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육교사역할수행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1초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이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 보육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hild Care-Work Ability Program on Efficacy of Child Care, Role Performance, and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 김현지;한성민;전경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9-5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즉 보육시설에서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함으로써 보육효능감, 영아교사의 역할수행, 영아의 요구에 대한 교사민감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정읍시의 44명의 영아담당 보육교사들이다. 이들은 통제집단 22명과 실험집단 22명의 교사로 나뉘어졌다. 교사들은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로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결국,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 및 교직윤리의식의 매개효과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Role Performance in Nursery School :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ing Ethics)

  • 김미송;신승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365-371
    • /
    • 202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교직윤리의식이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AMOS 24.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역할수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조직문화와 교직윤리의식은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은 조직문화와 교직윤리의식을 순차적으로 거쳐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장의 서번트리더십뿐만 아니라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fant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Role Performance)

  • 신희정;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1-308
    • /
    • 2013
  •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교사의 정서지능, 어린이집 조직문화, 역할수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학력에서는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상담 및 정서적 지원'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력에서는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교육 및 교수활동'과 '관련적 역할'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시설유형에서는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조직문화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어린이집 조직문화는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지능, 어린이집 조직문화, 경력 순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Work Environment on their Performance of Roles: Focusing on the Regul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 장성예;이주연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5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과 인천지역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PASW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문제별로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와 역할수행과는 부적 상관관계, 직무환경, 자아탄력성과 역할수행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에는 부적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인 원장과의 관계, 동료교사와의 관계, 복지환경, 교사전문성 지원, 운영 및 의사결정의 요인이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 대상 프로그램이나 승급 교육시 직무스트레스는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이 반드시 개입되어야 할 것이라 본다. 또한 보육교사의 복지나 처우, 보육환경 등의 직무환경에 대한 개선이 지속적이며, 가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본다. 나아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개입시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적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아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유아가 인식하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과 유아의 성역할 개념 (Children's Understanding on the Roles of Male Childcare Teachers and Children's Gender Role Concepts)

  • 임정수;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3-61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가 인식한 남성보육교사의 역할과 남성보육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른 유아의 성역할 개념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교사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 유아 3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그림 그리기를 실시하고, ${\chi}2$ 검증 및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 38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성역할 개념의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가 인식한 남성보육교사의 역할은 가르치는 역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상을 돌보는 역할, 놀이자의 역할이 그 다음으로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환경을 조직하는 역할, 업무를 지원하는 역할, 컴퓨터로 일하는 역할은 낮게 나타났다. 성역활 개념에서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라 남성보육교사의 유아가 여성보육교사의 유아보다 성역할 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권리협약에 명시된 유아의 참여권을 보장하기 위해 유아와의 인터뷰뿐만 아니라 유아의 그림 자료도 분석에 활용하여 유아가 인식하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경험에 관한 과정 분석 (A Process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in Child Care Practice)

  • 유병예;양성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95-119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실습 전 예비보육교사는 자신이 이중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인식하였다. 실습지도교사와 불평등한 수직적 관계를 이루고, 아동에게는 교사와 친구의 중간자이며, 시설장은 중재자, 실습 동료는 동반자로 인식하였다. 둘째, 실습 중 예비보육교사는 삼중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실습지도교사는 보육인 양성가로서의 역할수행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 상부상조적인 상호작용, 아동에게는 교사와 친구의 중간자, 시설장은 중요한 지지자, 실습동료와 불편한 경쟁자로서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셋째, 실습 후 예비보육교사는 만족감과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의 균형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실습에 실습의 주체가 되는 예비보육교사 보육실습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보육실습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Supervisor's Support and Burnout)

  • 김정희;이용주;김동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75-190
    • /
    • 2014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71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역할수행 질문지(박복매, 2011)와 사회적 지지 설문지(이재영, 2012), 직무소진 질문지(김혜경, 2011)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 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역할수행 전체 및 하위변인들은 소진 전체 및 하위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원장의 지지 전체 및 하위변인들은 소진 전체 및 하위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역할수행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인 교육 및 교수활동은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 소진 전체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고, 상담 및 정서적 지원은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다. 셋째, 원장의 지지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물질적 지지는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 소진 전체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고, 평가적 지지는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유의한 부적영향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역할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함과 원장의 지지를 다각적으로 높여내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과 유아 창의성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Physical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Teachers' Creative Teaching Approaches, a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Level)

  • 김수진;조복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5-146
    • /
    • 2005
  •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물리적인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인 역할수행과 유아창의성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아 182명을 대상으로 Torrance(1981)가 개발한 창의적 사고 검사인 TCAM(Thinking Creativity in Action and Movement)을 실시하여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해당 어린이집 담임교사 28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은 창의성의 하위영역인 상상력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상상력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물리적 환경의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창의성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창의적인 역할을 유아에게 적극적으로 수행할수록 유아의 창의성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은 유아의 창의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은 유아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의 질적 수준이 높고, 교사가 유아에게 창의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할수록 유아의 창의성이 더욱 성장하고 발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보육교직원의 지지가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Support and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Performance)

  • 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99-219
    • /
    • 2015
  • 본 연구는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 셀프리더십, 보육교직원의 지지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국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491명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사회적 지지 질문지(이재영, 2012), 역할수행 질문지(박복매, 2011)와 셀프리더십 질문지(박동현, 2014)를 사용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ANOVA 검증, $Scheff{\acute{e}}$의 사후검증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임유아교사의 보수와 학력, 연령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지지, 역할수행, 셀프리더십은 각각 집단 간 유의차가 있었다. 기관유형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역할수행은 집단 간 유의차가 있었으나 셀프리더십에서는 집단 간 유의차가 없었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임유아교사의 개인변인을 고려하여 역할수행과 셀프리더십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원장이나 동료교사의 실질적인 지원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