반의 커패시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capacitor digital-to-analog converter, CDAC) 스위칭 기법을 적용하여 DAC의 전력 소모와 면적을 줄인다. 외부 클럭에 동기화해서 동작하는 기존 동기 방식의 SAR ADC는 샘플링 속도보다 빠른 클럭의 사용으로 인해 전력 소비가 커지는 단점을 가지며 이는 내부 비교를 비동기 방식으로 처리하는 비동기 SAR ADC 구조를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낮은 해상도의 설계에서 발생하는 큰 디지털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동적 논리 회로를 사용하여 SAR 로직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회로는 180nm CMOS 공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1.8V 전원전압과 1MS/s의 샘플링 속도에서 46.06𝜇W의 전력을 소비하고, 49.76dB의 신호 대 잡음 및 왜곡 비율(signal-to-noise and distortion ratio, SNDR)과 7.9738bit의 유효 비트 수(effective number of bits, ENOB)를 달성하였으며 183.2fJ/conv-step의 성능 지수(figure-of-merit, FoM)를 얻었다. 시뮬레이션으로 측정된 차동 비선형성(differential non-linearity, DNL)과 적분 비선형성(integral non-linearity, INL)은 각각 +0.186/-0.157 LSB와 +0.111/-0.169 LSB이다.

분할-커패시터 기반의 차동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가진 10-bit 10-MS/s 0.18-㎛ CMOS 비동기 축차근사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 10-bit 10-MS/s 0.18-㎛ CMOS Asynchronous SAR ADC with split-capacitor based differential DAC)

  • 정연호;장영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14-422
    • /
    • 2013
  • 본 논문은 분할-커패시터 기반의 차동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DAC: digital-to-analog converter)를 이용하는 10-bit 10-MS/s 비동기 축차근사형 (SAR: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DC: analog-to-digital converter)를 제안한다. 샘플링 주파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SAR 로직과 비교기는 비동기로 동작을 한다. 또한 높은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 오프셋 보정기법이 적용된 시간-도메인 비교기를 사용한다. 제안하는 10-bit 10-MS/s 비동기 축차근사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0.18-${\mu}m$ CMOS 공정에서 제작되며 면적은 $140{\times}420{\mu}m^2$이다. 1.8 V의 공급전압에서 전력소모는 1.19 mW이다. 101 kHz 아날로그 입력신호에 대해 측정된 SNDR은 49.95 dB이며, DNL과 INL은 각각 +0.57/-0.67, +1.73/-1.58이다.

Brief Overview on Design Techniques and Architectures of SAR ADCs

  • Park, Kunwoo;Chang, Dong-Jin;Ryu, Seung-Tak
    • Journal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 /
    • 제2권1호
    • /
    • pp.99-108
    • /
    • 2021
  •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SAR) Analog-to-Digital Converters (ADC) seem to become the hottest ADC architecture during the past decade in implementing energy-efficient high performance ADCs. In this overview, we will review what kind of circuit techniques and architectural advances have contributed to place the SAR ADC architecture at its current position, beginning from a single SAR ADC and moving to various hybrid architectures. At the end of this overview, a recently reported compact and high-speed SAR-Flash ADC is introduced as one design example of SAR-based hybrid ADC architecture.

VoDSL 서비스에 최적화된 ATM SAR 프로세서 (The ATM SAR Processor Optimized for VoDSL Service)

  • 손윤식;정정화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0권10호
    • /
    • pp.9-16
    • /
    • 2003
  • 본 논문은 VoDSL(Voice over DSL) 가입자용 단말기에 적합한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프로세서를 제안한다. 제안된 ATM 프로세서는 ATM 단, ATM 적응단의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블록. ATS 스케줄러 등으로 구성되며, ATM 네트워크상에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4개의 VCC (Virtual Channel Connection)을 지원한다. ATS(Adaptive Time Slot) 스케줄러는 음성 트래픽의 QoS (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며 다중 AAL2 패킷을 지원하도록 설계하였다. 제안된 ATM 프로세서는 하이닉스 반도체의 0.35마이크론 공정에서 제작되었으며, 최대 52Mbps의 속도를 지원한다. 본 ATM 프로세서가 탑재된 VoDSL 가입자 장비인 LAD(Integrate Access Device)를 실제 제작하여 테스트용 네트워크 상에서 실험한 통하여 제안된 ATM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구조가 VoDSL 서비스의 대부분의 응용 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 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아날로그 전단 부 회로 설계 (Analog Front-End Circuit Design for Bio-Potential Measurement)

  • 임신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1호
    • /
    • pp.130-137
    • /
    • 2013
  • 본 논문은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저전력/저면적 AFE(analog front-end)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AFE는 계측증폭기(IA), 대역 통과 필터(BPF), 가변 이득 증폭기(VGA), SAR 타입 A/D 변환기로 구성된다. 전류 분할 기법을 이용한 작은 gm (LGM) 회로와 고 이득 증폭기로 구성된 Miller 커패시터 등가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수동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AC-coupling을 구현하였다. 응용에 따른 BPF의 고역 차단 주파수 변화는 전압 조절기(regulator)를 이용한 출력 전압 변화를 이용하여 $g_m$을 변화하여 구현 시켰다. 내장된 ADC는 커패시터 분할 기법을 적용한 이중 배열 커패시터 방식의 D/A변환기와 비동기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저 전력과 저 면적으로 구현하였다. 일반 CMOS 0.18um 공정을 이용하여 칩으로 제작하였고, 전체 칩 면적은 PAD등을 모두 포함하여 $650um{\times}350 um$이다. 제안된 AFE의 전류 소모는 1.8V에서 6.3uA이다.

블루투스 무선 링크에서 ACL 패킷의 전송 시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ransmission Time of ACL Packet in Bluetooth Wireless Link)

  • 문일영;조성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90-593
    • /
    • 2005
  • 본 논문은 블루투스 무선 링크의 패킷 중에서 ACL(Asynchronous Connection Less)의 패킷을 이용하여 전송 시간을 분석한다. 블루투스 시스템에서 전송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패킷분할 과정은 TCP 상위 계층에서 내려온 전체 메시지를 분할한 다음, 베이스밴드에서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블루투스 피코넷 환경에서 블루투스 패킷 타입 중 DM(Data-Medium rate)1, DM3, DM5에 따른 블루투스의 패킷 전송 시간을 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블루투스 무선 링크에서 ACL 패킷의 전송 시간, 메시지 처리 시간과 비교하여 최적의 TCP 패킷 크기와 DM 패킷의 크기를 구할 수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