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1초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벡터 개념에 대한 이해: MKT 중심으로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MKT about the Concept of Vector)

  • 윤현경;권오남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4호
    • /
    • pp.615-632
    • /
    • 2011
  • 본 연구는 벡터 개념에 대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에 벡터 개념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가르치기 위한 수학적 지식(MKT)을 알아보고자 한다. 설문지와 인터뷰 조사 결과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 벡터 자체가 되는 것보다 벡터의 표현수단을 벡터로 보는 경향이 있었으며 예비교사는 상대적으로 벡터를 벡터공간의 원소로 보는 대학교 수준의 공통내용지식(CCK)으로 응답했던 반면, 현직교사는 가르치는 상황에 필요한 특수 내용지식(SCK)과 내용과 가르치는 것에 대한 지식(KCT)으로 응답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벡터 개념에 대한 CCK, SCK, KCT와 수평내용지식 (Horizon content knowledge)을 도출하였다. 또한 논의된 벡터 개념에 대한 MKT를 바탕으로 MKT 하위 영역 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PDF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앱 활용 수학 수업을 위한 예비교사의 TPACK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방안 (Development of TPACK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math classes using apps for group creativity)

  • 김부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95-22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가 고등학생들의 집단창의성 신장을 위한 모바일 수학 학습 콘텐츠인 애플리케이션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E-learning 고등수학"을 활용하여 사범대학 정규교육과정에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을 함양하고 수학 수업에서 학생과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학수업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사전교육, 목표설정, 수업계획, 수업실습, 수업평가 단계로 구성된다. 이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테크놀로지 도구를 평가하였고, 앱의 두 활동에서 고등학생들이 집단창의성을 발현하도록 지도하기 위해 과제대화록, 레슨 플레이, 반성적 저널,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적용 결과, 예비수학교사의 TPACK을 함양할 수 있었고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학생과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할 수 있었다.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for linear equations and linear functions)

  • 이헌수;김영철;박영용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395-415
    • /
    • 2016
  • 본 연구는 방정식 및 함수와 관련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K시 관내 중 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수학 교사 49명과 M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29명을 대상으로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미지수가 1개인 일차방정식을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보다 더 일차방정식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음함수 형태보다 양함수 형태로 표현된 일차함수를 일차함수로 더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수학수업을 위한 예비초등교사의 교수학적 변환 고찰 (A Study on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Mathematics instruction)

  • 권성룡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15-438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가 수학수업을 위한 교수학적 변환과정에서 어떤 점에 주목하여 교과서 활동을 분석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수학수업을 위한 교수학적 변환에서 예비교사가 어떤 점에 주목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초등수학교과서의 활동을 분석한 후 수학수업을 위해 활동을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것이 필요한 한 차시를 선택하여 활동을 구안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안을 작성하여 실제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 후 협의회를 통해 다시 수정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수학수업을 위해 교과서 활동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교과서의 활동이 구체물 활동을 제공하는지의 여부, 학생의 동기를 유발하는지의 여부, 차시별 활동이 중복되는지의 여부 등에 주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학수업을 위한 교과서 활동의 교수학적 변환을 위해서 예비교사들은 교육과정의 목표 및 성취기준, 교사용지도서의 단원 및 차시목표 등과 같이 관련 교육과정 문서를 종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비 수학교사들의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분석: 결과 해석 단계를 중심으로 (Analysis on Statis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ocus on the Result Interpretation Stage)

  • 김소형;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535-558
    • /
    • 2022
  • 통계적 소양이 중요한 능력으로 인식되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접하는 많은 통계의 형태는 결과 자료이므로 통계적 문제해결의 과정 중 결과 해석 단계는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 수학교사들에게 사교육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모평균 추정을 활용한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하는 과정을 통해 그들이 결과 해석 단계에서 보인 특징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교사교육에서의 통계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많은 예비 수학교사들이 자료를 기반으로 결과를 해석하였으나 그 추론이 합리적이지 못한 수준을 보였다. 둘째, 본 연구의 많은 예비 수학교사들은 공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의사결정을 하면서 통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의사결정을 했으나 그 내용은 교사로서 할 수 있는 일반적인 의사결정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예비 수학교사들은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의 세 단계에 대해서는 반성적 사고를 하고 있었으나, 결과 해석 단계에 대한 반성적 사고는 아무도 안 한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 (Changes in Teacher Efficacy Beliefs in Mathematic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uring Student Teaching)

  • 이영혜;권종겸;이봉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407-42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 93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과 후에 나타난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를 조사하고, 변화를 야기한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이전과 비교하여 교육실습 후에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은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수학교실 관리 영역보다 수학 교수 영역에 대한 효능 신념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학 교수 영역에서 부정적 경험을 더 많이 한 반면에 부정적 경험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기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예비교사의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실행 및 효과 (Performing and Effects Team-Based Learning Program for improving of Teaching Competenci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류현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2호
    • /
    • pp.217-233
    • /
    • 2017
  • This study expects that Team Based Project Learning can act positive role to improv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from previous studies. So designing and executing Team Based Project Learning program, I can provide some suggestions to the teaching method for teacher training education. In this study, Team Based Project Learning focuses on the use of history of mathematics in school mathematics. Also from organizing the team to evaluation, I conduct team activity systematicall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has improved and I could identify the positive response about the value of us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effect of Team Based Project Learning in mathematics learning.

초등수학 교사교육의 현장연계성 강화를 위한 예비교사-현직교사 협력적 과제 개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ollaboration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

  • 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405-421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 교사교육의 현장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협력을 시도하였다.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협력이 예비교사교육의 실질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사례와 효과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직교사와 예비교사가 협력하여 수학 수업 과제를 개발하는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역할을 분석하여 협력의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는 과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거나 수학적 내용을 고려하였다. 각 주체는 학생과 내용의 상호작용 측면을 직접적으로 고려하지는 않았지만, 각자의 역할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면서 과제가 개선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등수학 예비교사 교육에서 협동마이크로티칭의 활용 가능성 탐색 (The utilization of cooperative microteaching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이봉주;윤용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3호
    • /
    • pp.399-41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using cooperative microteach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it after actual application case.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at cooperative learning came into the highlight as a good method to cultivate teachers' competencie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s well as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20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articipated in their cooperative microteaching and 16 of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showed that the merits of cooperative microteaching are to ease the burden of preparing for class, to discuss how to teach mathematics, to debate what lesson is better, to receive valuable feedback form their peer, and so on. Also, it provided them with the chance for self-improvement in that they kept to make up for the week points in their teaching behavior. Meanwhile, they wanted longer time to experience their teaching and their own lesson.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 교과 독서 활동 지도 사례 (A Practice of Content Area Reading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405-4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수학교육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와 관련된 도서를 읽히고 독서 토론과 발표 및 그 내용의 음미 과정을 제공하면서 예비교사들이 의미있는 교과 독서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안내한 지도 사례를 제시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과 독서 활동에서 수학을 가르치는데 도움이 되는 지식과 생각을 자연스럽게 배우면서 독서 토론과 발표를 통해 자신의 지식과 생각을 공유하고 확장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 뿐 만 아니라 교과 독서를 실행한 예비교사들은 교과 독서가 수학에 대한 흥미 유발, 교사 자신의 변화, 전공 학습에의 도움, 미래의 학생 지도에 유용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지도 사례는 예비교사들에게 교과 독서를 통해 수학 및 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폭넓은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안내하면서 평생 학습자로서의 바람직한 교사의 태도를 갖추게 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