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ren's Understanding on the Roles of Male Childcare Teachers and Children's Gender Role Concepts

유아가 인식하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과 유아의 성역할 개념

  • 임정수 (인하대학교대학원 아동복지학전공) ;
  • 이완정 (인하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4.06.15
  • Accepted : 2015.02.03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ildren's perspectives on the role of male childcare teachers and children' s gender role concepts.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it comes to how the children perceive the roles of the male childcare teacher, the children mostly saw the male childcare teacher as a person who teaches and in another case, they regarded him as someone who takes care of their daily life and who is willing to play games with them. On the other hand, the male childcare teacher's organizing of an environment, supporting tasks and working on a computer were perceived less by the children. In terms of the gender role concepts, the study confirmed that depending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male childcare teacher, the children in the male childcare teacher's class had better understanding than those children in the female childcare teacher's class. In order to secure the children's right to participate specified in the conven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 the study applied not only the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but also their drawings to the analysis, and that was what led the study to an in-depth discussion on the perception of the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가 인식한 남성보육교사의 역할과 남성보육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른 유아의 성역할 개념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교사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 유아 3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그림 그리기를 실시하고, ${\chi}2$ 검증 및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 38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성역할 개념의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가 인식한 남성보육교사의 역할은 가르치는 역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상을 돌보는 역할, 놀이자의 역할이 그 다음으로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환경을 조직하는 역할, 업무를 지원하는 역할, 컴퓨터로 일하는 역할은 낮게 나타났다. 성역활 개념에서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라 남성보육교사의 유아가 여성보육교사의 유아보다 성역할 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권리협약에 명시된 유아의 참여권을 보장하기 위해 유아와의 인터뷰뿐만 아니라 유아의 그림 자료도 분석에 활용하여 유아가 인식하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유진 (2003). 양성 평등의식 교육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경미, 양혜영 (2005). 성역할 개념의 발달과 분화: 다차원적 관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8(3), 1-20.
  3. 김경애 (2000). 보육교사의 역학수행에 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남지, 한유경 (2011). 초등학교 담임교사 역할수행의 성차 분석. 교육과학연구, 42(1), 51-76.
  5.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동문사.
  6. 김완신 (2003).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역할 인식변화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은정 (2008). 양성 평등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정순 (2003). 양성 평등 프로그램 활동의 유아 적용효과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종숙 (2005). 반편견 그림동화 활동과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자아 존중감.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현진 (2012). 보육교사의 기관변인에 따른 역할수행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2(2), 47-66.
  11. 나윤경 (2011). 여성주의 질적 연구방법이 평생교육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 평생교육학연구, 17(1), 143-164.
  12. 나정 (2004). OECD 검토보고서: 한국 유아교육과 보육정책에 대한 총괄적 진단과 대정부권고. 서울: 교육개발원.
  13. 류왕효, 임정수 (2005). 남성보육교사 선호에 대한 부모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1(21), 477-491.
  14. 박성남 (2010). 예비 보육교사와 현직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신연 (2008).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재정, 조순묵 (2003). 초등학교에서 교사의 성이 편중된 체육수업을 경험한 학생의 인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0(3), 97-121.
  17. 박종필 (2013). 교직의 여성화 현상에 관한 논쟁 분석. 초등교육연구, 24(1), 279-293.
  18. 박지영 (2011). 보육교사가 지각한 조직 내 의사소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박향숙 (1994). 유치원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백혜리 (2008). 보육교사론. 서울: 동문사.
  21. 보건복지부 (2010). 2009년 보육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22. 보건복지부 (2011). 2010년 보육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23. 보건복지부 (2012). 2011년 보육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24. 보건복지부 (2013). 2012년 보육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25. 보건복지부 (2014). 2013년 보육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26. 성소영 (2008). 유아교육에서의 성의 불균형 : 남자 교사의 부재. 사회과학논총, 27(1), 231-244.
  27. 성용구 (2009).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표상활동을 통한 유아들의 지식구성. 열린교육연구, 17(2), 155-181
  28. 심영희, 성소영 (2013).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역할수행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 아동교육, 22(2), 121-138.
  29. 안경하, 서지민, 황선경 (2009). 남자 임상간호사의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성인간호학회지, 21(6), 652-665.
  30. 양지영 (2007). 영아반 미혼초임교사의 역할과 갈등.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오선영 (2003). 어린이집교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5(2), 23-45.
  32. 우민정 (1996). 성역할 평등개념에 기초한 교육내용 및 교수방법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이나미 (2006). 남자 유아 교사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이윤정, 성소영 (2013).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 성역할 인식과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리더십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3(1), 113-132.
  35. 임옥경 (2002). 유아․부모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양성적 성역할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임자영, 이대균 (2013). 남자 유치원 초임교사의 허물벗기.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3), 229-261.
  37. 정옥분, 김숙령, 권민규 (2004).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적 특성 평가에 기초한 보육의 질 제고. 대한가정학회지, 42(6), 123-136.
  38. 정은정 (2003). 양성 평등 프로그램 활동이 유아 적용효과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정혜정, 공미혜, 전영주, 정현숙 (2010). 가족과 젠더. 서울: 신정
  40. 조경자, 이현숙 (2004). 유아교사가 되려는 남자 대학생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187-214.
  41. 조방제, 김판희 (2004). 보육시설의 교사역할에 대한 교사와 시설장의 인식 비교연구. 열린유아 교육연구, 9(2), 101-122.
  42. 좌현숙 (2011). 성역할 고정관념 발달궤적의 성차와 예측요인. 청소년학연구, 18(9), 237-263.
  43. 채진영, 이강이 (2009). 남자영유아교사 관련 경험 유무에 따른 어머니, 아버지, 여교사, 여원장의 남자영유아교사에 대한 인식의 차이. 유아교육학논집, 13(2), 37-57.
  44. 최수아 (2005).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최연철 (2003). 남자유아교사로 살아가기. 열린유아교육연구, 8(3), 25-43.
  46. 최영주 (2001). 유치원내 남자 체육교사가 유아의 성역할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7. 최종문 (2010). 남자영유아교사와의 근무 경험 유무에 따른 유아교유기관 교직원의 남자영유아교사에 대한 인식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최종미 (2006). 성불균형 현상과 관련한 남성유아교사에 대한 인식 조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최지훈, 임원신 (2012). 남자유아교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아동학회지, 33(2), 165-183. https://doi.org/10.5723/KJCS.2012.33.2.165
  50. 한국 여성개발원 (2000). 취학전 아동의 양성평등의식 교육프로그램. 서울: 여성개발원.
  51. 홍연애(2009). 남자 유아교육실습생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효과. 영유아교육연구, 12(1), 19-30.
  52. 황해익 (2010). 아동연구방법. 경기도: 정민사.
  53. Cunningham, B., & Watson, L. W. (2002). Recruiting male teacher. Young Children, 49(6), 10-15.
  54. Darbyshire, P., Macdougall, C., & Schiller, W. (2005). Multiple methods in qualitative research with children: More insight or just more? Qualitative Research, 5(4), 417-436. https://doi.org/10.1177/1468794105056921
  55. Diamond, K., & Cooper, D. (2000). Children's perspectives on the roles of teachers and therapists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program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1(2), 203-216.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102_5
  56. Elicker, J. (2002). Viewpoint More m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y? Young Children, 49(6), 50-54.
  57. Harris, K., & Barnes, S. (2009). Male teacher, female teacher: Exploring children's perspectives of teachers' role in kindergarten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9(2), 167-181. https://doi.org/10.1080/03004430802667005
  58. Marantz, S. A., & Mansfield, A. F. (1997). Maternal employment of sex-role stereotyping in five-to-eleven year-old girls. Child Development, 48(2), 668-673. https://doi.org/10.1111/j.1467-8624.1977.tb01216.x
  59. Sanders, K. (2002). Viewpoint men don't care? Young Children, 57(6), 44-48.
  60. Sumsion, J. (2005). Mal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sues and case stud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1), 109-123. https://doi.org/10.1016/j.ecresq.2005.01.001

Cited by

  1. Becoming ‘us’ not ‘him’: supporting strategy for beginning male teacher of the daycare center director vol.36, pp.5, 2015,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