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턱전압 이하 기울기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Steep subthreshold slope at elevated temperature in junctionless and inversion-mode MuGFET (고온에서 무접합 및 반전모드 MuGFET의 문턱전압 이하에서 급격히 작은 기울기 특성)

  • Lee, Seung-Min;Park, Jong-T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9
    • /
    • pp.2133-2138
    • /
    • 2013
  • In this paper, the variation of a steep subthreshold slope at elevated temperature in nanowire n-channel junctionless and inversion mode MuGFETs has been compared.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subthreshold slopes a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operation temperature in junctionless and inversio-mode transistors. The variation of a subthreshold slope with operation temperature is more significant in junctionless transistor than inversion-mode transistor. The temperature dependence on the variation of a subthreshold slope for different fin widths shows a similar behavior regardless of fin width. From the temperature dependence on the variation of a subthreshold slope for different substrate biases,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variation of a subthreshold slope is less significant when the substrate bias was applied. It is worth noting that one can achieve a subthreshold slope of below 41mV/dec at elevated temperature of 400K using the junctionless MuGFETs with a positive substrate bias.

Comparison of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of Nanosheet FET and FinFET (Nanosheet FET와 FinFET의 전류-전압 특성 비교)

  • Ahn, Eun Seo;Yu, Yun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05a
    • /
    • pp.560-561
    • /
    • 2022
  • In this paper,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of Nanosheet FET (NSFET) and FinFET are simulated with 3D device simulator. The threshold voltage and subthreshold swing extracted from the simulated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of NSFET and FinFET were compared. Both of threshold voltage and drain current of NSFET are higher than those of FinFET. The subthreshold voltage swing (SS) of NSFET is steeper than that of FinFET.

  • PDF

Comparison of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by Doping Concentrations of Nanosheet FET and FinFET (Nanosheet FET와 FinFET의 도핑 농도에 따른 전류-전압 특성 비교)

  • Ahn, Eun Seo;Yu, Yun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121-122
    • /
    • 2022
  • In this paper, the device performance with the structure of Nanosheet FET (NSFET) and FinFET is simulated through a three-dimensional device simulator.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of NSFET and FinFET were simulated with respect to channel doping concentrations, and the performance such as threshold voltage and subthreshold swing extracted from the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was compared. NSFET flows more drain current and has a higher threshold voltage in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channel doping concentration than that of FinFET. The subthreshold voltage swing (SS) of NSFET is steeper than that of FinFET

  • PDF

Ultraviolet (UV)Ray 후처리를 통한 InGaZn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변화에 대한 연구

  • Choe, Min-Jun;Park, Hyeon-U;Jeong, Gwon-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33.2-333.2
    • /
    • 2014
  • RF 스퍼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IGZO 박막 트랜지스터 및 단막을 제조하여 UV처리 유무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IGZO 박막 트랜지스터는 Bottom gate 구조로 제조되었으며 UV처리 이후 전계효과 이동도, 문턱전압 이하 기울기 값등 모든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 하였다. 이후 UV처리에 따른 소자의 전기적 특성 개선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기위해 물리적, 전기적, 광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XRD분석을 통해 UV처리 유무에 따른 IGZO박막의 물리적 구조 변화를 관찰했지만 IGZO박막은 UV처리 유무에 상관없이 물리적 구조를 갖지 않는 비정질 상태를 보였다. IGZO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이하의 기울기 값과을 통하여 반도체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의 양을 계산한 결과 UV를 조사하였을 때 결함의 양이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이 결과는 SE를 통해 밴드갭 이하 결함부분을 측정하였을 때와 같은 결과였다. 또한 UV처리 전에는 shallow level defect, deep level defect등의 넓은 준위에서 결함이 발견된 반면 UV처리 이후에는 deep level defect준위는 없어지고 shallow level defect준위 역시 급격하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IGZO 박막의 경우 UV처리를 함에 따라 결함의 양이 감소하여 IGZO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계 효과 이동도를 증가 시킬 뿐 아니라 문턱전압 이하 기울기 값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Device Design Guideline to Reduce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with Fin Width in Junctionless MuGFETs (핀 폭에 따른 문턱전압 변화를 줄이기 위한 무접합 MuGFET 소자설계 가이드라인)

  • Lee, Seung-Min;Park, Jong-T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1
    • /
    • pp.135-141
    • /
    • 2014
  • In this paper, the device design guideline to reduce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with fin width in junctionless MuGFET has been suggested.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fin width in junctionless MuGFETs. To reduce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with fin width in junctionless MuGFETs, 3-dimensional device simulation with different gate dielectric materials, silicon film thickness, and an optimized fin number has been perform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can be reduced by the gate dielectric materials with a high dielectric constant such as $La_2O_3$ and the silicon film with ultra-thin thickness even though the fin width is increased. Particularly, the reduction of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and the subthreshold slope by reducing the fin width and increasing the fin numbers is known the optimized device design guideline in junctionless MuGFETs.

2D Tunneling Effect of Pocket Tunnel Field Effect Transistor (포켓 구조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2D 터널링 효과)

  • Ahn, Tae-Jun;Yu, Yun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10a
    • /
    • pp.243-244
    • /
    • 2017
  • This paper introduces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unneling currents in the 1D and 2D directions for the calculation of the band-to-band tunneling currents of th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s. In the two-dimensional tunneling, diagonal tunneling is not calculated in the one-dimensional tunneling so that more accurate tunneling current can be calculate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tunneling in the two - dimensional direction has no effect on the voltage above the threshold voltage, but it affects the subthreshold swing below the threshold voltage.

  • PDF

The Characteristics of Amorphous-Oxide-Semiconductor Thin-Film-Transistors According to the Active-Layer Structure (능동층 구조에 따른 비정질산화물반도체 박막트랜지스터의 특성)

  • Lee, Ho-Ny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7
    • /
    • pp.1489-1496
    • /
    • 2009
  • Amorphous indium-gallium-zinc-oxide thin-film-transistors (TFTs) were modeled successfully. Dependence of TFT characteristics on structure, thickness, and equilibrium electron-density of the active layer was studied. For mono-active-layer TFTs, a thinner active layer had higher field-effect mobility. Threshold voltage showed the smallest absolute value for the 20 nm active-layer. Subthreshold swing showed almost no dependence on active-layer thickness. For the double-active-layer case, better switching performances were obtained for TFTs with bottom active layers with higher equilibrium electron density. TFTs with thinner active layers had higher mobility. Threshold voltage shifted in the minus direction as a function of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layer with higher equilibrium electron-density. Subthreshold swing showed almost no dependence on active-layer structure. These data will be useful in optimizing the structure, the thickness, and the doping ratio of the active layers of oxide-semiconductor TFTs.

Characteristic Analysis of 4-Types of Junctionless Nanowire Field-Effect Transistor (4가지 무접합 나노선 터널 트랜지스터의 기판 변화에 따른 특성 분석)

  • Oh, Jong Hyuck;Lee, Ju Chan;Yu, Yun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381-382
    • /
    • 2018
  • Subthreshold swings (SSs) and on-currents of four types of junctionless nanowire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JLNW-TFET) are observed. Ge-Si structure for the source-channel junction has the highest drive current among Si-Si, Si-Ge, and Ge-Ge junction, and the drive current increases up to 1000 times compared to others. Minimum SS of Si-Si junction is reduced by up to 5 times more than others.

  • PDF

자체 증폭에 의하여 저 전압 구동이 가능한 이중 게이트 구조의 charge trap flash (CTF) 타입의 메모리

  • Jang, Gi-Hyeon;Jang, Hyeon-Jun;Park, Jin-Gwon;Jo, W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185-185
    • /
    • 2013
  •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집적화 기술이 발달하고 소자가 나노미터 크기로 집적화 됨에 따라 문턱 전압의 변동, 높은 누설 전류, 문턱전압 이하에서의 기울기의 열화와 같은 단 채널 효과가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비 휘발성 플래시 메모리에서 메모리 윈도우의 감소에 따른 retention 특성을 저하시킨다. 이중 게이트 구조의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transistors (MOSFETs)은 이러한 단 채널 효과 중에서도 특히 문턱 전압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이중 게이트 MOSFETs는 상부 게이트와 하부 게이트 사이의 capacitive coupling을 이용하여 문턱전압의 변동의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기존의 플래시 메모리는 쓰기 및 지우기 (P/E) 동작, 그리고 읽기 동작이 채널 상부의 컨트롤 게이트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메모리 윈도우 및 신뢰성은 플로팅 게이트의 전하량의 변화에 크게 의존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 윈도우의 크기가 결정되고, 높은 P/E 전압이 요구되며, 터널링 산화막에 인가되는 높은 전계에 의하여 retention에서의 메모리 윈도우의 감소와 산화막의 물리적 손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신뢰성 및 수명을 열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부 게이트 산화막과 하부 게이트 산화막 사이의 capacitive coupling 효과에 의하여 하부 게이트로 읽기 동작을 수행하면 메모리 윈도우를 크게 증폭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작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중 게이트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capacitive coupling 효과에 의하여 크게 증폭된 메모리 윈도우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저전압 구동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전자구조 및 화학적 물성 변화에 따른 InGaZnO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자 특성 연구

  • Kim, Bu-Gyeong;Park, Hyeon-U;Jeong, Gwon-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34.2-334.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a-InGaZnO (IGZO) 활성층에 대기분위기에서 열처리 온도를 각각 $150^{\circ}C$, $250^{\circ}C$, $350^{\circ}C$ 실시하여 전자구조와 광학적 특성분석 및 화학적 결합 상태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러한 물성 변화에 따른 소자의 특성을 알아 보았다. 박막 트랜지스터 소자의 전기적 특성은, IGZO 박막에 후 열처리 공정온도 후 제작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150^{\circ}C$에서 3.1 cm2/Vs의 전계 효과 이동도와 0.38 V/decade의 문턱전압 이하 기울기를 보였으나, $350^{\circ}C$에서는 8.8 cm2/Vs의 전계 효과 이동도와 0.20 V/decade의 문턱전압 이하 기울기로 더 향상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결과를 관측하였다. 전기적 소자 특성의 변화와 활성층 IGZO 박막 특성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X-ray Absorption Spectroscopy (XAS)과 Spectroscopy Ellipsometry (SE)로 측정된 흡수 스펙트럼을 통하여 3 eV 이상의 광학적 밴드 갭은 기존에 보고 되었던 a-IGZO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측정, 분석법들을 통해 후 열처리 공정 온도에 따른 밴드 갭 부근의 결함준위의 양 변화와 가전자대의 전자구조의 변화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달라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X-ray Photoemission Spectroscopy (XPS)를 통해 측정한 O-1s를 통해 Oxygen deficient state와 밴드 갭 부근의 결함준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이는 a-IGZO 활성층에 후 열처리 공정 온도 변화에 따라서 전자구조의 혼성변화와 밴드 갭 부근의 결함준위의 양의 변화, 에너지 준위의 변화 및 이와 연관된 화학적 상태 변화가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