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린이집

검색결과 808건 처리시간 0.02초

어린이집교사의 역할갈등이 일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ole Conflicts on the Work-related Flow of Childcare Teachers)

  • 이경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7-11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Mihaly Csikszentmihalyi가 제시한 인지적, 정의적, 동기적 차원의 플로우 개념을 바탕으로, 어린이집 교사가 직업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일 플로우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일 플로우가 어린이집교사의 역할갈등의 다양한 요인들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4명의 어린이집 교사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일 플로우 변수군(몰입, 즐거움, 내재적 동기)과 역할갈등 변수군(교사개인, 유아, 조직구성원, 학부모, 행정 및 업무지원, 장학, 사회적 인식)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각 개별변수들의 상호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집교사의 일 플로우와 역할갈등 변수군 간의 관계는 상호교호적인 한편, 일 플로우의 예측변수로서 역할갈등을 설정하는 인과관계모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어린이집교사의 일 플로우의 변수 중 몰입과 즐거움은 교사개인 및 장학관련 역할갈등과의 상호영향력이 높고, 즐거움은 행정 및 업무지원과 장학관련 역할갈등과의 상호영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국내 외 연구와의 비교 및 이론적 논의점을 기술하였고, 어린이집교사의 개인적, 조직적 맥락의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플로우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어린이집의 급.간식 관련 친환경 실천 연구 (A Study of Eco-friendly Practices Regarding Meals and Snacks at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enters)

  • 권신영;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77-96
    • /
    • 2012
  •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급 간식 관련 친환경 실천에 대해 어린이집의 원장, 보육교사, 취사부의 실천정도가 어떠하며, 어린이집과 보육교직원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Boise(2010)의 친환경개념을 적용하여 급 간식의 친환경의 개념을 재 정의하여 보육교직원의 실천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질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어린이집 200개소에 근무하는 원장118명, 보육교사 363명, 취사부 102명 총 583명의 질문지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의 급 간식 관련 친환경 실천정도는 안전성, 기능성, 지속가능성 세 영역의 모든 영역에서 취사부의 실천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원장, 보육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직원들의 급 간식 관련 친환경 실천정도는 어린이집의 유형, 규모, 직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보육교직원의 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관한 연구: 개인변인, 또래유능성 및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f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 Focusing on the Individual Variables, Peer Competence,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

  • 김상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7-23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개인변인(성별, 연령, 기질), 또래유능성, 교사관계와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이러한 변인들이 어린이집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2, 3세 영유아 130명과 학부모, 그리고 담임교사 13명을 대상으로 개인변인, 또래유능성, 교사관계, 어린이집 적응에 대해 질문지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영유아의 연령에 따른 적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 및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여아가 남아보다 더 잘 적응하였으며, 새로운 자극에 대한 회피성이 높고 지구성이 낮을수록 잘 적응하였다. 둘째, 영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있어서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이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더 잘 적응하였다. 셋째, 영유아가 교사와 친밀할수록 그리고 갈등이 적고 의존성이 낮을수록 어린이집에 전반적으로 더 잘 적응하였다. 넷째,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개인변인, 또래유능성 및 교사관계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개인변인은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교사와의 갈등 정도, 또래관계의 주도성, 그리고 교사와의 친밀감 순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ant's Attachment to Mother and Teacher on Adaptation to Child Care)

  • 김영숙;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229-249
    • /
    • 2013
  • 본 연구는 만 1, 2세 영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영아 애착안정성과 교사-영아 애착안정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시에 소재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1, 2세 영아의 어머니 100명과 담임교사 36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 수준은 이원변량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차원인 사회적 관계 및 긍정적 감정의 경우 교사와 영아 간 애착안정성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어머니와의 애착이 불안정하더라도 교사에 대한 안정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경우 그렇지 않은 영아보다 어린이집에서의 사회적 관계 적응 및 긍정적 감정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격적 행동에 있어서 어머니와 영아의 애착안정성의 주효과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나, 어머니와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경우 교사와의 안정애착 형성 여부에 상관없이 어린이집에서의 공격적 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시 가정어린이집 운영자의 영유아급식 알레르기 관리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Analysis on Food Allergy Management of Home Childcare center's Directors in C city)

  • 이주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87-294
    • /
    • 2018
  • 어린이들의 식품 알레르기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어린이의 비율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시에 등록된 가정어린이집 운영자인 원장을 대상으로 어린이집 급식의 식품 알레르기 관리현황과 이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을 조사하고 이를 융합적으로 해석하여 어린이들의 안전한 급식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가정 어린이집 운영자에 비하여 교사와 조리원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육의 기회가 많이 부족하였고, 알레르기 교육을 받은 운영자의 식품 알레르기 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 실천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린이집 운영자와 교사, 조리원을 위하여 수준별 맞춤식으로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교육을 계획하고, 다양한 콘텐츠와 매체를 활용하여 제공하여야 하며, 어린이집 급식의 식품 알레르기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의 안전한 급식제공을 위해 기여할 수 있으며, 향후 영유아 급식의 알레르기 관리현황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 조사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량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childcare center principal: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 김희정;임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02-210
    • /
    • 2021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랑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G시 소재의 어린이집 원장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량은 조금 높게,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량과 직무만족도는 정적상관관계를, 원장의 직무스트레스는 리더십역량 및 직무만족도와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량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직무스트레스는 리더십역량과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어린이집 운영을 위해서는 원장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를 높여 긍정적인 리더십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적으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 황해익;탁정화;김미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63-184
    • /
    • 2012
  •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요인을 분석하여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 및 방안을 마련하고 나아가 직장보육 서비스의 질적 제고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직장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4인이었으며 내러티브 방법을 사용하여 그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장시간 근무로 소진되는 교사, 비정규 직 미래에 대한 그늘, 직장부모라는 거대한 산으로 나타났다.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소진을 경험하게 하는 근무환경, 교사의 정체성, 부모의 요구 및 관계 요인이 상호복합적인 관계로 작용함을 할 수 있었다. 이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 및 방안의 마련,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아기질 및 어린이집 적응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이 교사-영아 관계에 미치는 직.간접효과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 teacher o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ccording to child temperament and adatation to child-care institutions)

  • 최항준;문현경;김선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19-223
    • /
    • 2012
  • 본 연구는 D시와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13기관에 재원 중인 영아 238명과 해당 영아의 어머니와 아버지 각 238명, 담임교사 45명(총 45학급)을 대상으로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적응 변인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교사-영아 관계에 어떠한 직 간접적인 영향력을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영아의 기질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의해 매개되어 교사-영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또한 직무만족에 의해 매개되어 교사-영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직무만족은 교사-영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적응, 두 잠재 변인 간의 매개 변인이다. 특히 영아의 기질은 교사의 직무만족과 교사-영아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영아-교사관계에는 기질이나 적응이 미치는 직접효과가 직무만족을 매개로한 간접효과보다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와 교사관계에 있어서 영아의 기질변인이 중요함을 드러내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양한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서 영아 연구 범위의 폭을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PDF

가족관련변인과 영유아발달의 관계 : 종일제 보육과 어머니 단독양육의 비교 (The Relations between Familial Predictors and Infant-Toddler Development: Comparison between Full-Time Child Care vs. Exclusive Mother Care)

  • 장영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59-176
    • /
    • 2014
  • 본 연구는 영유아기 종일제 어린이집 이용 여부에 따라 가족관련 변인이 영유아발달에 가지는 관계성의 강도가 다를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연구의 3차년도 및 4차년도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종일제 어린이집을 이용(주당 30시간 이상의 어린이집 이용)집단과 어린이집이나 대리양육자를 이용하지 않는 어머니 단독양육 집단을 추출하여, 일련의 가족관련 변인과 영유아의 발달적 결과 간의 관계성의 양상과 그 강도를 비교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이변량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의 상관계수 간의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만2세의 경우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유형이 영아의 의사소통을 정적으로 예측하는데 있어 종일제 어린이집을 사용하는 가족에서 그 크기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만 3세 때에는 가정환경검사 중 다수의 하위변인에서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가족의 경우, 종일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강한 상관관계로 표현어휘 및 수용어휘 발달을 예측하였다. 즉, 어린이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 가정환경 외에 다른 요인이 발달을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들 변인 외에 분석에 사용된 다양한 변인과 영유아 발달 간의 상관관계에 집단차는 발견되지 않아 발달에 기여하는 가족과정이 종일제 어린이집과 어머니 단독양육 집단 간에 유사 또는 차별적이라고 단순히 결론 내릴 수 없고, 발달연령, 가족과정 내의 예측요인, 그리고 발달적 결과에 따라 다소 복잡한 유형으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연구 (A Study on the Child Care Providers' Perception on the Seoul-Type Child Care Accreditation System)

  • 김영옥;최인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1-20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을 통과한 보육시설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시설장 69명과 보육교사 240명, 총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빈도분석, ${\chi}^2$ 검증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시설장과 교사 모두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 시행의 주요 목적은 보육서비스에 대한 효과적인 질관리 시스템 마련이며, 서울형 어린이집의 인증 대상으로 가장 적합한 시설은 민간보육시설이고 다음은 가정보육시설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을 준비하는 것이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비해 쉽다는 응답이 높았으며,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을 통해 국 공립과 민간보육시설 사이의 선호도 차이가 해소될 것을 시설장과 교사 모두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형 어린이집의 운영체계에서 시설장은 맞춤보육서비스 평가 시 '계획서만 제출'하는 방식을, 교사는 '맞춤보육서비스 실시 후 평가'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심보육서비스와 클린운영 영역에서는 시설장과 교사 모두 현재 제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셋째,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보육교사의 시간 외 수당에 대한 보완과 정부의 연속성 있는 보육정책이라는 응답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