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업열의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5초

성인학습자의 삶의 의미와 학업만족과의 관계: 학업열의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Academic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 김은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57-265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기의 온라인 학습자의 학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삶의 의미와 학업열의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사이버대학교에 재학중인 148명의 성인학습자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상관분석결과 삶의 의미와 학업만족, 학업열의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학업만족과 학업열의 간에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학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독립변인인 삶의 의미와 매개변인인 학업열의와의 직접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삶의 의미와 학업만족과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의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는 유의미 하였다. 중년기의 삶의 의미에 대한 통찰을 통해서 학업에 열의를 보이고 이는 학업만족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성인학습자의 학업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동기화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 사이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Grit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Engagement)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225-230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의 중학생 575명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만족도, 학업열의, 그릿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분석은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Baron&Kenny의 분석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그릿 및 학업열의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사이에서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모두 부분매개하였다. 이는 학업성취만족도가 중학생의 학업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릿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중학생의 학업열의를 높이기 위해 학업과 관련된 흥미를 향상시키는 교육 및 상담방안과 다양한 학습동기향상프로그램 개발 등 학습상담의 방안을 논의하였다.

고등학생의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관한 연구: 직무요구-자원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Study on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Highschool Students: Apply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 조수현;이민영;이장희;이상민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1-26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요구와 학업자원이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요구-자원 모형(Job Demands-Resources Model)을 바탕으로 학업 장면에서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서울, 인천, 경지 소재의 정규 교과과정 중에 있는 8개의 학교에서 고등학교 3학년 총 93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요구, 학업자원,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노력, 학업과몰입, 교사압력으로 구성된 학업요구는 학업소진과 학업열의 모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보상, 또래지지, 교사 자율성지지, 부모 학업적지지로 구성된 학업자원은 학업소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학업장면에서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이에 대한 한계를 포함하여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결과기대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eacher-Student Interactions, Outcome Expectancy and Academic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김승용;송기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03-30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결과기대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4곳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42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전체연구 단위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가설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근접성은 결과기대와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면 영향력은 결과기대와 학업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결과기대는 학업열의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근접성과 학업열의의 관계에서 결과기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체육 수업장면에서 학생들을 대하는 교사의 태도와 학업열의 및 과제해결행동의 구조적 관계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eachers' Attitudes toward Students and Academic Engagement and Task-Solving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김승용;임현묵;송기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49-25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태도와 학업열의, 과제해결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서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5곳의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34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전체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가설검정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태도는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열의는 도움요청행동에 정적으로 자기핸디캡행동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태도는 도움요청행동에 정적으로 자기핸디캡행동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태도와 과제해결행동의 관계에서 학업열의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열의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시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on Self-esteem in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 권은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25-13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학업열의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학습시간이 중학생의 성별, 지역별, 학년에 따라 매개효과가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의 중학생 1,045명을 대상으로 학습시간, 학업열의, 자존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열의, 학습시간, 자존감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차이검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시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학생의 학업열의는 집단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시간은 시지역 중학생이 읍면지역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자존감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고, 시지역학생이 읍·면지역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존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학습시간, 학업열의, 자존감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집단별로 나누지 않은 전체집단에서는 학업열의가 자존감에 이르는 직접 경로와 학습시간을 거쳐 자존감에 이르는 부분 매개모형에서 학습시간의 부분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남학생을 제외한 여학생만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지역별 분석결과는 시지역의 학생에게만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학년별 분석결과는 중학교 2학년 학생만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급격한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 중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별, 학년별 개인 차이뿐 아니라 살고 있는 지역도 고려한 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중학생의 학업열의, 학업소진 관련 변인 연구 (A Study of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Burnou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123-127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중학생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이 학생들의 학업열의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중학생의 학업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청소년 학업관련 문제를 위한 다양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중학생 388명을 대상으로 중학생들의 학업열의와 학업소진에 있어 환경변인인 부모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 개인변인인 삶의 만족도, 행복감, 자아존중감, 자율성, 주의집중, 끈기, 우울의 영향력 정도를 확인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의집중, 교사관계, 끈기,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부모관계, 우울, 행복감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교사관계, 친구관계, 부모관계, 끈기, 자아존중감, 주의집중 순으로 나타났다. 학업열의는 환경변인보다 개인변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나타났고, 학업소진은 개인변인보다 환경변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이러한 연구결과가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업소진을 예방하고 학업열의를 일으키기 위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챗GPT 리터러시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학업자신감과 지각된 학업역량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hatGPT Literacy on Academic Engagement: Focusing on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Confidence and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 이은성;전용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565-574
    • /
    • 2024
  • 챗GPT는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고 있으며, 이는 교육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의 챗GPT에 관한 학계 및 사회적 논의는 주로 표절과 같은 부정행위에 초점이 맞춰져있으며, 학생들의 인공지능 기술 활용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와 더불어, 코로나 시대의 교육 위기 속에서 학업열의를 증진시키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우리는 학생들의 챗GPT 리터러시 수준에 따라 학업열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업 자신감 및 지각된 학업역량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했다. 이를 위해 40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SPSS로 분석했다. 그 결과, 챗GPT 리터러시는 학업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학업자신감은 챗GPT 리터러시와 학업열의 사이를 매개했다. 또한 학업자신감과 지각된 학업역량은 이중으로 매개되었을 때 유의한 결과를 도출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챗GPT 리터러시와 학업열의 사이의 이론적 매커니즘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다는 이론적 함의를 논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챗GPT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실용적 함의에 대해도 기술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학습열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변은경;박효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45-252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열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B시의 간호대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 평균 4.00±0.51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는 전공만족도(F=9.476, p<.001), 수업만족도(F=3.079, p=.048)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은 학습열의(r=.560,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r=.634,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학습열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r=.769,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열의(β=.177, p=.031), 학업적 자기효능감(β=.498, p<.001)으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41.0%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열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열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Stress and Academic Engagement o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 이상민;조호진;임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90-399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열의 및 극복력의 정도와 그 관계를 확인하고, 스트레스와 학업열의가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1개 대학 간호대학생 192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2월 23일에서 26일까지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22.0 program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S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극복력은 제 특성에서 성별, 학년, 대인관계, 지원동기, 전공만족도, 학점평균 평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극복력과 학업열의는 정상관관계, 스트레스와는 역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모형분석에서는 학업열의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상태 중 나쁨, 여성, 3학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3.0%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극복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정기수업시간에서부터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한 학습이 권장되는 지지적인 분위기 조성과 학업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학업열의 향상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학업열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PBL 등 교수법 활용을 통하여 극복력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