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Process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in Child Care Practice  

You, Byoungye (인하대학교 대학원 소비자아동학과)
Yang, Sungeun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전공)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9, no.3, 2013 , pp. 95-11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study use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an in-depth study on child care practice for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The study shows firstly that prior to practice, a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expects to perform a dual role. The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conceives an unequal, vertical relationship with a practice guidance teacher and serves as someone between a teacher and a friend to children, while perceiving the facility head as a mediator and practice colleagues as companions. Secondly, the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performed a triple role, while the practice guidance teacher played the role of a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A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has mutually supportive interaction with a practice guidance teacher and serves as someone between a teacher and a friend, while acting as an important supporter to the facility head and as an uncomfortable competitor to a practice colleague. Thirdly, when a practice is completed, a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feels satisfied and sorry, while emphasizing a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a curriculum.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lies in figuring out the needs for child care practice for a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who is the subject in child care practice to suggest improvements for a qualitative enhancement of child care practice.
Keywords
child care practice;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qualitative research;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남연, 조형숙(2009). 보육실습 경험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영아에 대한 이해과정의 교육적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3(1), 249-268.
2 김선영, 서원경(2010). 보육실습 현장에서 실습생이 들려주는 스트레스와 대처. 아동학회지, 31(2), 135-150.
3 김의향, 서문희, 성미영, 민미희(2010). 우리나라 보육실습의 현황분석: 보육실습 기관 및 지도교사, 보육실습생, 보육실습 지도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8(6), 57-70.
4 남명자(2008). 보육실습에서 겪은 실습교사의 관계 경험과 그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2(5), 5-29.
5 남미경(2006). 예비보육교사의 교사역할 인식 및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보육실습기관 관련 변인의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177-198.
6 류왕효(2005). 보육실습에 관한 예비교사의 질문과 지도교사의 요구도 연구. 교수논총, 17, 103-102.
7 박낭자, 백미열, 윤희경, 이정란, 정수미, 조인숙, 조혜경, 최경애, 황혜경(2009). 보육실습의 이해. 서울 : 창지사.
8 박은미(2009). 예비 유아교사들의 실습불안과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4), 195-218.
9 박은혜, 조운주(2006). 반성적 실천을 위한 유아교육실습. 서울 : 창지사.
10 변영신(2010). 보육 관련 학과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2), 57-80.
11 성원경(2007). 실습 전 . 후 및 초임시기의 유치원교사 지식구성에 관한 연구 : 통합적 유아교육과정 운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성원경(2009). 현장 경험에 따른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지식 변화.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4), 5-26.
13 양성은(2008). 국제결혼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4, 37-60.
14 염지숙(2003). 유아교육실습 : 예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한국교원교육연구, 20(2), 223-248
15 우지선(2009). 보육실습생의 역할에 대한 현직보육교사와 예비보육교사의 인식비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2).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 박영사.
17 유영의, 유홍옥(2005).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실습지도교사교육을 통한 실습지도 교사의 발달적 변화.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2), 67-95.
18 윤기영, 정현숙, 류칠선, 차미자, 신현주(2001). 유아교육 실습지도 지침서. 서울 : 양서원.
19 윤숙현(2009). 보육시설 예비교사의 보육실습 전후 자기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9(3), 41-67.
20 이대균, 김선구(2009). 교육실습 기간 중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 수업의 특징. 유아교육학논집, 13(3), 313-338.
21 이부미, 임현숙(2013). 보육교사 되어 가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95-135.
22 이선미(2012).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179-200.
23 이정미, 김은정(2009). 예비 유아교사들이 경험한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의 차이.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303-325.
24 이종숙(2008).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행숙(2005). 어린이집 보육실습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교양학회지, 14, 137-165.
26 조부경, 김정화(2005). 유아교육실습. 서울 : 학지사
27 조운주(2004). 유아교육실습생의 특성 및 지원맥락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교육연구, 21(2), 5-25.
28 차봉춘(2009). 초등학교 교육실습생의 현장실습 경험의 의미탐색.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천혜정, 서영숙(2010). 영아반 보육실습 체험에 대한 의미. 한국보육지원학회, 6(1), 177-199.
30 최애경(2007).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 전.후에 따른 교사 이미지 변화. 아동교육, 16(3), 291-302.
31 현정환(2003).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4(6), 117-131.
32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2nd ed.). Thousand Oak, CA: Sage.
33 David, L. M. (2007). 질적 연구로서의 포커스 그룹[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김성재.오상은.은영.손행미.이명선 역), 서울: 군자출판사. (1996년 원저 발간).
34 Ryan, S., & Grieshaver, S. (2005). Shifting from developmental to postmodern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6(1), 34-45.   DOI   ScienceOn
35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nquense University Press.
36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CA: Sage.
37 Padgett, D. K. (2008).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유태균 역). 서울 : 나남 출판사. (1998년 원저 발간).
38 Steinar, K., & Svend, B. (2009). Interviews: learning the craft of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ing. 2nd Edition. Californi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