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n Collaboration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

초등수학 교사교육의 현장연계성 강화를 위한 예비교사-현직교사 협력적 과제 개발 사례 연구

  • Received : 2017.05.11
  • Accepted : 2017.06.14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a concrete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the task in collaboration with the in-service teacher and the pre-service teacher. In the process, the rol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were analyzed and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was grasped.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and field teachers considered the level and interest of the students and considered mathematical content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tasks. Each subject did not directly consider the interaction of the students and contents, but they could confirm the improvement of the tasks as their roles affected each other.

본 연구는 초등 교사교육의 현장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협력을 시도하였다.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협력이 예비교사교육의 실질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사례와 효과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직교사와 예비교사가 협력하여 수학 수업 과제를 개발하는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역할을 분석하여 협력의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는 과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거나 수학적 내용을 고려하였다. 각 주체는 학생과 내용의 상호작용 측면을 직접적으로 고려하지는 않았지만, 각자의 역할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면서 과제가 개선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 고은성, 김태순, 조완영, 이경화, 이동환 (2011).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사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조사, 학교수학, 13(4), pp. 363-380.
  2. 강현영, 탁병주, 고은성(2016). 전문가-현직교사-예비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의 가능성 탐색, 학교수학, 18(4), pp. 857-880.
  3. 권성룡(2011). 수학 수업 준비과정에서 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pp. 333-359.
  4. 김민성(2012). 교사전문성의 연계적 특성과 교사 교육의 방향. 교육심리연구, 26(1), pp.39-61
  5. 김정원, 김기수, 정미경, 홍인기(2012). 미래형 교사교육체제 구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보고서. 연구보고 RR 2012-03.
  6. 우정호(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경문사.
  7. 이경화, 강현영, 고은성, 이동환, 신보미, 이환철, 김선희(2016).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26(4), 819-834.
  8. 이혜영, 류방란, 윤여각(2001). 중등학교 교사의 생활과 문화.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RR 2001-04.
  9. 최승현, 강대현, 곽영순, 장경숙(2008). 교과별 내용교수지식(PCK) 연구(II) - 중등 초임교사 수업컨설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고서 RRI 2008-3.
  10. 한혜숙(2014). 수학과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관한 교육실습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747-769.
  11. Cohen, D., Raudenbush, S., & Ball, D. (2003). Resources, instruction, and research.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5(2), 1-24. https://doi.org/10.3102/01623737025001001
  12. Lampert, M. (2001). Teaching problems and the problems of teaching.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3. Nipper, K., & Sztajn, P. (2008). Expanding the instructional triangle: Conceptualizing mathematics teacher development.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1(4), 333-341. https://doi.org/10.1007/s10857-008-9082-z
  14. Webb, R. B. & Sikes, P. (1989). Teachers' Careers. In Webb, R. B. & Sherman, R. R. (Eds.), Schooling and Society (pp. 223-256).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5. Wood, M., & Turner, E. (2015). Bring the teacher into teacher preparation: learning from mentor teachers in joint methods activities. Journal of Mathmatics Teacher Education, 18(1), 27-51. https://doi.org/10.1007/s10857-014-9269-4
  16. Zeichner, K. (2010). Rethinking the connections between campus courses and field experiences in college-and university-based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1(1-2), 89-99. https://doi.org/10.1177/0022487109347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