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ticing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1초

수학 교과에서의 주목하기(Noticing)에 관한 이해 (The Understanding on the Notic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슬비;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4호
    • /
    • pp.461-480
    • /
    • 2021
  • There have been gradually a few studies on Noticing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ea.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concern on teacher noticing and pursuing the affluent studies on the noticing, this study tried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background, the meaning, and the properties of the teacher noticing while summing up the views of the various researchers. As a result, the teacher noticing could be defined as a cognitive process which is focused on mathematical objects,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students' emotions, teaching strategies, classroom environment and interprets them to determine how to react. From this, noticing might be cognitive process which is a combined form of the objects and cognitive behavior, while the objects whom teachers notice covers up the mathematical objects and the teaching objects. Eventually, this study expects to serve as a basis to foster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eacher noticing and to derive the follow-up studies.

교사의 사전 주목하기와 수학수업에서 실제 주목하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s Pre-Noticing and Actual Noticing in Mathematics Classroom)

  • 이은정;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4호
    • /
    • pp.773-791
    • /
    • 2016
  • 교사의 주목하기 능력은 교수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언급되어 오고 있다. 주목하기는 수업 중 이루어지는 교사의 순간적인 의사결정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며, 다차원성과 동시성의 특징을 가진 수업 상황에서 교사는 능동적으로 환경을 만들고 상호작용하면서 주목하기를 실행한다. 수학 교사가 전문가로서 수업 상황에서 주목해야만 하는 중요한 측면 중의 하나는 학생의 수학 학습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들이 목표로 하는 수학적 지식을 학습하면서 보일 수 있는 전형적인 전략과 어려움 등을 예상하고 적절한 대응을 예측해보는 교사의 사전 주목하기 활동이 실제 수업에서 학생의 학습에 대한 교사의 주목하기에 어떻게 반영되어 드러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오개념이나 오류를 이해 형성의 기회로 활용하는 주목하기, 학생들의 사전지식에 기초하여 학습기회 창출을 시도하는 주목하기, 학생들의 불완전한 추론을 개선하기 위한 주목하기의 세 가지 형태로 교사의 주목하기가 실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전 주목하기 활동이 실제 수업에서 발생하는 교사 주목하기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해 교사들이 주목해야만 하는 측면들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전 주목하기 전략이 유용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수학 교육에서 노티싱(Noticing) 연구의 동향과 과제 (Trends and Issues in Research on Notic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방정숙;권민성;선우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4호
    • /
    • pp.795-817
    • /
    • 2017
  • 노티싱(Noticing)은 교사 전문성의 한 요소로서 국외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관련 연구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논문은 교사 노티싱의 개념을 면밀하게 고찰하고 최근 국내외에서 진행된 교사 노티싱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내 교사 노티싱 연구의 후속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노티싱 연구의 토대를 마련한 Sherin과 van Es의 연구 및 Jacobs 외의 연구를 중심으로 교사 노티싱의 개념을 다각도로 비교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의 교사 노티싱 관련 연구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최근의 국외 연구는 노티싱에 대한 이론적 틀의 정교화, 노티싱을 연구하는 방식의 다양화, 교사 노티싱 범위의 확장과 같은 경향성을 보였으며, 국내 연구는 크게 교사 노티싱을 명시적으로 다룬 연구와 암묵적으로 다룬 연구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교사 노티싱 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하며, 국내 노티싱 연구의 후속 과제를 제안하였다.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Collective Noticing on Microteaching

  • Na Young Kwon;Jung Colen;Sheunghyun Yeo;Hoyun Cho;Jinho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311-331
    • /
    • 2023
  • This article explores how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MTEs) engaged in collaborative inquiry into the microteach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PSTs), ultimately developing a noticing framework through collective MTE inquiry. We delve into the specifics of what MTEs notice focusing on three emerging categories of noticing on PST's microteaching videos-lesson structure, task quality, and teaching practices. Each category, along with MTEs' noticing within these components, is elaborated through vignettes. This approach positions MTEs' noticing as a crucial element in the overarching vision to enhance the teaching practices of PSTs.

학생의 통계적 변이성 이해에 대한 수학 교사의 노티싱 변화 양상 사례연구 (Teacher Noticing on Students' Reasoning of Statistical Variability)

  • 한채린;김희정;권오남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83-206
    • /
    • 2018
  • 수학 교사의 전문 역량을 인지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상황적인 관점에서도 바라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사의 노티싱(주목하기) 능력을 상황적인 맥락의 수학 교사 전문 역량으로 고려하는 입장에서, 비디오 클럽에 참여한 수학 교사들의 통계적 변이 추론에 대한 노티싱 변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노티싱의 세 가지 요소인 주의 기울이기, 해석하기, 반응 결정하기 중에서 '해석하기' 요소가 교사의 노티싱 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관찰하였다. 주의 기울이기와 반응 결정하기 요소는 해석하기 요소의 영향을 받아 결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영상으로 제시된 학생 활동과 관련이 있는 통계적 변이 추론 발달 프레임은 교사들의 논의를 통계적 변이성에 머무르게 하고, 의사소통을 활발하게 만들어줌으로써 노티싱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이끌어 냄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말미에 수학 교사의 노티싱을 개선하기 위한 비디오 클럽의 중재 방안 설계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들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수학교사의 노티싱(Noticing) 분석을 통한 중심신념 탐색 (Exploring Central Beliefs through Noticing Analysis of Mathematics Teachers)

  • 강성권;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377-411
    • /
    • 2021
  • 본 연구는 교수학습 맥락에서 수학교사의 중심신념과 주변신념의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고등학교 현직교사 8명을 대상으로 가상의 수학 수업 동영상을 활용하여 수학적 신념 측면에서 교사 노티싱(noticing)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티싱하는 교사는 동영상 속 수업교사의 교수학습 문제 상황에 대하여 자신의 수학적 신념을 반영하여 비판하고, 교수학습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노티싱 분석은 '교수학습의 학생참여'와 같은 특정 노티싱 주제에 반영된 교사들의 수학적 신념을 비교하여 교사 개인의 상대적 중심신념과 주변신념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노티싱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맥락의 제약조건에서 수학교사의 중심신념과 주변신념을 추출하는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부가적으로 수학교사의 교수학습-의사결정-전문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와 학생 상호 주목하기(Noticing)에 관한 이해 (The Understanding on the Teacher and Student's Notic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슬비;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8권4호
    • /
    • pp.397-414
    • /
    • 2022
  • This study tried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properties of notic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irst, the difference in mathematical noticing is distinguished in either the object which is paid attention is different or the object is same but differently interpreted or react. The cause of each difference could be described as mathematical objects such as conceptual objects and perceptual features. Second,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which narrow the gap in attention and play a key role in the formation of mathematical meaning, appeared in various places. This teaching strategy was implemented to distract students' atten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athematical atten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ath classes will differ depending on the object to which they pay attention, and that difference will be narrowed through teacher's discourse practice and teaching strategies through communication strategies.

수학적 주목하기에 관한 예비 중등교사들 간의 차이 발생 요인 분석 및 실천적 지식 함양 방안 (A study on Analyzing the Difference Factors Occurred in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on the Mathematical Noticing)

  • 황혜정;유지원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27-150
    • /
    • 2021
  • 수학적 주목하기란 교사가 수학 수업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 중 의미 있는 현상을 알아차리고 이를 적절히 해석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최근 수학교육 분야에서 교사 전문성의 한 요소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 중등수학교사들의 수학적 주목하기를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차이 발생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예비 중등교사의 수학적 주목하기를 확인할 수 있는 수업비평문을 마련하였으며, 예비 중등수학교사 18명을 대상으로 각자 모의 수업을 실연하고 이를 녹화한 동영상을 보면서 수업비평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업비평문에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학적 주목하기를 주체, 주제, 견지의 세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주제 차원과 견지 차원에서 예비교사들 간에 수학적 주목하기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 간에 수학적 주목하기의 차이가 발생한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이는 교사가 보유한 수학 내용 지식, 교수학적 내용 지식, 교육과정 지식, 신념, 경험, 목표, 실천적 지식으로 나타났다.

수학 교사의 주목하기와 반응적 교수의 관계:모든 학생의 수학적 사고 계발을 지향하는 수업 상황에서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and Responsive Teaching:In the Context of Teaching for All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 김희정;한채린;배미선;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3호
    • /
    • pp.341-363
    • /
    • 2017
  • This case study contributes to the efforts on identifying the essential features of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where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s central in instructional interactions. We firstly conceptualize responsive teaching as a type of teachers' instructional decisions based on noticing literature, and agree on the claim which teachers' responsive decisions should be accounted in classroom interactional contexts where teacher, students and content are activel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Building on this responsive teaching model, we analyze classroom observation data of a 7th grade teacher who implemented a lesson package specifically designed to respond to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called Formative Assessment Lessons. Our findings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oticing and responsive teaching as: (a) noticing on students' current status of mathematical thinking by eliciting and anticipating, (b) noticing on students' potential conceptual development with follow-up questions, and (c) noticing for all students' conceptual development by orchestrating productive discussion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actual teachable moments in the practice of mathematics teachers and explains what, when and how to support teachers to improve their classroom practice focusing on supporting all students' mathematical conceptual development.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수업 성찰지에 나타난 노티싱 특성 분석 (Analysis of Noticing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lf-reflection Journals on the Science Class)

  • 윤회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754-770
    • /
    • 2022
  • 노티싱은 교사가 교수학습 맥락에서 무엇에 주의를 기울이는지,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고 반응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노티싱을 분석하여 교육 설계 및 실행의 주체인 교사의 수업설계, 실행, 반성의 전반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수업설계와 시연 후의 성찰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 예비교사의 노티싱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소재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 106명이 온도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개념을 다루는 과학수업의 시연 후에 작성한 수업 성찰지를 분석하였다. '주체', '수업 단계', '주제', '초점', '견지'의 다섯 가지 차원으로 이루어진 노티싱 분석틀을 설계한 후 이를 활용하여 각 차원의 구성요소별 빈도와 비율을 도출하였다. 또한 '수업 단계'와 '주제'에 따른 '초점'의 빈도와 비율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체' 차원에서는 '교사와 학생'을 동시에 주목한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수업 단계' 차원에서는 '탐구 활동'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주제' 차원에서는 '수업전략에 따른 수업설계'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초점' 차원에서는 수업의 목표이자 학생이 달성해야 할 역량을 특정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견지' 차원에서는 '기술'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수업 단계'와 '주제'에 따라 '초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한 결과 차원의 구성요소별로 특징적인 초점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의 노티싱 특성이 교사교육의 설계 및 운영에 갖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