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layfulness of Inf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ccording to Daily Routine Types based on Observation in Infant Classes in Child Care Centers

관찰에 근거한 어린이집 영아반의 일과유형분류 및 일과유형별 영아의 놀이성과 교사 특성

  • 박찬화 (한국무역보험공사 kids-sure 어린이집) ;
  • 권연희 (부경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나종혜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최목화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3.06.11
  • Accepted : 2013.08.21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observe and categorize daily routines of infant classes in daycare centers based on quantity of indoor and outdoor free play, group activities and nap/rest and explore differences in infants' play and teacher's behavior according to daily routine types. A team of trained observer observed daily routines and teacher's behavior of 26 infant classes from 7 daycare centers for two days and teachers evaluated 164 infants' playfulness. As a result daily routines of infant classes were categorized into two types: "Indoor & Outdoor Free Play Oriented" and "Group Activities & Rest Oriented". Infants' playfulness of "Indoor & Outdoor Free Play Oriented"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Group Activities & Rest Oriented" groups. Teachers from "Indoor & Outdoor Free Play Oriented" groups were found to have more experiences in the field and also they showed more positive and neutral guidance than the others.

본 연구는 영아반의 하루 일과를 관찰하여 실내자유놀이, 실외놀이, 집단활동 및 낮잠 휴식 등의 일과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이 진행된 시간들을 바탕으로 하루일과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과유형에 따라 영아의 놀이성, 교사의 학력 및 경력, 교사행동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영아반의 일과유형은 '실내 외놀이 지향형'과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 등 2가지로 분류되었다. 일과유형별 영아의 놀이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내 외놀이 지향형'이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보다 영아의 놀이성 전체점수와 하위영역인 신체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모감각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일과유형에 따라 교사의 학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의 경력에서는 '실내 외놀이 지향형' 학급의 교사경력이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 학급의 교사경력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다. 교사의 상호작용행동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실내 외놀이 지향형' 일과의 교사가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의 일과를 운영하는 교사보다 긍정적 지도행동과 중립적 지도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순, 김길숙, 박찬화(2012).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3(2), 69-89. https://doi.org/10.5723/KJCS.2012.33.2.69
  2. 김민영, 손수민(2009). 만 2세 영아의 놀이성과 보육시설 기관적응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65-89.
  3. 권연희, 최목화, 박찬화(2012). 어린이집 유아반의 일과 유형분류 및 일과 유형별 교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1(5), 837-848. https://doi.org/10.5934/KJHE.2012.21.5.837
  4. 김주혜(2008). 유아의 놀이성과 놀이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혜경, 김홍은, 문혁준, 박은혜, 유애열, 임혜영 등(2008). 효과적인 영아보육을 위한 지침서 서울: 다음세대.
  6. 김현정(2003). 우리나라 유아의 일상생활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현주, 김영옥(2010).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에서 전이(transition)의 내용과 의미, 유아교육연구, 30(6), 25-50.
  8. 김희경, 유미숙(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놀이성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5), 115-130.
  9. 나은숙, 양옥승(2007).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난 유아들의 흥미. 유아교육연구, 27(1), 281-304.
  10. 남도향(2005). 영아 놀이성과 아버지-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재환, 김희재, 김문겸, 윤일성, 박광준, 문소정(2002). 한국과 일본의 일상생활. 부산 : 부산대학교 출판부.
  12. 박찬화, 나종혜, 권연희, 최목화(2013). 일일보육계획안에 따른 일과유형 분류 및 일과유형별 보육프로그램의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51(1), 45-57. https://doi.org/10.6115/khea.2013.51.1.045
  13. 심숙영, 김점연(2005). 유아의 놀이행동과 놀이성에 대한 보육 프로그램의 질 평가 변인예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361-383.
  14. 안효진, 임연진(2010). 유아의 놀이성, 적응, 그리고 문제 행동과의 관계성 연구. 아동학회지, 31(2), 53-68.
  15. 우수경(2008). 유아의 성, 기질, 정서능력 및 사회적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259-280.
  16. 유미, 유미숙(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1(4), 53-63.
  17. 유애열(1994).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의 개입에 관한 관찰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유영의(2006).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239-257.
  19. 유희진, 김희정, 김문정, 조혜주(2007). 육아지원기관의 교육 보육활동 분석. 서울: 육아 정책 연구소.
  20. 육아정책연구소 (2010). 1세 보육프로그램. 서울 : 육아정책연구소.
  21. 이경미(2009).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이기숙(2006). 유아교육과정. 서울: 법문사.
  23. 이연실(2010). 유아의 놀이성과 지기조절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4), 75-91.
  24.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 곽향림, 이정옥(2012). 1, 2세 영아프로그램의 계획 및 운영. 서울: 다음세대.
  25. 이현경(2008). 영아 놀이에서 교사의 개입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회지, 12(2), 33-56.
  26. 이학식, 임지훈(2009). SPSS 16.0 매뉴얼. 서울: 법문사.
  27. 일상문화연구회(1998). 일상 속의 한국문화: 자기 성찰의 사회학 2. 서울: 나남.
  28. 조수영(2010). 만 2세 영아의 놀이성, 놀이수준과 어머니의 언어유형간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최혜영(2004). 아동의 또래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Arnett, J. (1989). Caregivers in day-care centers: Does training matte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 Psychology, 10(4), 541-552. https://doi.org/10.1016/0193-3973(89)90026-9
  31. Barnett, L. A. (1990). Developmental benefits of play for childr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2), 138-153.
  32. Barnett, L. A. (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1), 51-74.
  33. Bredekamp, S., & Copple, C. (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34.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35. DeBord, K., Hestenes, L., Moore, R., Cosco, N., & McGinnis, J. (2002). Playing attention to the outdoor environment is as important as preparing the indoor environment. Young Children, 57(3), 32-35.
  36. Elicker, J., & Fortner-Wood, C. (1995). Research in review: Adult-child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programs. Young Children, 51(1), 69-78
  37. Early, D. M., Maxwell, K. L., Burchinal, M., Alva, S., Bender, R. H., Bryant, D., & Zill, N. (2007). Teacher's education, classroom quality, and young children's academic skills: Results from seven studies of preschool programs. Child Development, 78(2), 558-580.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7.01014.x
  38. Enz, B., Christie, J. F. (1997). Teacher play interaction styles: Effects on play behavior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 training and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 55-75.
  39. Howes, C., & Smith, E. (1995). Relations among child care quality, teacher behavior, children's play activities, emotional security, and cognitive activity in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4), 381-404. https://doi.org/10.1016/0885-2006(95)90013-6
  40. Isenberg, J. P., & Quisenberry, N. (1998). Play: Essential for all children. A position paper of the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41. Kontos, S. (1999). Preschool teachers' talk, roles, and activity settings during free 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4(3), 363-382. https://doi.org/10.1016/S0885-2006(99)00016-2
  42. Lieberman, J. N. (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2), 219-224. https://doi.org/10.1080/00221325.1965.10533661
  43. Lifter, K., & Bloom, L. (1989). Object knowledge and the emergence of language.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12(4), 395-423. https://doi.org/10.1016/0163-6383(89)90023-4
  44. Mattews, W. S., & Mattews, R. J. (1982). Eliminating operational definition: A paradigm case approach to the study of fantasy play. In D. J. Pepler & K. H. Rubin(Eds.), The play of children: Current theory and research basel, Switzerland: Karger.
  45. McWilliam, R. A., Scarborough, A. A., Bagby, J., & 와 Sweeney, A. (1998). Teaching Styles Rating Scale(TSRS). Chapel Hill, NC: Frank Porter Graham Child Development Cente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46. Naver 국어사전. http:// www. dic naver.com/
  47. Pianta, R., Howes, C., Burchinal, M., Bryant, D., Clifford, R., Early, D., & Barbarin, O. (2005). Features of pre-kindergarten programs, classrooms, and teachers: Do they predict observed classroom quality and child-teacher interaction?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9(3), 144-159. https://doi.org/10.1207/s1532480xads0903_2
  48. Phillipsen,L. C., Burchinal, M. R., Howes, C., & Cryer, D. (1997). The prediction of process quality from structural features of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3), 281-303. https://doi.org/10.1016/S0885-2006(97)90004-1
  49. Rogers, C. S., Impara, J. C., Fray, R. B., Harris, T., Meeks, A., Semanic-Lauth, S., & Reynolds, M. R. (1998). Measuring playfulness: Development of the child behaviors inventory of playfulness. In M. C. Duncan, G. Chick, & A. Aycock (Eds.), Play & Culture Studies, Vol. 1. Greenwich, CT: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50. Scott-Little, M. C., & Holloway, S. D. (1994). Caregiver's attributions about children's misbehavior in child-care center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5(2), 241-253. https://doi.org/10.1016/0193-3973(94)90015-9
  51. Trevlas, E., Grammatikopoulos, V., Tsigilis, N., & Zachopoulou, E. (2003). Evaluation playfulness: Construct validity of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1), 33-39.
  52. Wardle, F. (1997). Outdoor play: Designing, building, and remodeling playgrounds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News, 9, 3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