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ild Care Providers' Perception on the Seoul-Type Child Care Accreditation System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연구

  • Received : 2011.03.31
  • Accepted : 2011.06.02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directors and child care providers regarding the Seoul-type Child Care Accreditation and its operating system. The objects were 309 directors and child care providers at accredited Seoul-type child care cent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iles, and ${\chi}^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directors and child care providers perceived 'the preparation for effective quality control of child-care service' as the primary purpose of the Seoul-type Child Care Accreditation. Many of them responded that the child care centers meeting the purpose of accreditation would be 'private' and 'home-based' ones. Seoul-type Child Care Accreditation was easier to pass compared to National Child Care Accreditation. The directors and child care providers perceived that the accreditation will narrow the gap between public and private child care centers. Second, in operating customized child-care service, most directors preferred 'submits only the same plan as that of a designated one', but most child care providers preferred 'assessment after providing customized child-care'. For the reliable child-care service and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both subject groups showed general satisfaction with 'current system'. Third, both subject groups responded that 'overtime pay for child care providers' and 'government's consistent child-care policy' were what they desire most to improve Seoul-type Child Care Accreditation.

본 연구에서는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을 통과한 보육시설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시설장 69명과 보육교사 240명, 총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빈도분석, ${\chi}^2$ 검증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시설장과 교사 모두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 시행의 주요 목적은 보육서비스에 대한 효과적인 질관리 시스템 마련이며, 서울형 어린이집의 인증 대상으로 가장 적합한 시설은 민간보육시설이고 다음은 가정보육시설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을 준비하는 것이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비해 쉽다는 응답이 높았으며,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을 통해 국 공립과 민간보육시설 사이의 선호도 차이가 해소될 것을 시설장과 교사 모두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형 어린이집의 운영체계에서 시설장은 맞춤보육서비스 평가 시 '계획서만 제출'하는 방식을, 교사는 '맞춤보육서비스 실시 후 평가'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심보육서비스와 클린운영 영역에서는 시설장과 교사 모두 현재 제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셋째,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보육교사의 시간 외 수당에 대한 보완과 정부의 연속성 있는 보육정책이라는 응답이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익균, 정원주. (2000). 보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2. 김정희. (2004).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도입에 관한 의식조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재환. (2009).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보육학회지, 9(4), 43-72.
  4. 김현숙. (2008). 평가인증제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도에 관한 연구.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남희숙. (2003). 보육시설 관계자의 평가인증체제에 대한 인식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문지희. (2003). 영유아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도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 단국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보건복지가족부. (2009). 보육통계.
  8. 보건복지가족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전국보육실태조사.
  9. 보육시설 평가인증사무국. (2005).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침서.
  10. 서미라.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평가인증 참여보육교사와 비 참여보육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울특별시. (2008). 서울형 어린이집 운영계획 공청회자료.
  12. 오민수. (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 시설장의 평가인증에 대한인식과 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육아정책 개발 센터. (2008). 보육정책: 미래지향적 추진방향과 과제.
  14. 이세라피나. (2003).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도입에 대한 보육시설 유형별 종사자들의 인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효숙. (2008). 평가인증제에 대한 보육시설 시설장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영남대 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장동순. (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대한 시설 종사자들의 인식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장상란. (2008). 평가인증 후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및 사후관리 실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최연희. (2008). 평가인증을 통과한 보육시설의 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연구.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24시간 문여는 어린이집 100곳 만든다 (2010. 5. 12). 서울신문, p.25.
  20. 서울시 보육포털 서비스 홈페이지 http://iseoul.seoul.go.kr/
  21.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http://www,mw.go.kr/
  22. 한국보육진흥원 http://www.kcp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