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Mathematical Competencies in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2022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4.02.02
  • Accepted : 2024.02.27
  • Published : 2024.02.29

Abstract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omains and the standards of instructional evaluation on the teacher knowledge dealing with the knowledg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Especially,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 assessment standards are developed focused on the five types of mathematics competencies such as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reasoning, connection, information and handling, which were emphasized in the mathematical curriculum revised in 2022. By the result, ten domains such as an instruction involving instruction goal and content, problem-solving competency, data treatment competency, learners' achievement level and attitude, communication competency, reasoning competency, connection competency, the assessment method and procedure based on the competency, the assessment tool development based on the competency, assessment result based on the competency were new established. According to those domains, the total 20 instructional evaluation standards were developed. This study is limited to consider the domai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among the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while dealing with the elements of mathematics competencies in the standards. However, instructional evaluation standards reflecting these competenci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other diverse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년도 조선대학교 연구지원금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고상숙, 고호경, 박만구, 한혜숙, 홍예윤 (2012). 수학교육평가론. 서울: 경문사. 
  2. 교육부 (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발표-더 나은 미래, 모두를 위한 교육. 교육부 보도자료(21. 11. 24.) 
  3. 교육부 (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 세종: 교육부. 
  4. 김선희 (2022).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주요 변화.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개발 연구 토론회 자료집. pp. 16-20. 
  5. 김성숙, 김희경, 서민희, 성태제 (2015). 교수 학습과 하나되는 형성평가. 서울: 학지사. 
  6. 장신애 (2016). 교사가 인식하는 중등 수학과 수업평가 요인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광상, 임해미, 최인선, 김성경 (2021). 수학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우사. 
  8. 이윤미 (2018). 수업평가와 수업성찰에서 나타나는 예비 중등 수학교사의 주목하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임찬빈, 이화진, 최승현, 오은순, 이경언, 이수정, 노은희, 권순달 (2006).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II): 일반 기준 및 교과(국어, 수학, 기술.가정, 음악, 초등)기준 상세화. 연구보고 RRI 2006-3.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황혜정 (2011). 수학 수업의 교사 지식에 관한 평가 요소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241-263. 
  11. 황혜정 (2013). 교사 의견 조사에 기초한 수학 교과에서의 수업평가 기준 및 활용 탐색. 수학교육 논문집, 27(1), 3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