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7/jkase.2006.26.7.790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In-depth Level Only, and Supplementary Level Only Laboratory Activitie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Park, Jong-Yoon (Ewha Womans University)
Choi, Jung-Im (Ewha Woma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26, no.7, 2006 , pp. 790-79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vel-differentiated laboratory activities suggested by the 7th national curricula compared to the in-depth level activities only and supplementary level activities only. Two hundred 7th grade students attending a coed middle school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level-differentiated, in-depth, and supplementary group. In each group, the students were subdivided into the in-depth level and the supplementary level by the formative test after completing the basic learning course. The in-depth and the supplementary laboratory activities were developed and engaged to the respective students in the level-differentiated group for one semester, while only the in-depth activities were engaged to the in-depth group and only the supplementary activities were engaged to the supplementary group. To examine the effects of treatments, the science knowledge test and the inquiry process skill test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s and the students' opinions about the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were survey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ience knowledge achievements between the group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inquiry process skills. Post hoc analysis showed thes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level-differentiated group and the supplementary group. After the activities, most students in the level-differentiated group responded positively on doing level-differentiated activities except a few students in the supplementary level, These results jus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level-differentiated laboratory activities compared to the supplementary only laboratory activitie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Keywords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academic achievement; inquiry process skill;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박순혜 (1999). 중학교 생물수엽에서 수준별 수업이 과학지식, 파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 송호선 (2002). 심화 . 보충형 수준별 수업의 고등학교 과학 교육에서의 적용 효과 광합성 단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3 신원정 (2003) 구성주의적 심화 . 보충형 수준별 학습이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4 이규석 (1998). 수준별교육과정과 열린교육을 고려한 과학교육의 방향. 한국지구과학회지, 19(4), 368-374
5 이은숙, 최영준 (2004),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있어서 심화 . 보충 수업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298-306
6 인천광역시 북부교육청 과학교과연구회 (2002). 과학과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수 학습자료(1학년)
7 정인규 (2005). 달의 운동단원에서의 수준별 수업 모형적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8 교육인적자원부 (2002). 중학교 1학년 과학과 수준별 교수. 학습자료
9 교육부 (1999)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III). 서울: 교육부
10 김혜현, 유정문 (2000). 심화 . 보충형 수준별 수업모형의 중학교 과학 교육에서의 적용 효과: '물의 순환과 일기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1(2), 103-115
11 유상규 (2003). 고등학교 과학 지구변동 단원에 대한 수준별 웹 학습자료 개발.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대전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 (2002). 중학교 1학년 과학과 수준별 교수 . 학습자료
13 이형민 (2002). 심화 . 보충형 수준별 탐구학습 자료 개발. 적용이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4 조수민 (1998). 열린교육의 수준별 중등 과학 학습이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5 최지아 (2004).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준별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1 학년 '생물의 구성' 단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6 홍경민 (2002). 과학과 수준별 교수 학습방법 적용 연구 -중학교 1 학년 '물질의 상태변화' 와 '힘' 단원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7 최미화, 최병렬, 최병순 (2005).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 활동에서 수준별 선택실험모형의 적용 효과. 대한화학회지, 49(6), 591-602
18 박명숙 (2004).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8 학년 수준별 실험안내서 개발 2학년 물질의 분리 단원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 김해진 (1999).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엽이 학습능력별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 -15호 [별책 9] 서울: 교육부
21 조영주 (2000) 수준별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2 최정아 (2000). 과학탐구능력 신장을 위한 수준별 수업 과정안 개발 및 적용.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최윤미, 남철우 (2002). 수준별 학습지 활용 수업 이과학적 탐구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동과학교육, 21(1), 111-126
24 장경준 (2005). 중학교 과학과에서 수준별 ICT 과제 학습지 활용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제 7차 교육 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과 수준별 교육 과정 적용 방안과 교수 학습 자료 개발 연구. 연구개발 RDM 98-6-5.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제7차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수준별 수업 자료 개발 연구. 연구보고 RRC 2001-14- 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7 정인규 (2000). 고등학교 지구과학수업에 수준별 수업모형 적용.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8 권재술, 김범기 (1994). 초 . 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29 정진수 (2000).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분자 개념 형성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30 장낙한, 유태흥, 류해일 (2005). 수준별 화학실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화학회지, 49(5), 488-496
31 홍성희 (2001). 중 1 과학 동물의 구조와 생활양식 단원에서 수준별 수업모형이 과학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2 정은영 (2006). 중등학교 과학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55-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