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1초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을 중심으로-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Mathematical Competencies in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2022)

  • 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149-166
    • /
    • 2024
  •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omains and the standards of instructional evaluation on the teacher knowledge dealing with the knowledg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Especially,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 assessment standards are developed focused on the five types of mathematics competencies such as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reasoning, connection, information and handling, which were emphasized in the mathematical curriculum revised in 2022. By the result, ten domains such as an instruction involving instruction goal and content, problem-solving competency, data treatment competency, learners' achievement level and attitude, communication competency, reasoning competency, connection competency, the assessment method and procedure based on the competency, the assessment tool development based on the competency, assessment result based on the competency were new established. According to those domains, the total 20 instructional evaluation standards were developed. This study is limited to consider the domai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among the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while dealing with the elements of mathematics competencies in the standards. However, instructional evaluation standards reflecting these competenci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other diverse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포함된 수행 동사 국제 비교: 한국, 미국, 영국, 호주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International Comparison of Performance Verbs included in Achievement Standards of Mathematics Curriculum: Focusing o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 권점례;정혜윤 ;정수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105-134
    • /
    • 202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포함된 수행 동사를 추출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 수학과 교육과정인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포함된 수행 동사가 학교급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포함된 수행 동사가 다른 국가의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포함된 수행 동사와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포함된 수행 동사는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빈도와 종수가 모두 적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유사한 경향성은 보였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이해하다', '알다'가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어 개선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역량 기반 개선 방안 탐색 : 한국과 호주 '수와 연산' 영역 비교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in Competency-Based: Focused on comparing 'Number and Arithmetic' in Korean and Australian Curriculum)

  • 이화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229-25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OECD의 DeSeCo 및 2030 프로젝트의 동향을 고려하였을 때 역량을 기르는 교육과정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예상하고 역량 기반의 교육과정 성취기준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OECD 2030 프로젝트에서 새롭게 강조하는 역량을 살펴보고, 호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을 성취규준과 내용 해설에 어떻게 담아냈는지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호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매칭하고 수와 연산 영역의 내용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역량이 성취기준에 반영되어 있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성취기준에 포함된 기능 동사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에 역량을 충실히 반영하기 위한 개선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09 개정 초등수학 1학년 교과서상의 STEAM 관련교과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2009 Revised Elementary First Grade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EAM-related Subject Contents)

  • 김해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3호
    • /
    • pp.277-297
    • /
    • 2014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수학 1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수학적 지식 외에 어떤 STEAM 관련교과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단원별, 수학내용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단원별 STEAM 관련교과 내용의 개수는 전체적으로 인문과학(스토리텔링)적 내용이 제일 많았고, 스토리텔링이 아닌 인문과학적 내용, 체육교과와 관련된 내용 순으로 많이 분석되었으나 음악교과와 관련된 내용은 매우 적었다. 또한 영역별 STEAM 관련교과 내용의 개수는 규칙성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는 인문과학(스토리텔링)적 내용과 체육교과와 관련된 내용 순으로 많았다. 그러나 단원별, 영역별로 STEAM 관련교과 내용의 개수는 편차가 매우 심하여 다양한 STEAM 자료 개발이 요구된다.

Korean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Response on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 Ryang, Do-Hyoung;Thompson, Tony;Shwery, Crai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229-250
    • /
    • 2011
  •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is one of the most popular instruments used to measur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fficacy beliefs in mathematics teaching. The instrument was, however,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and is perhaps not appropriate for other cultures.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carefully reviewed by Korea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fessors. Analysis of the review indicated that eight out of the 21 items were appropriate while the others needed to be revised. Items were identified as inappropriate due to awkwardness, multiple meanings, tense disagreements, and vagueness. These items were modified to better fit the Korean context. The instrument was revised with two versions: one for elementary and the other for secondary pre service teachers.

통계 학습과 관련된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An Analysis of Contents on Statistics in the 7th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l Materials)

  • 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655-676
    • /
    • 2008
  • 본 논문은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계 지도 목표 및 내용을 살펴보고, 개정 교육과정에서 변화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 교과서와 익힘 책에서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취지를 어떻게 구현하고 관련 세부 내용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래프별로 지도 방법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수준에 따라 교과서와 익힘 책의 문제를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통계 내용과 관련하여 차기 교과용 도서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수학과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경제수학> 교과서의 일관성 분석 연구 (Analysis Study on the Consistency of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and Textbooks)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373-391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고시한 <경제수학> 과목의 교과서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경제수학> 교과서는 상경계열을 지원하는 학생을 위해 개발된 최초의 교과서라는 면에서 교육적 의의가 매우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제수학> 교과서가 교육과정 개발자가 제시하고 교과서 인정 기관에서 구체화한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과 일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국가에서 고시한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관성이 있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의 일관성에 대한 분석 결과 <경제수학> 교과서의 내용은 부분적으로 일관성이 있지만, 그렇지 않은 부분도 다수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향후 고등학교 선택과목의 검·인정에 있어 보다 철저한 기준 마련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의 제시가 요구된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문제 만들기 문항 -수학7의 대수영역을 중심으로- (Problem Fabrication in Algebra of Grade 7 under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7)

  • 최상기;목연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63-178
    • /
    • 2011
  •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을 높이기 위하여 문제 만들기 활동 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수학에서 문제 만들기와 문제해결은 함께하는 상호적인 작용으로, 교육 과정에 문제 만들기 활동이 구체적 제시되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7의 대수영역을 중심으로 문제 만들기 문항을 수록한 16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문제 만들기 문항의 단원별 개수와 분포, 유형별 개수와 문항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 PDF

검정 초등 수학 교과용 도서에서 나타난 의도된 역량 분석: 창의·융합 역량을 중심으로 (Analysis of Intended Competency in Authoriz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 김진호;여승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1-13
    • /
    • 2023
  • 수학과 목표인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수학교과를 통해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신장할 것을 강조하여 왔다.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되어 활용 중인 검정교과서에서 나타나는 창의·융합 역량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천재교과서(박)과 아이스크림을 선택하여 창의·융합의 하위요소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또한, 국정에서 검정으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2015 개정에 따른 국정 교과서도 함께 같은 분석 준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부적인 비율에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으로 세 가지 교과용 도서에서 창의성 중 유창성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융합은 외적 연결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개발과 실행 과정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국의 수학교육에 대한 고찰: 고등학교 수학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UK Focusing on high school math education)

  • 강현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75-194
    • /
    • 2022
  • 본 연구는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앞두고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영국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국은 2017년 이후 16세 이후 수학을 강조하고 평가를 개정하였다. 이에 따라 영국의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에 해당되는 Key stage 4, Core Maths, A-level의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고등학교 공동과목, 일반선택과목, <기하> 과목과 비교하였다. 영국에서는 고등학교 단계에서 수학교육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에서 '수리력과 수학'을 강조하고 학생들의 수학 선택권을 확대하고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하여 새로운 수학 교과목 및 평가를 함께 개발하여 시행하고, 기존의 A-level 수학 평가를 개선하였다. 또한 주제 중심의 내용을 Key Stage 3부터 고등학교 단계에서도 발전적이고 지속적으로 다루고 다른 영역의 주제와 연결하여 다룸으로써 수학의 내적 외적 연결성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