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Happiness

유아 행복에 대한 인식

  • Received : 2015.09.03
  • Accepted : 2015.11.14
  • Published : 2015.11.28

Abstract

The purpose for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erception of happiness among the kindergarten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kindergarten young children of 6, 7 years old in Kwangju.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kindergarten young children of 6, 7 years old considered that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happiness to have a positive mind, to be loved. And kindergarten young children of 7 years old perceived spend time with family as happiness. 2. 'the most moment when you feel happy" perceived that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happiness were to be loved, play with children and to spend time with children. 3. 'To be happy' perceived that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happiness were the relationship of parents and friends. Especially, seven years old children perceived to be able to do self-development. Therefore, I suggested it is necessary to study a program of young children's happiness, a program of parent's participation for young children's happiness in kindergarten, and a program of young children' career education.

본 연구는 전라남도 K광역시 유아교육기관 6,7 세 유아를 대상으로 행복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6, 7세 유아들은 행복에 대한 인식을 자아특성 중 사랑하는 것과 좋은 것과 같은 긍정정서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7세 유아들은 자아 특성뿐 아니라 가족과 함께 하는 대인관계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6, 7세 유아들은 가장 행복할 때에 대한 인식을 인지 영역 중 놀이 활동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고, 또한 대인관계의 가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6에 유아에 비해 7세 유아들이 사랑하는 것과 같은 긍정 정서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셋째,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까에 대한 6, 7세 유아의 인식은 대인관계는 부모님 말씀을 잘 들어야 한다는 가족관계와 친구와 사이좋게 놀기와 같은 또래 관계를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7세 유아가 인지 영역 중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는 목표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지만, 6세 유아는 목표를 중요하게 인식하지는 못하였다. 자아 특성은 긍정 정서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로써 유아들의 행복에 대한 인식은 긍정 정서가 가장 중요하며, 가족과 함께 하는 대인관계와 또래와 놀이 활동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7세 유아들은 6세 유아에 비해 행복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는 목표의식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유아 행복을 위한 긍정 정서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부모 참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또한 7세 유아들은 위해 목표 설정을 통한 유아 진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황해익,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 효능감 관계에서 직부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pp.157-180, 2013.
  2. 매일경제, 한국 아동 행복감 최저 이어 외모-학업 성적 만족감 최저, 왜?, 2014.
  3.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행복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서울 : 월드 김영사, 2012.
  4. 문용린, 문용린의 행복교육, 서울 : 리더스북스, 2014.
  5. 한혜진, 유아 행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6. 강영욱, "유아 행복감과 행복개념에 대한 인식," 한영논집, 제13권, pp.451-477, 2009.
  7. 최윤정, 유아교사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8. T. Ben-Shahar, Happier,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lment, NY : McGraw-Hill, 2007.
  9. M. P. Seligman, 플로르쉬: 웰빙과 행복에 대한 새로운 이해(우문식, 윤상운 역), 경기 도서출판 풀무레, 2006.
  10. 권석만, 긍정 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11.
  11. 지성애, 유아놀이 지도, 서울: 정민사, 2007.
  12. 이효숙, 김미선, 조준수, "유아교사와 유아행복에 대한 인식," The 14th PCERA Anninal conference in seoul, Korea, 2013.
  13. 박찬옥, 서동민, 엄은나, 유아사회교육, 서울 : 정민사, 2013.
  14. 이효숙, 유아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미간행,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