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young child relationship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4초

A Study on Korean-Chinese Childrens Acculturation and Adjustment to the Mainstream Society

  • Cho Bokhee;Han Sae-Young;Lee Joo-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6권1호
    • /
    • pp.87-10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and the daily adjustment of Korean-Chinese children to Chinese societ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language factors and cultural factors in the levels of acculturation of Korean-Chinese children.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Korean-Chinese children's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language-related and culture-related acculturation were analyzed. Subjects consisted of 679 Korean-Chinese 4th graders in Yangil, Shenyang, and Harbin. First, the result from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Chinese children in Yangil, Shenyang, and Harbin were more acculturated to the Chinese language than to Chinese cultural activities. Second, language factors and cultural factors in acculturation were distinctively associated with Korean children's daily adjustment variables such as their well-being, internal locus of control, achievement motivation, school adjustment, teacher and peer support. Lastly, this study revealed that using Korean ethnic language and maintaining Korean ethnic culture are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better daily adjustment for Korean-Chinese children. These results discussed within the uniqu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Korean-Chinese immigrant society. This study suggests that ethnic minority children's adjustment and development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ir immigrant society.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하위유형에 따른 기능장해 (Functional Impairment across Subtype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변수연;이소영;이영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1권2호
    • /
    • pp.72-79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functional impairment betwee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normal controls, and to compare the functional impairment across ADHD subtypes. Methods :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between the ages of 6 and 18 year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Parents and teachers of the ADHD subjects completed the parents' and teachers' forms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Functioning Impairment Scale (CAFI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se scales were compared to those of normal controls. Results : Subjects included 110 children with ADHD, predominantly inattentive type (ADHD-IA) ; 23 with ADHD, predominantly hyperactive-impulsive type (ADHD-HI) ; and 60 ADHD, combined type (ADHD-C). When compared to 41 normal contro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FIS-parent and CAFIS-teacher scales for the ADHD group. Functional impairment in the family relationship as rated by the parents was higher in children with ADHD-C when compared to that of children with ADHD-IA. Conclusion : In comparison to normal children, children with ADHD have a higher level of impairment in several functional areas, and differences exist in functional impairment across ADHD subtypes. Further, ratings of functional impairment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were inconsistent. Thus, gathering information from the teachers is important when diagnosing or establishing treatment regimens for ADHD.

학교분위기가 중학생의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hool Climate on Peer Victimization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김은영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6호
    • /
    • pp.87-111
    • /
    • 2008
  • 본 연구는 중학생의 또래폭력피해 실태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진행되지 않은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분위기의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고 그 상대적인 영향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지역에 있는 11개의 중학교를 편의표집 하여 선정된 중학생들이며 최종적으로 1,204부의 설문조사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피어슨의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의 또래폭력피해 행위 중 언어폭력의 피해행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단계로 구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 모델보다 2단계 모델에서는 설명 변량이 19.6% 증가하였다. 또래폭력 피해 행위에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beta}=.130$), 학교건물의 유지보수(${\beta}=.067$), 교내환경의 안전성(${\beta}=.331$)의 변수들과 통제변수 중 성별과 경제력이 유의미한 변수였으며 전체모델의 23.0%를 설명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학교분위기를 개선시키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예비보육교사의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적성, 행동유형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Teaching Personality·Aptitude, and Behavior Type of Preschool Teachers)

  • 임명희;박윤조;김성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45-16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의 NCS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 적성 및 DISC 행동유형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D대학의 예비보육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NCS 직업기초능력측정검사', '교직 인 적성 검사도구', 그리고 'DISC 행동유형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도성의 성격요인은 수리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교성의 성격요인은 자기개발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성의 요인은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요소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주도성의 특성은 문제해결력/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지식/정보력, 계획성, 성실/책임감과 같은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난 반면에서 안정성은 문제해결력. 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성실/책임감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교육(숲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지식개념 연구 (A Study of Forest Education Concept Mapping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 이연선;견주연;이시은;이소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49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내용과 수준을 분석하여 그들의 현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39명과 3,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60명, 총 99명을 대상으로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종속 개념의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숲교육'에서 '자연(숲)'의 개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생명', 위계는 '치유'와 '생명', 특성화 점수는 '숲 체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4.80의 범위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자연(숲)', 위계는 생명과 자연(숲), 특성점수는 '자연(숲)'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6.78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식수준의 문제점 진단 및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숲유치원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사전교육과 재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숲교육이 올바르게 실천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이미아;강영심;고민정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256-268
    • /
    • 2007
  •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Participants were 73 from both regular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were measured using the Teacher-Child Rating Scale. An important findings of this study described as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between boys and girls. Second, there were moder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between lower and higher grad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ho are higher grade had a significantly more social competence when compared with children who are lower grade.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haviour problems between lower and higher grade. Third, there were moder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between lower and higher IQ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ho are higher IQ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ocial competence an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behaviour problems, when compared with children who are lower IQ. Forth, there were moder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between the regular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groups. Children who attended special education schools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ocial competence an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behaviour problems, when compared with children who attended regular schools. Fifth,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behaviour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social competence intervention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전주 지역 일부 보육교사의 식행동 및 급식 지도 활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ir Meal Attitude Education during Meal Time in Jeonju Area of Korea)

  • 노정옥;이숙인;이진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2-351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ir meal attitudes during meal time in Jeonju are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66 day-care center teachers who worked in a national(public) or private day-care center.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 12.0. All subjects were women, and 64.7% were married(p<0.001), over more than 60% were junior college graduates(p<0.05), and 73.7% had salaries greater than 1,000,000 won(p<0.001). The breakfast skipping ratio of the subjects was very high, and about 66.5% of the respondents had irregular meals. The snack intake ratios of the subjects in private day-care centers were higher than the subjects in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p<0.001). Approximately 56%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education about eating is very important for providing balanced nutrition to young children. About 84% of subjects had no experience with the continuing-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p<0.01), and they wanted to know more about balanced nutrition. The meal attitude education score during meal time was $4.53{\pm}0.36$. The relationship between meal attitude education and the dietary behavior of day-care teach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frequency of overeating"(p<0.05) and "self-recognition of eating habit"(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care center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manage meal attitud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provide good nutrition for themselves.

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지식체계 고찰: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System on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Using Analyses of Content Map)

  • 안수현;김상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1-10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Novak & Gowin, 1984)을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지식체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65명을 대상으로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개념도 작성을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Novak과 Gowin(1984) 및 유진선과 김상림(2018)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개념도에 나타난 내용지식(상위개념과 종속개념의 내용과 빈도) 및 지식수준(상위개념별 종속개념의 수와 위계)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내용지식을 분석한 결과 282개의 상위개념과 종속개념이 나타났으며, 상위개념을 범주화했을 때 '북한에 대한 이해', '분단/통일의 이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통일정책', '남북관계', '교육활동',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의 7개 대표용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상위개념별 종속개념의 수와 위계는 대표용어별로 상이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내용지식은 다양하나 지식수준의 체계성과 위계성은 다소 결여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통일교육의 중요성에 근거하여 이의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지식체계를 고찰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유아통일교육을 위해 프로그램 개발과 교사연수 등 유아교사의 지식체계를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ger-Expression and Ego-Resilience on Teaching Efficacy)

  • 강현영;서현아;엄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93-30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 및 교수효능감을 알아본 후, 각 변인에 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더불어 예비유아교사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12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분노표현, 자아탄력성, 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한 후,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노표현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은 낮아지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대한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 전체가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적 갈등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Tendency of Native Studies on Children's Social Conflicts)

  • 김용숙;박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934-3942
    • /
    • 2012
  • 본 연구는 유아 사회적 갈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연구 시기, 방법, 내용별 동향에 따른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 연구들을 중심으로 101편을 선정하여 연구 기준으로 양적 분석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 사회적 갈등에 관한 연구 연도별 추이는 1995년부터 2005년까지 증가를 보였으며 2005년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유아 사회적 갈등에 관한 연구대상은 또래와의 갈등에 대한 연구 빈도가 월등히 높았으며 부모-자녀, 교사-유아와의 갈등에 대한 연구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연구대상 수는 50명 미만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50명에서 1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빈도가 높았다. 연구기간은 단기 연구가 많았고 종단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방법 유형은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실험처치방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도구 수는 1가지, 2가지, 3가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주제는 유아 사회적 갈등 변인과 유아발달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가장 많았으며 유아 사회적 갈등 변인 및 갈등 양상 분석, 유아 갈등해결전략의 변화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