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아의 놀이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초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2-year-ol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a Child Care Teacher and Peer Play Process)

  • 신동주;김소영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 과정을 사례 연구를 통해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가정 어린이집을 다니는 4명의 만 2세 영아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한 영아들은 애착 Q-set를 통해 측정한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에서 안정애착과 불안정애착을 형성한 영아 각각 2명이었다. 본 연구는 2018년 4월 12일부터 7월 19일까지 36회에 걸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참여관찰을 하였다. 비디오 촬영 전사본, 교사 면담 전사본, 보육계획안, 현장 일지 등이 분석과 해석에 활용되었다. 보육교사에 대한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를 놀이의 흐름에 따라 시작 전개 마무리 과정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또래놀이의 시작에서 영아가 또래를 놀이에 초대할 때, 안정애착영아는 적합한 놀이 파트너를 선정 하거나 구체적인 놀이 행동을 요구하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즉흥적으로 놀이 파트너를 선정하거나 불분명하고 미숙하게 또래를 놀이에 초대하며 서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또래가 진행 중인 놀이에 들어가기에서 안정애착영아는 놀이 맥락을 파악하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놀이 맥락에 대한 파악 없이 진행 중인 놀이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개에서 안정애착영아는 상호보완적으로 협조를 하고 놀잇감을 공유하며 놀이를 진행하였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협조를 하기 보다는 자신의 의사만 표현하고 또래와 놀잇감을 공유하는 것을 어려워할 뿐 아니라 또래갈등이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보육교사의 중재를 필요로 하였다. 또래놀이의 마무리에서 안정애착영아는 또래와 공동의 끝맺음을 보였으나, 불안정애착영아는 또래와 함께 마무리를 하지 못하고 또래와의 갈등으로 인해 또래놀이가 단절되거나 보육교사와의 놀이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관찰에 근거한 어린이집 영아반의 일과유형분류 및 일과유형별 영아의 놀이성과 교사 특성 (Playfulness of Inf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ccording to Daily Routine Types based on Observation in Infant Classes in Child Care Centers)

  • 박찬화;권연희;나종혜;최목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85-210
    • /
    • 2013
  • 본 연구는 영아반의 하루 일과를 관찰하여 실내자유놀이, 실외놀이, 집단활동 및 낮잠 휴식 등의 일과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이 진행된 시간들을 바탕으로 하루일과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과유형에 따라 영아의 놀이성, 교사의 학력 및 경력, 교사행동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영아반의 일과유형은 '실내 외놀이 지향형'과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 등 2가지로 분류되었다. 일과유형별 영아의 놀이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내 외놀이 지향형'이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보다 영아의 놀이성 전체점수와 하위영역인 신체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모감각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일과유형에 따라 교사의 학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의 경력에서는 '실내 외놀이 지향형' 학급의 교사경력이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 학급의 교사경력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다. 교사의 상호작용행동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실내 외놀이 지향형' 일과의 교사가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의 일과를 운영하는 교사보다 긍정적 지도행동과 중립적 지도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보였다.

1세 영아의 언어와 놀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Language and Play)

  • 김명순;성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9-34
    • /
    • 2002
  •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play of 42 infants(21 boys and 21 girls) from 13 months to 23 months old and examined how their maternal language and play were related to the infants' language and play. The play of infant-mother and maternal language were videotaped at home. The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n(MCDI-K; Fenson, 1991; Pae, 1993) was used to measure infant's language. The score of the infants' receptive language was higher than that of expressive language. Mean level of the infant's play was in the relational play, that is, he/she integrated two or more toys in an inappropriate manner during the play. There was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the total language scores and in their play.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s langua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fant's play level. The maternal language and pla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fant's language and play development.

  • PDF

자연친화적 실외 환경 놀이에서의 영아의 경험 세계 (Toddlers' Experience World through Play in the Nature-Friendly Outdoor Environment)

  • 손원경;전주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3-164
    • /
    • 2011
  •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 실외 환경에서의 놀이에 나타난 영아들의 경험 세계를 살펴, 그 의미를 도출해 보고 영아를 위한 자연친화적 실외놀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부산시 동구에 위치한 S어린이집의 별님반과 꽃들반에 재원중인 22개월에서 33개월 사이의 영아 9명을 대상으로 영아들의 실외놀이를 참여관찰하고 원장, 교사와의 심층면담, 그리고 중요한 기록물들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영아들에게 자연친화적 실외 환경에서의 놀이 경험은 영아가 보육기관의 실내 공간에서는 제한 받았던 특별하고 다양한 경험 세계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영아들은 '감각을 깨우는 탐색의 세계'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둘째, '정서를 깨우는 소통의 세계'를 경험하고 있었다. 영아가 놀이 경험을 통해 보다 건강한 성장을 한다고 볼 때, 자연친화적 실외 환경은 오늘날 전형적인 인공 놀이터의 틀을 깨고 찾아가기에 충분한 가치를 지닌, 온전하고도 생기 넘치는 살아있는 놀이터라는 점과 영아들이 이러한 공간에서 깊이 몰입하여 놀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자유놀이에 나타난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의도 (The Intention d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heir Teachers while Playing Freely)

  • 조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03-21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의 자유놀이에서 나타나는 영아와 교사가 각각 상호작용을 시작하려는 의도를 검토하여 발달을 도모하는 상호작용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려고 한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대상은 영아 9명과 영아반 교사 3명이다. 자료 수집은 영아의 오전일과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캠코더로 녹화한 후 전사하였다. 3개월 동안 총 24회 관찰과 교사와 심층면담 그리고 연구대상 어린이집의 생활안내 책자, 일간/월간/연간계획안, 관찰기록, 행동발달 관찰기록서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문제 1인 자유놀이에 나타난 영아의 상호작용 의도는 첫째, 어떻게 놀이해야 하는지를 알기위해 둘째, 일상 관련한 그림책의 내용을 보기위해 셋째, 정서적 요구의 충족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인 자유놀이에 나타난 교사가 먼저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의도는 첫째, 사물탐색과 놀이시도를 돕기 위해 둘째, 교사중심에서 영아주도의 놀이전이를 위하여 셋째, 울음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영아를 달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고 영아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영아 중심적 관점에서의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에 대한 장기적 심층적 연구가 요망된다.

영아특성 및 보육환경(보육시설과 교사)변인이 영아의 놀이실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ddlers' Characteristics and Child Care Environments on Toddlers' Behaviors in Child Care Center)

  • 최지현;박혜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3-124
    • /
    • 2005
  • 본 연구는 영아특성 및 보육환경(보육시설과 교사)변인이 영아의 놀이실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직접 관찰을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8개 보육시설(국 공립 보육시설: 4개, 민간 보육시설: 4개)에서 27-35개월 된 영아(toddlers) 40명을 자유놀이 시간에 교실에서 관찰하였다. 각 영아는 20초 관찰, 10초 기록의 시간표집방법에 의해 총 42회 관찰하였으며, 영아의 사회적 행동은 또래와의 상호작용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으로 나뉘어졌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WI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rson의 적률상관계수, t-검증, 일원분산분석과 Duncan 검정, 단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아특성(toddlers' characteristics), 보육시설의 모든 변인과 교사변인 중 전체경력, 영아반경력, 결혼여부, 소지자격유형에서만 영아의 놀이실 행동(toddlers' behavior in a child care center)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아특성 및 보육환경(child care environment)(보육시설과 교사)변인 중 영아의 놀이실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영아특성, 보육시설변인, 보육교사변인 순으로 나타났다.

  • PDF

13~18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놀이의 관계에서 어머니 반응성의 역할 (The Roles of Maternal Respon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and Play)

  • 이지영;성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9-3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rst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play and maternal responsiveness and secondly, to examine the role of maternal responsivenes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and play. The subjects comprised 42 infants (21 boys and 21 girls) and their mothers. The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the infants' play and maternal responsiveness were observed during free play sessions lasting 20 minu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thers of girls showed higher levels of responsiveness than the mothers of boys. In addition, 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play and maternal responsiveness. Maternal responsiveness was observed to moderate the effects of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on the infants' average level of pl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for caregivers to interpret infants' communicative intentions appropriately and respond promptly and adequately in play situations.

치료놀이를 활용한 집단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 변화 과정 (The Effect of a Group Program Using Theraplay on Prosocial Behavior of 2-year-old Infants and Process of Infants' Prosocial Behavior Change)

  • 김태은;전아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3-197
    • /
    • 2019
  • 본 연구는 치료놀이를 활용한 집단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그램 과정에서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W시의 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 1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정하였고 실험집단에 주 2회씩, 총 11회의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적응적 사회적 행동 척도(Hogan et al., 1992)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고 Wilcoxon rank-sum test로자료를 분석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전 회기를 녹화하고 Padgett(2001)의 제안을 따라 분석해 친사회적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친사회적 행동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친사회적 행동은 프로그램의 전 과정에 걸쳐 점진적으로 개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료놀이를 활용한 집단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 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 (Teacher Recognized Toddler-teacher Relationships Compared with Observed Toddler-teacher and Toddler-peer Interactions in Play)

  • 정미조;김희진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9-112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how infant-teacher relationships perceived by teachers related to observed toddler-teacher and toddler-peer interactions in play. Participants were 57 2-year-old toddlers and their 8 teachers. Toddler-teacher perceived relationships were examined by questionnaire toddler-teacher and toddler-toddler interactions were observed and recorded during play.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Results were : (1) the perceived relationships of toddlers to multiple teachers in the classroom were very similar. (2) The pattern of interactions between toddlers and teachers was similar to that of interactions between toddlers and peers. (3) The more positive the toddler-teacher perceived relationship, the more positive the observed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ren and teachers and between children and their peers.

  • PDF

영아의 기질과 교사의 놀이 관련 특성이 2세반 영아의 상상놀이에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ddler Temperament and Teacher's Play-Related Characteristics on Imaginative Play in Two-Year-Old Classrooms)

  • 유애형;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3-103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childcare teachers' attributes on the frequency and level of imaginative play in two-year-old classrooms. Methods: The study involved 191 toddlers, their mothers, and 32 teachers from childcare centers. Toddler characteristics encompassed temperament along with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ge. Teacher' attributes related to play included playfulness, play-support belief, and interactions with toddl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HLM 8.2 software, employing basic analysis, hierarchical linea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as toddlers' age increased, both the frequency and level of their imaginative play increased. Second, individual-level model analysis revealed a positive effect of toddlers' extroversion on the level of imaginative play. Third, the class-level model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emotions had a negative effect, whereas their encouragement positively influenced the level of imaginative play. Conclusion/Implic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utilization of a multilayered model analysis, which offers a more robust examination of variable influences by accounting for hierarchical data stru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