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integration therapy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27초

관찰 중심의 아동 평가에 대한 고찰 - 관찰법을 중심으로 - (Considerations of the Assessment Based on Observations Against the Child: Methods of Observation)

  • 최은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3-61
    • /
    • 2011
  • 연구의 목적은 아동평가 중 관찰의 유형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아동의 평가에는 관찰, 면담, 표준화된 평가 방식들이 다양하게 이용된다. 감각통합 치료접근을 사용하는 치료사들의 경우, 아동 평가 중 특히 초기평가에서 기본적으로 관찰법을 이용한다. 명확한 관찰은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는 근간이 된다. 따라서 관찰의 기본적인 방법들과 요소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향후 치료사의 관찰능력을 제고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처리특성에 따른 주관적 감각인식의 차이 (The Difference of Subjective Sens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 Processing)

  • 박미희;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1-30
    • /
    • 2007
  • Objective: This study was to provide a standard for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K-ASP)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subjective sense recognit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 processing.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84 University students. A researcher examined subjective sense recognition and K-ASP for subjects. Visual Analog Scale used to evaluate subjective sense recognition and K-ASP was utiliz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 processing. Results: 1. The average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 of K-ASP were $32.93{\pm}7.88$ for low registration group, $39.39{\pm}6.55$ for sensory seeking group, $38.94{\pm}9.13$ for sensory sensitivity group, and $34.24{\pm}7.85$ for sensory avoiding group. 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 on an each quadrant and the subjective sense recognition are -.27 for low registration group, .11 for sensory seeking group, .09 for sensory sensitivity group and .12 for sensory avoiding group. It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 of low registration and the subjective sense recognition group(p<.05). 3. The average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subjective sense recognition were $5.22{\pm}1.56$ for high threshold and $7.28{\pm}1.70$ for low threshold. The subjective sens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 processing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This study supports the theory that there is the difference of sensory recognition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and we found that people with difficulties of sensory processing acknowledge their characteristics of sensory processing well. Evaluati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through interview or questionnaire supports the fact which it is reliable.

  • PDF

국내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Children in Korea)

  • 최연우;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72
    • /
    • 2022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국제기능장애 건강분류에 따른 국내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실태와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감각통합학회지,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재활치료과학,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에 2017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게재된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47편을 대상으로, 연구의 근거 수준, 연구 대상자,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Children & Youth Version(ICF-CY)에 따른 중재 목적과 중재 접근법을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를 분석한 결과, 근거 수준 IV인 연구가 53.1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3.7%로 가장 많았고, 대상자 진단명에서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와 발달 지연이 각각 14.8%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ICF-CY에 따른 중재 목적은 활동과 참여가 48.9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감각 접근법(sensory approach)을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 : 작업치료분과학회의 Korea Citation Index(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분석을 통해 최근의 국내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동향과 수준을 분석하였고, 앞으로 작업치료의 발전을 위해 더 질적으로 높은 연구의 형태와 다양한 중재 접근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판 삶의 균형 척도의 심리측정적 특성 및 감각 처리와의 관련성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Korean Version of Life Balance Inventory (K-LBI) and Relationship Between Life Balance and Sensory Processing)

  • 김은영;이선욱;김영;이상헌;김혜진;권정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6-49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판 삶의 균형 척도(Korean version of Life Balance Inventory; K-LBI)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삶의 균형과 감각 처리 간 관련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K-LBI는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통해 구성되었다. 후기 청소년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K-LBI와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 성인 행동 평가 척도를 실시하여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내적 일관성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감각 처리와 삶의 균형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청소년/성인 감각 프로파일과 K-LBI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K-LBI와 수렴 타당도를 위한 척도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r = .337~.449, p < .01), 양호한 반분 신뢰도(r = .906, p < .01)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ICC = .669, p < .01)가 산출되었다. 감각민감 혹은 감각회피 성향과 관계 삶의 균형 영역 간 정적 상관(r = .422~.443, p < .01) 및 등록저하와 도전 삶의 균형 영역 간 부적 상관(r = -.373, p < .05)이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K-LBI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제시하였고 삶의 균형과 감각 처리 간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자해행동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비약물치료 중심으로 (A Systematic Review on Non-Medication Intervention for Self- Injurious Behavior of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김슬기;최정실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0-42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자해행동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비약물적 치료 중심으로 실시한 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작업치료 임상현장에서 동일한 문제를 보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자데이터 베이스인 PubMed, Medline, DBpia, RISS, KISS, NDSL을 사용하여 2008년 10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국내외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주요 용어는"(Autism OR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rapy OR Treatment OR Intervention) AND (Self Injurious Behavior)"으로 검색하였고, PICO형식과 근거수준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총 12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근거의 질적 수준은 대상연구 논문 12편 중 수준 IV와 수준 V가 가장 많았으며, 실험설계는 단일대상연구가 많았다. 중재의 종류는 행동치료가 가장 많았다. 분석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자해행동은 행동치료와 뇌자극 및 조절기법, 행동치료와 병행한 감각통합치료로 자해행동을 감소시켰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자해행동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게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 앞으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자해행동에 대한 중재효과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근거수준이 높은 연구 설계와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간의 차이점을 밝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단축감각프로파일의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of Short Sensory Profile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y)

  • 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0
    • /
    • 200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internal reliability and internal validity for Short Sensory Profile(SSP) and to suggest the useful criteria for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in Korean culture. Methods : The Short Sensory Profile(SSP) was completed by mothers of 304 children typically developing between 3 to 10 years of age in those preschool,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located Seoul and Gyeonggi-do. The total agency for this study was 14 facilities and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July, 2002 to June, 2003. Kim Mi Sun(2001) translated and modified the Short Sensory Profile that Macintoshi developed and the tool for the study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reliability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 1. Internal reliability of the total tests and sections was estimated by calculating Cronbach's Alphas. Reliability value of the total tests was .889. 2. For internal validity the correlations range from .131 to .575 in magnitude, suggesting that the sections of the Short Sensory Profile tap relatively unique constructs and support the factor structure developed. 3. The total score of the Short Sensory Profile(SSP) range from 118 to 190, mean and SD was 163.12, 14.87. 4. Of 403 children represented by the survey, 32 children(10.5%) met criteria for sensory processing disorders based upon parental perceptions. 5. Cut scores were determined by computing the raw score cut scores for -1 SD and -2 SD. The normal group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had score which range from 190 to 149, the probable problem group had score which range from 148 to 134, and the definite problem group had score which range from 133 to 138. Conclusion : Findings from the above study suggest that Short Sensory Profile be the screening tool for sensory processing disorders within Korean cultu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mpare with children with the various sensory processing disabilities(PDD, LD, CP ect,).

  • PDF

아동의 실행기능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감각통합기반중심으로 (A Systematic Review of Praxis Function With Children: Based on Sensory Integration)

  • 신예나;박지혁;안시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6-59
    • /
    • 2017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의 실행기능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현황과 실행기능에 사용되는 도구의 대상 및 방법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PubMed, Proquest, Google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1985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용어는 "praxis AND (validity OR reliability) AND (assessment OR test) AND (preschooler OR child)"를 사용하였다. 그 외 실행기능 평가도구의 선행 고찰연구에서 선정된 평가도구의 명을 추가적으로 검색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14편으로 이에 사용된 평가도구 8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최종 선정된 논문 14편의 질적수준은 III단계(단일집단 비무작위연구) 연구가 10개(71.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II단계(두집단 비무작위연구) 연구가 4개(28.6%)이었다. I단계의 근거수준인 무작위 비교연구는 없었다. 최종 선정된 8개 평가도구의 대상 연령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실행기능 평가도구는 아동을 대상으로 개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이 된 평가도구는 6개이었고, 2개의 평가도구는 타당도는 검증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실행기능 평가도구의 연구 현황을 제시하고, 평가도구의 선택과 활용에 있어 임상적인 근거기반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 대한 단축형 감각 프로파일-2(Short Sensory Profile-2)의 구성타당도 연구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hort Sensory Profile-2 (SSP-2)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박아름;유두한;홍덕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28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단축형 감각프로파일-2(Short Sensory Profile-2; SSP-2)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120명을 대상으로 SSP-2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원자료는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SSP-2의 대상자 및 항목 적합도, 난이도, 평정척도, 분리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 중 감각처리 영역은 7명, 행동반응 영역은 8명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항목 적합도 분석에서는 모든 항목이 적합한 기준을 충족하였다. 감각처리 영역에서의 난이도 분석은 13번 항목(.48 logit)이 높았으며, 10번 항목(-.54 logit)이 낮았다. 행동반응 영역에서는 25번 항목(1.58 logit)이 높았으며, 30번 항목(-.68 logit)이 낮게 분석되었다. 평정척도 분석에서는 5점 척도 보다 3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신뢰도는 감각처리 영역 .90, 행동반응 영역 .95로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SSP-2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임상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게 유용한 평가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초등학생집단 다전문가 협업프로그램에서의 School AMPS 분석을 통한 작업치료와 감각통합접근의 의미 (Sensory Integration and Occupational Therapy for Elementary Students Collaborative Group Program : Implementing School AMPS)

  • 지석연;이성아;박소연;홍민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27
    • /
    • 2013
  • 목적 : 학교기반 작업치료는 교육전문가와 협업하는 다전문가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에 진학하는 고위험군 아동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가 함께 지역사회 기관에서 협업으로 실시하는 집단교육 시간의 작업수행변화를 분석하고, 감각통합 중재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예비 프로그램으로 입학준비 프로그램을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의 부분적인 협업을 통해 실시한 후, 초등학교 적응프로그램은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가 전체과정을 협업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6명이었다(7세 5명, 9세 1명). 프로그램 평가는 교육활동 참여에 대해 School AMPS를 실시하였고, 일정하게 구성된 자조활동에 대해 AMPS 수행기술을 관찰하여 중재전략에 활용하였다. 평가를 통한 중재전략과 그에 따라 진행된 변화를 교사와 치료사의 월간 기록을 토대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설문을 통해 감각프로파일을 조사하였다. 결과 : 사전 프로그램에 참가한 아동 5명 중 4명이 감각통합적인 어려움으로 수행에 영향을 받는다고 평가되었고, 이 결과가 본 프로그램 구성에 기반이 되었다. 본 프로그램 구성은 참가 아동이 속한 학년의 교실에서 수업과제(school task)와 집단 활동, 기본 자조활동으로 이루어졌고, 수업과제활동평가 School AMPS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으나 평균 운동기술은 0.14 로짓(logit), 평균처리기술은 0.07 로짓이 향상되었다. 협업적 중재로는 감각 통합이 주된 회복적 중재로 사용되었고, 과제수행을 통해 직접 어려움이 있는 기술을 향상하는 습득적 중재, 교사의 대응전략이나 도구 및 환경 조정을 시행하는 보상/적응적 중재가 적용되었다. 기본적 자조활동들은 도움이 필요한 수준에서 자립적인 수준으로 향상되어서 반복적인 자조활동의 경험과 중재가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개선된 수행기술들 이외에 새롭게 도전이 되는 수행기술이 발생하였고, 이런 문제들은 감정과 행동문제와 더불어 감각통합의 어려움 뿐 아니라 집단에서 일어나는 역동적 이유 때문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 초기에는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의 참여가 향상될 수 있었다. 그러나, 집단 활동을 통해서 드러나는 초등학생들의 감정조절 문제, 역할 변화에 따른 수행변화, 또래에 대한 반응문제가 드러남에 따라 감각통합적인 중재에서 더 복합적인 개인-환경-과제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였다.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의 협업은 상호보완적이며 필요한 수행기술을 향상하는 데 시너지 효과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School AMPS는 측정 가능한 결과를 일부 제시하는 데 유용하며, 향후에는 질적 분석을 보다 객관화 할 수 있는 방법들이 요구된다.

  • PDF

발달지연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감각처리 특성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on Parenting Stress in Developmentally Delayed and Typically Developed Children's Parents)

  • 길영숙;김수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2
    • /
    • 202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연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감각처리 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22년 7월부터 8월까지 소아과의원과 아동발달센터에서 작업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7세 이하 발달지연아동의 부모 61명과 일반아동 부모 64명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와 감각프로파일을 평가하였다. 결과 : 양육스트레스 총점에 대한 감각처리 특성의 영향을 분석한 다중회귀분석에서 발달지연아동 부모는 촉각처리(β=0.353, p=0.001), 성별(β=0.438, p=0.000), 월수입(β=-0.261, p=0.014)이 유의하게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영향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일반아동 부모에서는 촉각처리(β=0.376, p=0.002), 성별(β=-0.264, p=0.024)이 유의하게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발달지연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성별과 촉각처리 특성은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유의한 영향 요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