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high school

검색결과 511건 처리시간 0.026초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공작실습에서 프로젝트 학습법의 적용이 학생들의 직업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 for the Arts and Crafts by machine for Project Based Learning upon Improving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y for Vocation)

  • 이영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4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프로젝트 학습법에 의한 기계공작실습이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이와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현직교사 및 예비교사들에게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관심을 둔 직업기초능력은 의사소통 능력, 정보활용 능력, 팀워크 능력, 문제해결 능력, 도구활용 능력, 책임감 및 자신감 영역이었다. 이 여섯가지 영역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전통적인 실습 방법보다 프로젝트 학습법의 적용이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로 공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해 그리고 후속연구의 질적 제고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정보활용능력과 같은 직업기초능력이 있는 인재들을 효과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과 활용이 필요하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보다 객관적인 검사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프로젝트 학습법은 학습자들의 전인적 직업기초능력을 함양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에 비추어볼 때, 공업계 고등학교의 수업개선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와 적용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학습법에 대한 교원연수를 강화하고 다양한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지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chool Adjust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박소현;송교원;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1-57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정서지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높이는 효과적인 전략에 대한 연구 및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포함, 정서지능 측정 도구(40문항)와 학교적응 측정 도구(20문항)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전국 5개 권역 18개교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76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에 비해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에 대한 정서지능의 설명력은 33.6%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학교적응도 높은 것을 나타내므로, 정서지능이 특성화고등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서지능은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교우관계에 가장 큰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에 비해 교우관계가 상대적으로 좋다고 볼 수 있으며, 교우관계가 좋을수록 자기효능감, 수업몰입, 회복탄력성 등이 높기 때문에 학교적응 또한 높은 것임을 알 수 있다.

고등학생의 부정적 식이습관과 관련요인 (The Association of Unhealthy Eating Habit with Students of High Schools in Seoul)

  • 신선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1-37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the unhealthy eating habit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ith their school types. Methods: In cross-sectional study, secondary data was used, representative sample of 7,284 subjects,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onsumption rates of Ramyun, Fast-food, and a breakfast-skipping rate were compared by the gender, grade, and school type. Descriptive statistics, ${\chi}^2$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odds ratios (OR) of associated factors on the breakfast-skipping were 1.25 times higher in the 11th grade, 1.26 times in the 12th grade (reference: 10th grade), 1.21 times in school for both gender (reference: only male gender), 2.63 times in the general high school, 4.82 times in the vocational (reference: the autonomous private). The odds ratios (OR) of associated factors on frequent Ramyun intake were 2.10 times in male, 1.79 times in both gender (reference: only male gender), 2.01 times in the general high school, vocational 5.26 times (reference: the autonomous private). The odds ratios (OR) of associated factors on frequent Fast-food intake were 1.89 times in school for both gender (reference: only male gender), 3.93 time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reference: the autonomous private). Conclusion: Student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an those of the autonomous private had more and more the breakfast-skipping rate, and had more consumption rates of Ramyun and Fast-foo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intervention for students, diversified school health policy as well as health education to right food intake consumption are needed.

비즈쿨에 대한 실업계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f Perceptional differenc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existence of The BizCool)

  • 박종운;이용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39-48
    • /
    • 2006
  • This study is supposed to grasp how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BizCool) that has been set as an example since April, 2002 has changed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values or courses and then as the result of it, to get the early outcome of The Bizcool. The extent of the model schools mainly concentrated in the industrial and commercial department has to be spreaded to the students of various departments. In addition, diversific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 would be able to support the accomplishment of the suitable The Bizcool. The effectiveness of The Bizcool has been proven in various parts today, so its application is being magnified gradually. Also it is expected that many schools will adopt this program from now on. The Bizcool that has been executed to enhance the vision and self-confidenc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or their foundation, needs first of all, persistent support, investment and administration, and through these processes it will contribute to change the awareness about social unemployment problems and the vocational high schools.

아산지역 특성화고 설치에 대한 중학교 학생, 학부모, 산업체의 요구 조사 연구 (An Investigative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s and Industrial Institu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Asan Area)

  • 이병욱;안재영;이찬주;이상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22
    • /
    • 2014
  • 이 연구는 중학교 학생 및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요구를 조사 및 분석하여 아산지역 특성화고 설치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아산시 중학교 학생 및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가 인식하는 아산시 특성화고 설치에 필요한 수요, 희망학과 및 지역 등의 요구를 설문 조사 및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대상은 아산시 전체 중학교에서 학교별 3학년 1학급에서 표집된 학생과 학부모를 선정하였다. 또한, 산업체 인사 담당자는 종사자수 10명 이상의 산업체를 무선 표집하여 선정하였으며, 분석 대상 수는 학생 484, 학무모 458, 산업체 81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3학년 학생중에서 직업교육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은 18.5%이고, 아산시에 특성화고 설치된다면 72.6%가 진학 가능성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중에서 8.8%는 반드시 진학하겠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학부모 중에서 직업교육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학부모는 30.8%이고, 아산시에 특성화고 설치된다면 76.9%가 진학 가능성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중에서 8.4%는 반드시 진학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산업체 인사 담당자는 아산지역 특성화고 졸업생 중에서 98.8%를 채용 및 채용 가능성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중에서 17.3%는 반드시 채용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채용 시기에 대한 응답은 '1년 이내'가 49.4%, '1~5년 이내'가 30.9%였으며, 근무할 직종은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가 60.8%, '기능원 및 기능종사자'가 31.6%였다. 넷째, 아산시 특성화고 설치시 가장 선호하는 학과에 대하여 중학생은 가정가사, 학부모는 전기전자, 산업체는 자동차기계로 응답하였다. 계열별로는 응답자의 절반이상이 공업계열을 희망하였다. 다섯째, 아산시 특성화고 설치시 희망 지역에 대하여 중학생과 학부모는 온양동, 산업체는 둔포면으로 응답하였고, 대체로 희망하는 지역과 주거지가 일치하였다.

학교기업제도와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연계방안 연구 - 실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to the School-Based Enterpris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 남영숙;조현래
    • 환경영향평가
    • /
    • 제14권4호
    • /
    • pp.203-215
    • /
    • 2005
  • Recently, a number of high school, college and university run the School-Based Enterprises(S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grat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to the SBE run by vocational high schools.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takes following research considerations.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 the theories of SBE and ESD. Secondly, We extract the factors to analyze from the ESD point of view and integrate them into the SBE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irdly,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and methods to integrate ESD into the SBE. ESD could serve important roles to promote the SBE by stimulat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mproving human abilities in solving both the environment and development problems.

직업계 고등학교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육 수요자 인식 조사 (An Investigation into Perception of Educational Consumers on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 윤소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71-281
    • /
    • 2021
  • 이 연구는 직업계 고등학교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육 수요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자는 A광역시에 위치한 직업계 고등학교의 학생, 학부모,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생 541명, 학부모 261명, 교원 179명의 총 981명의 응답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IBM SPSS 21을 활용하여 일원변량분석과 χ2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학점제에 관한 인식 영역의 모든 응답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교원-학생, 교원-학부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운영 영역의 조기졸업 필요 여부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학생의 평균이 학부모와 교원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업 운영 및 평가 영역 중 교사들의 다양한 교수법 활용도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학부모와 교원의 평균이 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충청북도 직업교육 중·장기발전 방안 (Research on development plan of medium and long period of Vocational Education for Chungbuk)

  • 오승균;우상호;은태욱;김진권;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46-169
    • /
    • 2006
  • 'VEC 2010'은 2010년까지 충청북도 직업교육(Vocational Education for Chungbuk)에 대한 중 장기 발전 방안의 비전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학교실정에 맞도록 '3-Type 교육과정'의 유형을 선택 도입하고, 각 권역별로 지역 산업 클러스터와 연계하여 전문화된 특성화고등학교로 전환하여 운영한다. 또한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중점을 둔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통합형고등학교를 운영한다. 충청북도 직업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대학 진학을 위한 계속교육과 취업을 위한 종국교육으로, 이원화된 교육을 실시하여 21세기 지식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VEC 2010'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계고등학교의 중 장기 운영 체제 유형을 일반 실업계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단일형, 복합형)로 제시하였다. 둘째, 충청북도 실업계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유형을 '3-Type(취업중심형, 진학중심형, 창업중심형)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편성 운영한다. 셋째, 충청북도 실업계고등학교를 4대 권역으로 나누어 중 장기적 체제 개편 방향을 제시하였다. 넷째, 충청북도 직업교육의 내실화 방안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학력제고, 직업기초능력 신장, 공동실습소의 운영 내실화, 전문교과 인정도서 개발의 행 재정지원, 교육과정 및 진로교육의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특성화고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Job Capability Strengthening Program for Vocational High School with application of CIPP Evaluation Model)

  • 신연주;김선태;송해덕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3호
    • /
    • pp.1-23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CIPP 평가모형의 상황, 투입, 과정, 산출적 국면에 따라 특성화고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하여 특성화고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평가지표를 설계하였다. 또한, 이를 타당화하기 위하여 특성화고 취업담당 교사 및 교육관련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델파이 설문 자료 결과를 통해 내용타당도인 CVR 값과 합의도, 수렴도를 통해 의견 일치 정도를 분석하였고, 수정 보완의 과정을 거쳐 최종 평가준거 및 평가지표를 확정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평가준거는 총 7개로 요구분석, 목표설정, 실행계획, 수행내용, 프로그램 활동, 프로그램 관리 및 평가, 프로그램 성과이고, 평가준거 별 평가지표는 총 41개로 구성되었다. 최종 확정된 평가지표는 특성화고 현장에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활용됨으로써 특성화고의 취업역량강화 활동의 질적 향상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업계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재구성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organizing a Textbook on Mathematics Education in a Vocational High School)

  • 오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1호
    • /
    • pp.13-33
    • /
    • 2004
  • Many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mathematical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is study, we have reorganized a typical mathematics textbook used in vocational high schools to check if this reorganization could be effective in students' learning. We also examined students'feeling about this.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we could not find any noticeable differences in students' achievement. But we found that students with a high grade tend to major in mathematics- related subj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