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수행능력

검색결과 640건 처리시간 0.038초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on Clinical competence)

  • 박공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7-54
    • /
    • 2019
  • 본 연구는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G도에 소재한 전문대학 간호학과 3, 4학년 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 경험은 수행자신감(r=.446,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임상수행능력(r=-.206, p=.001)과 부적상관관계를 수행자신감은 임상수행능력(r=-.346, p<.001)과 부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수행자신감(${\beta}=-.317$, p<.001)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수행능력 설명력은 11.3%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원활한 실습교육을 위해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among Nursing Students)

  • 양승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9-51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 224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자아탄력성,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자아탄력성, 핵심수행능력 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핵심수행능력은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자아탄력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준비도(${\beta}=.413$), 학년(${\beta}=.165$), 임상실습만족도(${\beta}=-.160$), 자아탄력성(${\beta}=.159$), 재난교육경험(${\beta}=-.120$)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핵심수행능력의 35.8%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들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의 융복합적 관계 (Convergence Relationship among Interpersonal Competence, Clinical Stress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임은정;이미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279-286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3, 4학년 2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대인관계능력은 3.36점, 임상실습스트레스는 2.80점, 임상수행능력은 3.48점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과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으로 설명력은 26.4%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과정 개발시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Program on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Clinical Competenc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62-37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반 간호학생에게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었으며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의 원시실험연구였다.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총 12회기로 운영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간호대학의 졸업학년 총 192명이었으며 2017년 3월 20일부터 6월 23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는 AMOS 20.0과 S AS 9.3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술통계와 paired t-test, t-검정, ANOVA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 인식으로 수기능력 증진 도움 여부는 사전 $(3.42{\pm}.42)$점, 사후 $3.88({\pm}.61)$점, 임상적응력증진 도움 여부는 사전 $3.74({\pm}.47)$점, 사후 $(3.98{\pm}.67)$점으로 나타났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p=.017)과 임상수행능력(p=.041)은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상자의 사후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은 남성 군(p=.003), 간호학전공 만족도가 매우 만족한 군(p=<.000), 핵심경진대회 참여 목적은 자신감 향상 군(p=.044)에서, 사후 임상수행능력은 남성 군(p=.013), 간호학전공 만족도가 매우 만족한 군(p=.009), 핵심경진대회 참여 목적은 자신감 향상 군(p=.047), 사후 문제해결과정은 남성 군(p=.005), 간호학전공 만족도가 매우 만족한 군(p=<.000), 핵심경진대회 참여 목적은 자신감 향상 군(p=.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졸업반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박영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7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을 적용한 후 간호수행능력과 실습만족도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189명이며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은 2015년 8월 28일~11월 27일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후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수행능력이 실습 전보다 실습 후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t=-14.42, p<.001), 실습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53점(${\pm}.58$)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실습만족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므로 추후 교육과정에서 체계화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과 운영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Solving Skills on Relationship between Confidence in Performing Core Nursing Skills and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서은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159-166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시에 소재한 S대학의 간호대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2023년 8월 14일부터 2023년 8월 18일까지 자가 기입식 설문지로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4.2.2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는 lavaan package의 sem function, multilevel package의 sobel function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문제해결능력, 임상수행능력 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핵심간호술 수행자심감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핵심간호술 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간호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Core Nursing Skills Improvement Program on Nursing Skills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하영옥;안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23-231
    • /
    • 2017
  • 본 연구는 핵심간호술 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간호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융합적으로 검증하여 간호학생의 수행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첫 임상실습을 앞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7개 핵심간호술(활력징후 측정, 경구투약, 근육주사, 피하주사, 단순도뇨, 배출관장,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을 선정하여 2015년 1월 19일부터 23일까지 5일간 핵심간호술 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158명의 자료는 서술적 분석과 짝비교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간호술 강화프로그램 후 간호학생의 간호술 수행능력 점수는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자신감과 문제해결능력에서 사전보다 사후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총 수행능력과 관련변수들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간호술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방문건강관리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방문간호 지식, 문제해결 능력,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Home Health Nursing Practical Education Program Applying Simulation on Knowledge related Home Health Nurs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y)

  • 김미한;하영선;나윤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605-616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방문건강관리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일개 간호대학생 60명에게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고, 개발한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방문건강관리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2주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3월 29일부터 5월 7일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C+ 19.0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효과 검증한 결과 방문간호 지식, 문제해결 능력, 임상 수행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방문건강관리 실습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방문간호지식, 문제해결 능력을 높이고 임상수행 능력을 높여 방문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이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과정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Education on Nursing Process Competency)

  • 임정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401-40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 전후의 간호과정 수행능력, 비판적사고성향과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실습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2021년 2월부터 4월까지 간호대학생 31명에게 URL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 후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 수행능력(t=-3.776, p=.001), 비판적사고성향(t=-3.608, p=.001), 자기효능감(t=-3.580, p=.001)이 교육 전보다 유의하게 높아졌다. 또한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은 집단과 임상실습만족도가 보통인 집단과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에서도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 후 간호과정 수행능력, 비판적사고성향, 자기효능감이 교육전보다 유의하게 높아졌다.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과정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임상실습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시나리오 개발과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조미옥;백경화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7-44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일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 12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2년 10월부터 12월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T검정, 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결과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 및 임상수행능력은 양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은 임상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임상수행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1.9%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강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간호교육과정 개발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