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행복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9초

유아 행복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Happiness)

  • 이효숙;조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80-685
    • /
    • 2015
  • 본 연구는 전라남도 K광역시 유아교육기관 6,7 세 유아를 대상으로 행복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6, 7세 유아들은 행복에 대한 인식을 자아특성 중 사랑하는 것과 좋은 것과 같은 긍정정서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7세 유아들은 자아 특성뿐 아니라 가족과 함께 하는 대인관계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6, 7세 유아들은 가장 행복할 때에 대한 인식을 인지 영역 중 놀이 활동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고, 또한 대인관계의 가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6에 유아에 비해 7세 유아들이 사랑하는 것과 같은 긍정 정서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셋째,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까에 대한 6, 7세 유아의 인식은 대인관계는 부모님 말씀을 잘 들어야 한다는 가족관계와 친구와 사이좋게 놀기와 같은 또래 관계를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7세 유아가 인지 영역 중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는 목표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지만, 6세 유아는 목표를 중요하게 인식하지는 못하였다. 자아 특성은 긍정 정서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로써 유아들의 행복에 대한 인식은 긍정 정서가 가장 중요하며, 가족과 함께 하는 대인관계와 또래와 놀이 활동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7세 유아들은 6세 유아에 비해 행복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는 목표의식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유아 행복을 위한 긍정 정서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부모 참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또한 7세 유아들은 위해 목표 설정을 통한 유아 진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ivation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eaching Personality, Grit on Flouris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957-969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경기도 H시에 소재한 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112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은 행복플로리시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교직인성이 나머지 두 변인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의 하위요인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능동적 동기 및 수동적 동기, 보편인성, 노력의 꾸준함 요인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교직선택동기 및 인성, 그릿의 향상을 통한 행복플로리시 증진 프로그램 설계 및 이의 검증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Conceptual Diagrams of Education for Happines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 황해익;김미진;김병만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9-79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여 행복 교육에 대한 가능성과 지침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각 50명씩 10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교사가 작성한 개념도는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내용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사용한 상위개념의 개수는 총 364회로 나타났으며, 총 21개의 상위개념 범주로 도출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내용에서 어린이집 교사들이 사용한 상위개념의 개수는 총 296회로 나타났으며, 총 18개의 상위개념 범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의 개념에 대한 지식을 체계화하고 전문화된 지식체계로 발전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숲 체험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operative Art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Happiness Fullness)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09-317
    • /
    • 2019
  • 본 연구는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S어린이집의 A반 유아 실험집단 20명과 B반 유아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동일연령의 환경이 비슷한 집단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 충만감에 대해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계획한 2개월간 16차시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누리과정연계활동을 주제로 실외활동을 한 후 사전사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재창조능력, 인간관계, 목표달성, 통솔력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행복충만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유아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기제와 동시에 촉진요소임이 판정되었다. 이는 유아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에게 놀이를 제공하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유아들의 즐거움과 행복충만감을 촉진하게 됨을 의미한다.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Strengths-Based Happiness Promo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미진;김병만;황해익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201-221
    • /
    • 2014
  • 본 연구는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교사로서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치원교사 89명과 어린이집교사 95명이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 강점과 행복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살펴본 결과, 성격 강점에 대한 인식 정도는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모두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에 비해 유치원교사가 행복 증진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 목적, 운영자, 실시주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 유아교육기관, 교사 차원의 노력,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 프로그램 적용 시 필요한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도를 중심으로 중요성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 Based on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 전효정;이경님;고은경
    • 아동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125-14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young children's happi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comprised 294 young children and 24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Gyeongsangnam-do. The findings of study were as follow: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young children's happi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young children's happines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s' emotional abilities and to support strategies which enhance and build up their job satisfaction.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e of Happines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 고정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5-165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와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 예비유아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 요인인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학교생활동안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을 증진하고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 내용 및 과정에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교사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행복 프로그램이 유아행복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Happiness Program Linked with Nuri Curriculum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Self-esteem)

  • 신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17-45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young children's happiness program in rela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self-esteem. Study subjects included 37 children aged 5 (experimental group 20, comparative group 17) enrolled in A day care center and D day care center located in K district, Seoul. As for the research procedur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48 times in 18 weeks, and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children's happiness program linked with the Nuri curriculum. In contrast, the comparative group conducted general activities focusing on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Study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st 9 sub-domains related to young children's happiness (health, emotion, immersion, recognition and achievement,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spirituality, life satisfaction) and 3 sub-domains related to self-esteem (start and spirit of independence, sociality emotionality,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of this study prove that the children's happiness program in rela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is effective for increasing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self-esteem, and could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the possibility of a happiness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nd happiness education in the future.

보육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 연구 (The Ecological Variables Research on the Effect of Teacher's Happiness in Child Care Center)

  • 이순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423-430
    • /
    • 2017
  •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도 보육교사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제주지역 사립 보육교육기관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보육교사는 총 200명으로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20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180명의 자료를 SPSS 2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기체 변인 중 보육교사의 연령과 학력은 보육교사의 행복에 차이를 보였다. 즉 35세 이상의 보육교사는 다른 연령에 비해 행복이 높으며, 대졸 이상의 보육교사도 다른 학력에 비해 행복이 높다는 점이다. 둘째, 미시체계 변인 중 결혼여부만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혼자인 보육교사는 미혼자 보육교사에 비해 행복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중간체계 변인 중 유아-교사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부모-교사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행복수준이 높았다. 넷째, 외체계 변인 중 근무환경과 직무자체 특성이 좋을수록 보육교사의 행복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행복한 보육교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근무환경 개선, 처우개선 등과 같은 국가적, 행정적 지원으로 현실적인 개선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