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3000/JFMSE.2012.24.1.056

The Effect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Design Model for Early Childhood on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Kan, Jin-Sook (Hallym University)
Keum, Mi-Suck (Kangwon National University)
Lee, Ching-Cha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24, no.1, 2012 , pp. 56-7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hich is an alternative explor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level of instruction considering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on instructional design is to develop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coincides with the purpos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curricula and with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to find out whether the model has significant effect on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With these purposes, the perception of 343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re investigated, and after component variables are set by drawing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vailabl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reviewing the literatur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model,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arly Childhood are developed based on FGI(Focus Group Interview) expert evaluation. The experimental study of 88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facilities was implemented f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As a result, first, most teachers consider the priority on making the lesson plans as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nd Kindergarten Educational Subjects, and they realize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which contributes on less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s much needed. Second,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arly Childhood are developed, which consists of the cyclic process - pre-lesson phase, lesson implementation phase, and assessment phase -based o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hird, the experiment of the developed model showed that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in knowledge and technique development aspect, and self-understanding development aspect among the aspects of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Keywords
Instructional design for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arly Childhood; Lesson Plans for Early Childhood; Differentiated Education;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고후순(2002). 유아교사의 자질향상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5, 289-326.
2 교육부(200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 I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김재춘. 변효종(2005). '좋은 수업의 의미에 대한 비판적 검토, 수산해양교육연구, 17(3), 313-382.
4 김영옥(1998). 수준별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방향과 실제, 미래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23.
5 김희진(2008).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연령별 교육활동 분석 : 교육주제와 집단 활동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39(3), 195-215.
6 나일주.정현미(2001). 웹기반 가상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활동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17(2), 27-52.
7 박경숙(2005). MIF 학습모형을 이용한 유아용 수학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석사학위논문 대학교 대학원.
8 박기용(2010). 숙련된 교사의 수업설계 활동에 토대한 수업설계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26(3), 21-52.
9 박미희 (2003). 주제 중심 통합 학습을 통한 유아 영어 수업모형 개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0 백은주.조부경(2004).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4(4), 95-117.
11 박석규(2009). 유치원에서 e-Learning 활용수업모형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1), 205-229.
12 박선미(2009). 일일 교육계획안에 나타난 문학 활동 분석, 교과교육과학연구, 13(4), 653-668.
13 박호철(2008). MBTL 수업 절차 모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가능에 미치는 영향, 박시학위논문.
14 박호철(2010). 유치원과 초동학교 과학교육의 연계성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연구: 인지적 모델링 과정에 기초한 Model-Based 수업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0(3), 67-91.
15 성용혜.문미옥(2003). 유아 국악 장단수업모형의 개발 및 효과 연구, 아동학회지, 24(4), 89-102.
16 양세열.정영희(2004). 이야기 나누기 수업모형을 적용한 임상장학이 유치원교사의 수입개선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 275-307.
17 엄기영(2002). DAP 신념에 근거한 유아과학 교수.학습절차모형개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267-291.
18 여성가족부(2007). 5세 보육프로그램.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19 오숙현(2004). 유아 교수.학습 계획안 작성 및 활용 실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1), 49-79.
20 원미경.강승희(2001).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력 향상에 대한 저널쓰기의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19(3), 429-440.
21 이기숙(2001). 유아교육과정, 서울: 정문사.
22 이수련(2008). 유아를 위한 협동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효과,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3 이영석.김숙자.곽상신(2000). 수준별 교육과정의 학습지도 방안; 유치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연구보고 RR 98-1-5.
24 이영석.조부월(1998). 과제분담 협동학습이 유아의 또래수용, 우정형성,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36(3), 281-299.
25 이영석(2002).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유아수업모형 탐구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75-111.
26 이영석(2003).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유아수업모형 탐색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167-206.
27 이정화.이미은(2003). DPA 신념에 근거한 유아과학 교수.학습모형의 현장 적용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4), 63-87.
28 이정화(2002). DAP 신념에 근거한 유아과학 교수.학습절차 모형 개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267-291.
29 이혜정(2009). 웹기반 수업설계지원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30 임은애(2008). 유아음악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고찰, 수산해양교육연구, 20(2), 266-285.
31 임우영(2010). 유치원교사의 부모-교사 협약에 따른 교사-유라 상호작용,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32 장명화(2002). 수준별 교수.학습과정 절차모형 적용 효과검증,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33 장정아(2005). 현실반영'온라인 PBL 설계모형' 개발, 교육학연구, 43(2), 191-224.
34 전일우(2004). 주간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유치원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분석 연구, 열린 유아교육연구, 9(1), 201-218.
35 정선아. 김희연(2011).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교수. 학습방법'의 개정 방향, 유아교육연구, 31(1), 289-307.
36 정영희 (2005).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이야기 나누기 수업절차모형 적용연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37 정영희. 서영숙(2005). 이야기 나누기 수업절차모형 적용이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 미래 유아교육학회지, 12(4), 359-385.
38 정유선(2002). TPR-TPRS 수업 모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정한호(2009).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설계 실태에 대한 질적 교찰, 교육공학연구, 25(3), 157-191.
40 조부월(2004). 유아수업절차모형개발연구, 미래유아교육연구, 11(3), 217-249.
41 조부월.이영석(2004). DAIM-S 수업절차 모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42(3), 451-489.
42 조부월(2006). 발달에 적합한 유아과학 수업절차 모형이 유아의 호기심과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4), 1-16.
43 지옥정(역)(1995). 프로젝트 접근법: 교사를 위한 실행 지침서, 서울: 창지사.
44 최민수(1999). 유치원의 수준별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6(1), 151-190.
45 최미숙. 박영미(2002). 유아교육기관의 주간 교육계획안 운영 평가, 한국교원교육연구, 19(3), 2-11.
46 최민수(1998). 수준별 교육내용 적용방안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59-107.
47 최민수.조승현(2002). 수준별 교육내용 적용에 대한 교원의 인식 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211-230.
48 최민수.황수연.조승현(2002). 수준별 교육내용 적용에 대한 교원의 인식 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5(7), 33-56.
49 황해익.손원경.송유진(2002). 유치원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4), 29-50.
50 Dick, W., Carey L., & Carey, J. O.(2001).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5th ed), NewYork: Addison-Wesley Educational Publishers Inc.
51 Eggen, P. D., & Kauchalk, D. P.(2001). Strategies for teachers: Teaching content and thinking skills, Boston: Allyn &Bacon.
52 Mims, C.(2003). Authentic Learning: A practical introduction & guide for implementation, Meridian, 6(1). Retrieved June 11, 2011, fromhttp://www.ncsu.edu/meridian/win2003/authentic_learning.
53 Reigeluth, C. M.(1983). Instructional design theorues and models: An over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I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54 Reiser, R. A., & Dick, W.(1996). Instructional planning: A guide for teachers (2nd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55 Rosenshine, B. V., & Furst, N. F.(1973). The use of direct observation to study teaching, In R. M. Travers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Stokie, IL: Rand McN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