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iental medicinal herb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8초

RAW 246.7 대식세포 모델에서 고삼, 감초, 백선피 에탄올 추출물 및 추출복합물의 항염증 효능 비교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mong Ethanol Extracts of Sophora flavescens, Glycyrrhiza uralensis and Dictamnus dasycarpus, and their Mixtures in RAW 246.7 Murine Macrophages)

  • 한민호;이문희;홍수현;최영현;문주성;송명규;김민주;신수진;황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9-335
    • /
    • 2014
  • 고삼, 감초 및 백선피는 염증성 질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오랜 동안 사용되어 온 한약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한약제의 에탄올 추출물과 각 한약제 추출물의 복합물에 대한 항염증 효능을 LPS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RAW 264.7 대식세포 모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삼 추출물(EESF), 감초 추출물(EEGU), 백선피추출물(EEDD) 및 추출복합물(MHMIXs)을 준비하였으며, 항염증 효능 평가를 위한 인자로서 대표적인 염증 매개인자로서 NO와 $PGE_2$를, 염증성 cytokine 중에서는 $IL-1{\beta}$$TNF-{\alpha}$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각 한약제 단독 추출물 및 추출복합물은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NO와 $PGE_2$ 및 염증성 cytokine의 생성을 모두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생성 억제는 해당 단백질의 발현 억제를 통해 이루어졌다. 비록 각각의 단일 추출물과 추출복합물이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다고 평가되지만, 세포 독성과 다양한 염증성 매개인자 및 cytokine의 억제 효과를 전체적으로 고려할 경우 EESF, EEGU 및 EEDD가 3:1:1로 혼합된 MHMIX-1이 항염증 관련약품 및 소재 개발에 보다 효과임을 제안하며, 이는 과도하게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한 염증성 질환 조절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인진(韓茵蔯)의 치주염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염효가 (Antimicrobial Effect on the Periodontal Pathogen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rtemisiae Iwayomogii Herba)

  • 김영홍;정미영;이나경;이진용;허익;이제현;임사비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n the periodontal pathogen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rtemisiae Iwayomogii Herba. Artemisiae Iwayomogii Herba has been used for treating as Artemisiae Capilaris Herba in Korea. Methods : Artemisiae Iwayomogii Herba was prepared by extracting medicinal herb with water. We investigated antimicrobial activity by the minimun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test. We also investigated inhibition of IL-$1{\beta}$-induced collagenase-l(MMP-l), stromelysin-1(MMP-3), interleukin-6 gene expression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Results : The antimicrobial effect of Artemisiae Iwayomogii Herba was evaluated with MIC against periodontopathogens; Porphyromonas gingivalis 2561, W50, A7A1-28, 9-14K-1, Prevotella intermedia28, and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Y4, MICs of Artemisiae Iwayomogii Herba were 0.156 mg/ml, 0.625 mg/ml, 0.313 mg/ml, 1.25 mg/ml, 10 mg/ml and 10 mg/ml.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Artemisiae Iwayomogii Herba was evaluated with Influence of herbs on the IL-$1{\beta}$-induced expression of MMP-1, MMP-3, interleukin-6, IL-$1{\beta}$ increased MMP-1, MMP-3, interleukin-6 mRNA levels. Artemisiae Iwayomogii Herba significantly inhibited IL-$1{\beta}$-induced MMP-1, MMP-3, interleukin-6 gene expressi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rtemisiae Iwayomogii Herba might reduce the excessive proteolytic capacity of the gingival fibroblast during inflammation and could be developed a new drug in periodontitis.

  • PDF

기내배양을 통한 홍경천(Rhodiola sachalinensis)의 부정근 생산 (In vitro culture of adventitious root from Rhodiola sachalinensis)

  • 배기화;윤의수;최용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1-286
    • /
    • 2009
  • 홍경천의 잎, 줄기, 뿌리 절편을 이용하여 기내 부정근의 생산 체계를 확립하였다. 먼저 홍경천의 잎, 줄기, 뿌리 절편을 0.1, 1.0, 3.0 및 5,0 mg/L의 IBA와 sucrose가 10, 30, 50 및 100 g/L가 첨가된 MS 배지위에 치상하여 부정근의 유도율을 조사하였다. 부정근의 유도는 잎, 줄기 절편에서 IBA의 농도가 5.0 mg/L 일때 가장 높은 유도율을 보였으며, 뿌리 절편은 IBA 3.0 mg/L 첨가된 배지에서 부정근 유도율이 가장 높았다. Sucrose의 농도는 30 g/L가 첨가되었을 때 잎, 줄기, 뿌리 절편에서 높은 유도율을 나타났다. 고체배지 조건에서 부정근의 유도율이 가장 우수한 조건을 기본으로 액체배양을 실시하였으며, 염의 농도에 따른 부정근의 증식조건을 조사하였다. 1/3MS 배지에서 홍경천의 부정근을 배양하였을 때 1/2MS, MS 액체 배지조건 보다 약 2배, 2.5배의 부정근 생장량을 보였다.

에테폰의 관주처리와 엽면살포에 의한 콩 잎 중 잔류 안전성 (Residue safety on ethephon in soybean leaf by drenching and foliar application)

  • 공승헌;이득영;송영훈;박기훈;서우덕;이동열;김진효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75-78
    • /
    • 2018
  • 식물생장호르몬인 에틸렌의 전구체인 에테폰은 기체상의 에틸렌을 대신하여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농약 중 하나로, 식물 이차 대사산물의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콩잎으로부터 식물 이차 대사산물인 이소플라본 생산에 에틸렌 및 에테폰 처리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었으나, 에테폰의 잔류안전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콩잎 생산시 에테폰을 경엽과 관주 처리하여 나타나는 잔류 변화를 연구하였다. 경엽 처리시 콩잎 중 에테폰의 잔류반감기는 1회와 2회 처리시 26.6 h과 21.1 h으로 확인되었고, 처리 3일 후 콩잎 중 에테폰은 최대 $60mg\;kg^{-1}$이었으나, 콩잎 건조 후 에테폰은 불검출 되었다. 관주 처리시 20.1 h 후 최대 잔류농도가 관찰되었으나, 관주처리에 의한 Total phenol 함량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비파엽(枇杷葉)의 치주염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염효과 (Antimicrobial Effect on the Periodontal Pathogen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Eriobotryae Folium)

  • 정미영;김영홍;이나경;이진용;허익;이제현;임사비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2-192
    • /
    • 200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n the periodontal pathogen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Eriobotryae folium. Eriobotryae folium are constituent herbs of Gagamgamroum, which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oriental medicine as a herbal medicine for treating halitosis and toothache. Method: Eriobotryae folium was prepared by extracting medicinal herb with water. We investigated antimicrobial activity by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test. We also investigated inhibition of $IL-1{\beta}-induced$ collagenase (mmp-1), stromelysin-1 (mmp-3), interleukin-6 gene expression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using RTPCR analysis. Result: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Eriobotryae folium was evaluated with MIC against periodontopathogens; Porphyromonas gingivalis 2561, W50, A7A1-28, 9-14K-1, Prevotella intermedia 28, and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Y4. MICs of Eriobotryae folium were 1.25 mg/ml, 2.5 mg/ml, 0.625 mg/ml, 1.25 mg/ml, 10 mg/ml and 10 mg/ml.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Eriobotryae folium was evaluated with influence of herbs on the $IL-1{\beta}-induced$ expression of mmp-1, mmp-3, and interleukin-6. $IL-1{\beta}$ increased mmp-1, mmp-3, and interleukin-6 mRNA levels. Eriobotryae folium significantly inhibited $IL-1{\beta}-induced$ mmp-1, mmp-3, and interleukin-6 gene expressi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riobotryae folium might reduce the excessive proteolytic capacity of the gingival fibroblast during inflammation and could be developed as a new drug for periodontitis.

  • PDF

파극천 추출물이 펜틸렌테트라졸로 유도된 실험동물에서 항 뇌전증 작용 (Anti-epilepsy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Morinda officinalis Augments Pentylenetetrazol-Induced Convulsion Behaviors)

  • 허진선;최종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4-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파극천 추출물의 수면연장 시간, 항 경련효과 및 시험관내에서 파극천의 각 분획별 활성산소의 소거능을 관찰하여 본 결과 pentobarbital을 투여한 대조군의 수면 유도시간 및 수면시간($3.77{\pm}0.56$분, 수면시간 $68.3{\pm}6.8$분)이 파극천 추출물(200 mg/kg)을 전 처리하고 pentobarbital을 투여함으로써 수면유도 시간($3.95{\pm}0.56$분) 및 수면시간($110.4{\pm}10.3$분)이 연장되었다. PTZ에 의해 유도되는 경련 발작이 대조군 $4.9{\pm}0.98$인데 비해 파극천(200 mg/kg)의 전처리로 경련박작이 $3.2{\pm}0.54$로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이 결과는 PTZ의 경련발현시간, 경련유지시간 및 사망시간에 미치는 파극천의 영향과 유사하였다. 뇌중 GABA 함량은 PTZ의 투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억제되던 것이 파극천의 전처리로 증가 되었으며, GABA-T의 활성과 지질과산화의 함량은 PTZ의 투여로 각각 증가되던 것이 파극천 추출물의 투여로 억제되었다. 시험관내에서 PTZ로 유도된 뇌조직중의 hydroxy radical의 생성량은 butanol 및 dichlomethane 분획의 첨가($20{\times}10^{-2}g/ml$)에서 약 35%에서 50%까지 감소하였다.

Black ginseng extract ameliorates hypercholesterolemia in rats

  • Saba, Evelyn;Jeon, Bo Ra;Jeong, Da-Hye;Lee, Kija;Goo, Youn-Kyoung;Kim, Seung-Hyung;Sung, Chang-Keun;Roh, Seong-Soo;Kim, Sung Dae;Kim, Hyun-Kyoung;Rhee, Man-He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2호
    • /
    • pp.160-168
    • /
    • 2016
  • Backgroun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is a well-characterized medicinal herb listed in the classic oriental herbal dictionary as "Shin-nong-bon-cho-kyung." Ginseng has diverse pharmacologic and therapeutic properties. Black ginseng (BG, Ginseng Radix nigra) is produced by repeatedly steaming fresh ginseng nine times. Studies of BG have shown that prolonged heat treatment enhances the antioxidant activity with increase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everal recent studies have showed the effects of BG on increased lipid profiles in mice. In this study report the effec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G on hypercholesterolemia in rat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time such an effect has been reported. Method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male Sprague Dawley rats fed with a high-cholesterol diet supplemented with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G (200 mg/kg). Their blood cholesterol levels, serum white blood cell levels, and cholesterol-metabolizing marker genes messenger RNA (mRNA) expression were determined. Liver and adipose tissues were histologically analyzed. Results: We found that BG extracts efficiently reduced the total serum cholesterol levels, low-density lipoprotein (LDL) levels with increased food efficiency ratio and increased number of neutrophil cells. It also attenuated the key genes responsible for lipogenesis, that is, acetyl-coenzyme A (CoA) acetyltransferase 2,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2, at the mRNA level inside liver cells. Furthermore, the BG extract also reduced the accumulation of fat in adipose tissues, and inhibited the neutral fat content in liver cells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oil red O.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BG extracts to Sprague Dawley rats fed with high-cholesterol diet ameliorated hypercholesterolemia, which was mediated via modulation of cholesterol-metabolizing marker genes. This data throw a light on BG's cardioprotective effects.

Oroxylin A Induces BDNF Expression on Cortical Neurons through Adenosine A2A Receptor Stimulation: A Possible Role in Neuroprotection

  • Jeon, Se-Jin;Bak, Hae-Rang;Seo, Jung-Eun;Han, So-Min;Lee, Sung-Hoon;Han, Seol-Heui;Kwon, Kyoung-Ja;Ryu, Jong-Hoon;Cheong, Jae-Hoon;Ko, Kwang-Ho;Yang, Sung-Il;Choi, Ji-Woong;Park, Seung-Hwa;Shin, Chan-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0권1호
    • /
    • pp.27-35
    • /
    • 2012
  • Oroxylin A is a flavone isolated from a medicinal herb report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inflammatory and oxidative stresses. It also modulates the production of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in cortical neurons by the transactivation of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CREB). As a neurotrophin, BDNF plays roles in neuronal development, differentiation, synaptogenesis, and neural protection from the harmful stimuli. Adenosine $A2_A$ receptor colocalized with BDNF in brain and the functional interaction between $A2_A$ receptor stimulation and BDNF action has been sugges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oroxylin A modulates BDNF production in cortical neuron through the regulation of $A2_A$ receptor system. As expected, CGS21680 ($A2_A$ receptor agonist) induced BDNF expression and release, however, an antagonist, ZM241385, prevented oroxylin A-induced increase in BDNF production. Oroxylin A activated the PI3K-Akt-GSK-$3{\beta}$ signaling pathway, which is inhibited by ZM241385 and the blockade of the signaling pathway abolished the increase in BDNF production. The physiological roles of oroxylin A-induced BDNF production were demonstrated by the increased neurite extension as well as synapse formation from neurons. Overall, oroxylin A might regulate BDNF production in cortical neuron through $A2_A$ receptor stimulation, which promotes cellular survival, synapse formation and neurite extension.

천연한방소재인 연교 추출물의 미백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the Oriental Medicinal Herb Forsythia suspensa Fruit as a Cosmetic Ingredient)

  • 이정노;박재희;김상우;유영경;이강태;이건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9-86
    • /
    • 2007
  • 본 연구는 연교 추출물과 연교 추출물에서 분리한 활성물질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에 관한 것이다. 연교 추출물은 $0.1{\sim}1.0%$ (v/v)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멜라닌 생성억제 실험결과 1.0 %에서 $63.1{\pm}3.1%$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1H-NMR,\;^{13}C-NMR$, Mass analysis 등의 기기분석 결과 리그난 계열의 활성물질인 4-[(3,4-Dimethoxyphenyl)methyl)]dihydro-3-[(4-hydroxy-3-methoxyphenyl)methyl]-2(3H)-furanone (arctigenin)으로 동정되었다. 활성물질에 대한 멜라닌 저해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3.0{\mu}g/mL$에서 $52.7{\pm}3.1%$를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교 추출물을 3 % 함유한 크림의 미백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진행한 결과 전문의의 육안평가와 기기평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연교 추출물은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리기다소나무재의 수지 삼출성과 접착 특성 (Bonding Properties and Resin Exudation Characteristics of Pitch Pine)

  • 노정관;김윤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213-220
    • /
    • 2018
  • 리기다소나무를 구조용 집성재의 재료로 이용하기 위해 판면의 옹이와 대패가공 후 방치시간에 따른 수지 삼출량이 레조르시놀수지로 접착한 판재의 접착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고온($120{\sim}95^{\circ}C$) 및 저온($65{\sim}50^{\circ}C$)에서 건조한 리기다소나무의 수지 삼출량은 판목면이 정목면 보다 저온건조재가 고온건조재보다 많았다. 방치시간별로는 저온건조재는 3일째 고온건조재는 7일째에 최고함량을 보였고, 이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여 15~90일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접착성능은 수지의 삼출이 많은 2~3일까지는 낮았으나 15일 이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고온 및 저온 건조재 모두 방치시간에 관계없이 KS 기준의 접착성능을 만족하였다. 옹이부가 포함된 적층 구성에서의 접착강도는 KS의 접착강도 기준 이상이었으나 목파율은 기준인 65% 이상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적층 단면구성(정목+정목, 판목+판목, 정목+판목)에 따른 접착성능은 고온 및 저온건조재 모두 모든 적층구성에서 KS의 기준을 크게 상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