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6초

수학과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 김선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4호
    • /
    • pp.335-35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by a meta-analysis. Among the studies conducted for last twenty three years, the relevant 49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80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for the cognitive domain and 70 effect sizes for the affective domain. Effect sizes were analyzed with school levels, student level, group organization method such as homogeneous vs. heterogeneous, class transfer and adjusting class sizes for each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s: In the cognitive domain,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produced a medium effect(effect size=0.68, U3=75.17%).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o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mid level students, heterogeneous group, class transfer and not adjusted class size. And in the affective domain,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produced a low effect(effect size=0.36, U3=65.36%).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on elementary school, mid level students, and heterogeneous group. Thus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mathematics classes.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수준별 이동수업의 개선방안 (The opinions of students about level-based class and improving methods about level-based instruction on mathematics)

  • 서현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53-273
    • /
    • 2008
  • 2000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되어 온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한 특징은 수준별 교육과정이라는 말로 대변될 수 있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해 현재 수준별 수업이 적극 권장되고 있다. 수준별 수업은 학생 개개인의 학습능력을 고려하여 수준별로 적절한 학습경험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모든 학생들이 나름대로 학습에 성공할 수 있도록 배려하자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몇 몇 선행연구들을 통해 수준별 수업의 운영방식과 교육효과에 대한 사례가 보고 되어왔다. 반면 학생들이 이러한 수준별 수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수용이나 의견에 대한 연구결과는 대체로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수학교과의 수준별 이동수업에 관한 학생들의 성별과 각 수준에 따른 인식의 차이극 비교 분석하여, 수준별 수업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수학교과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에서 MathML과 XSLT의 활용 (An Application of MathML and XSLT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Learning Materials in Mathematics Course)

  • 홍은표;이수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5호
    • /
    • pp.683-696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horing methodology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learning materials in mathematics course using MathML and XSLT, and give utilizing suggestions of these materials as differentiated textbook and individual learning. Incorporating MathML into instruction-learning materials, there are many advantages such that view of the materials in web browser is improved since mathematical expressions are compatible with text, and an expression can be modified in more convenient way since the expression is represented in text format not an image. In authoring of differentiated materials, the author provides one document for various levels of students. Then, each level of materials is generated from the document via XSLT transformation. This enables author-driven progress control rather than student-driven which does in previous approaches, since students don't need to select components of the material.

  • PDF

초등학교 수준별 수학 수업에서 열린 문제의 활용과 열린 문제 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Improving Differentiated Mathematics Instruction Using Open Problems and Inventing Open Problems in the Elementary School)

  • 이종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3호
    • /
    • pp.315-330
    • /
    • 2012
  • 다양한 수준에 있는 학생 모두에게 일정 정도의 수학을 가르치기 위해서 제7차 교육과정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수준별 수업을 교육과정에서 권장하고 있다. 주로 사용되는 수준별 수업 방식은 학생들을 그 수준에 따라 두 세 그룹으로 분리한 후 각 수준에 맞는 별도의 활동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분리된 수준별 수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수준의 학생들을 통합하여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영재아를 지도하거나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수학 수업과 관련해서만 열린 문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보통의 수학 교실에서 열린 문제는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도 반응을 보일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반응을 교사가 통합할 수 있다면 낮은 수준의 학생이 잠재적 발달수준으로 수준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다는 논의를 바탕으로 열린 문제와 병행 과제를 활용하는 방안을 생각하여 보았다.

  • PDF

초등 수학 영재교육에서 개별화 수업의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Level)

  • 김민정;김재원;손정우;한인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2호
    • /
    • pp.207-218
    • /
    • 2011
  • 초등 수학 영재교육에서 학생들의 개인차,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 수준별 교육, 수학적으로 능동적인 학습자의 특징 등과 같은 개념들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 영재교육에서 영재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학 수업의 가능성을 모색한 연구로, 영재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개별화 수업 모형을 연구하였으며, 이 모형에 따른 수학 영재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별화 수업의 효과를 영재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변화, 학습 만족도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학 영재교육의 다양한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개별화 수업의 활성화에 관련된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학교 과학 실험수업에 적용한 심화.보충형, 심화형, 보충형 수업의 효과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In-depth Level Only, and Supplementary Level Only Laboratory Activitie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 박종윤;최정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90-79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심화 보충형 수준별 수업과 심화형 또는 보충형 획일적 수업의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1학년 남녀학생 200명으로 심화 보충집단, 심화집단, 보충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기본과정 이수 후에 치른 형성평가 점수에 따라 각 집단의 학생들을 심화수준과 보충수준으로 나누었다. 한 학기동안 심화 보충집단은 학생들의 수준에 해당하는 수준별 실험활동을 하였고, 심화집단은 모두 심화 실험활동을, 보충집단은 모두 보충 실험활동을 하였다. 수업처치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 탐구능력에 대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심화 보충형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과학 탐구능력 검사에서는 각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비교 결과 이러한 차이는 심화 보충집단과 보충집단의 차이에 기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의견 조사 결과 심화 보충집단의 심화수준 학생들은 심화활동에 대해 만족하는 학생들이 많았으며, 보충수준 학생들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학생들은 적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심화 보충형 수준별 수업이 보충형 획일적 수업보다는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수준별 유아수업설계모형이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Design Model for Early Childhood on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 간진숙;금미숙;이칭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56-78
    • /
    • 2012
  • This study which is an alternative explor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level of instruction considering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on instructional design is to develop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coincides with the purpos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curricula and with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to find out whether the model has significant effect on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With these purposes, the perception of 343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re investigated, and after component variables are set by drawing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vailabl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reviewing the literatur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model,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arly Childhood are developed based on FGI(Focus Group Interview) expert evaluation. The experimental study of 88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facilities was implemented f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As a result, first, most teachers consider the priority on making the lesson plans as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nd Kindergarten Educational Subjects, and they realize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which contributes on less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s much needed. Second,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arly Childhood are developed, which consists of the cyclic process - pre-lesson phase, lesson implementation phase, and assessment phase -based o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hird, the experiment of the developed model showed that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in knowledge and technique development aspect, and self-understanding development aspect among the aspects of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일기와 기후 단원의 웹 기반 수준별 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 분석 (The Development of Level-Differentiated WBI Program on Weather and Climate Unit and the Analysis of Its Effects in Earth Science Class)

  • 김광휘;박수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666-67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웹기반 수준별 학습 자료를 설계 ${\cdot}$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10의 ‘일기와 기후’ 단원을 기본 학습자료와 심화 ${\cdot}$ 보충형 학습자료로 설계 ${\cdot}$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전통적 수업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수준별 학습은 전통적 수업보다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특성 중 자아개념, 학습열성, 미래지향성, 창의성, 자기 평가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학습자가 주어진 학습체제와의 다양한 교류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획득하는 웹 학습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웹 기반 수준별 학습이 자기 주도적 학습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학습능력별로 살펴본 결과, 학습자의 학습능력 수준에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웹 기반 수준별 학습은 전통적 수업보다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학습능력 수준이 중위이상인 학습자들에게 더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하위수준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충학습의 내용을 더 구체적으로 구성하고 경로 면에서 학습자 편의성을 높이는 웹 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웹 기반 수준별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결과를 보면 시각적 효과와 화면 구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또한 학습 경험을 계획하고 필요한 자원을 자신만의 경로로 찾아서 학습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이 수준별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Differentiated Curricula)

  • 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21-3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implementation states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at the middle school and to propose ways to improve it.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had the interviews with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he items of survey and interviews consisted of the two main parts: current states and needs about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and enriched supplementary cour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the current states and the needs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This means the efforts to improve the current states are needed.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are as follows: 1. The use of various standards including the subject-achievement level and students' or parents' opinions is needed in selecting the students of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2. More relevant special supplementary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and utilized. 3. The ability grouping is recommended for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4. The deliberation of developing the enriched and supplementary texts is requested. 5. The study for differentiated evaluation of students is demanded.

중학교 1학년 수학 수준별 수업에 적용한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 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CRESST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to the 7th Grade Level-Differentiated Math Classes)

  • 이봉주;변희현;양명희;류현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431-450
    • /
    • 2011
  • 효과적인 수학 교수 학습 방안의 하나로 형성평가에 주목하였으나 수업에서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피드백을 주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을 하나의 모형으로 채택한 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중학교 1학년 수준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수준별 수업에 따른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수 학습 방안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적 논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