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ability

검색결과 3,271건 처리시간 0.037초

학년별 독서방식이 어린이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ad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Reading Method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Children)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1-271
    • /
    • 2007
  • 본 연구는 음독, 묵독, 다독, 정독, 통독, 발췌독 등의 독서방식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학년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2학년, 4학년, 6학년 12개 반의 전체 어린이 286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특성 검사지 결과와 질문지로 조사한 독서방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어린이들에게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독서방식은 정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독서방식은 2학년의 경우에는 통독, 4학년과 6학년 어린이의 경우에는 정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부정적 심리성향과 학업열의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ademic Engagement and Negative Psychological Tenden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 안민정;노주연;장혜주;최주혜;한도헌;한수진;송지은;황윤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7-7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96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one national university. Negative psychological tendency (i.e. Type D personality), academic engag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assess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WIN 23.0 program.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tudents was $21.61{\pm}2.40years$ and 56.6% were male students. Approximately, one third (n=67, 34.2%) of the students had Type D personality. The average scores of academic engag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3.01{\pm}1.14$ and $3.46{\pm}0.50$, respectively.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Type D personality and academic engagemen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eta}=.64$, p<.001; ${\beta}=-.13$, p=.021, respectively). This model explained 53.6% of the varia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d that Type D personality and academic engagement affec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one in a negative way, the other in a positive way. Educators and educational policy makers need to make efforts to include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that increase academic engagement and change negative psychological dispositions such as D-type personality in the undergraduate education curriculum.

실과(기술·가정) 학습부진학생 학습능력향상에 대한 학교급 및 가족유형별 인식 (Perception on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of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Underachievement Student in School Levels and Family Form)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648-66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chool parent and student's perception of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and to suggest plan to school parent of multicultural and learning disability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who teaching Practical Arts or Technology Home Economics.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including five sections: influence on students by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interest i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to school parents, school support with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school parents support with home i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data form of school parents support with home i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ociality development of students is influential by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School parents and students believe important subjects i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Teachers ask for support with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for practical training space and programs i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School parents ask for support with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of programs of teaching learning method for home education o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Effect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on Stress, Problem Solving Ability,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College Nursing Students

  • Kyoungrim, Kang;Sang-Hwa, Lee;Dong-Hee, Kim;Kyo-Yeon,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8-18
    • /
    • 2022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simulation-based learning program on stress, problem-solving ability,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final-year nursing students in a college in South Korea. Methods: The design of the study was a one-group pretest-posttes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nal-year nursing students in 2018. A total of 105 students completed it. The intervention was an 8-week simulation-based practice course. The primary and secondary outcome measures were baseline and follow-up questionnaires regarding demographic factors, stress, problem-solving ability, self-efficacy, and resilience. Results: Problem-solving ability (t=6.567, p<.001), self-efficacy in four situations (p<.001) and resilience (t=2.352, p=.021) increased after simulation-based learning than before learning. Stress also increased after simulation-based learning compared to before learning (t=5.960, p<.001). The level of stress, self-efficacy, and resilience were mainly related to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ir clinical plac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05). Conclusions: Simulation-based learning is expected to improve nurs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his can lead to induce learning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improve their coping strategies for solving problems, and ultimately provide high-quality care.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문제해결기반 스마트러닝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mart Learning System based on Problem-solving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 장한;전우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63-470
    • /
    • 2015
  • 본 논문의 목적은 문제해결전략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러닝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는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학습장애아동의 일반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시스템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전략을 기반으로 일반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을 위해 개발하였다. 둘째, 스마트 어플리케이션과 SNS를 동시에 활용하는 학습형태로 개발하였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을 위한 단계적인 학습을 지향하였다. 본 시스템을 학습장애아동들에게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아동의 일반적인 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학습장애아동의 문제해결능력이 증진되었다. 셋째,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성취감, 학습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졌으며, 정보 활용능력과 정보기기활용능력 또한 향상되었다.

21세기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for Expansion of Learning Ability in the 21st Century)

  • 정재훈;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67-174
    • /
    • 2013
  • 본 연구는 21세기에 필요한 핵심적인 학습 능력을 연구하고 미래 사회 국가 발전에 필요한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데 있다. '21세기 학습 능력 프로젝트'는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개인 회적으로 가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기존 지식과 학문을 다학문적, 통합적으로 접근 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학습 능력 배양을 위한 다양한 교과 간 통합 교육과정의 시도가 있었으나 각 교과의 내용과 특성의 차이를 충분히 이해하여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교사가 부족하고 현장에서 쉽게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에 필요한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해 학문의 지식을 통합하는 다학문적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위해 교육과정 실태를 분석 연구하고 그 결과로 초 중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다학문 맞춤형 학문 통합 모형을 제안한다.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ed Motivations on Relation between Class Climat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 김유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05-619
    • /
    • 2019
  •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학생 589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지각된 학급풍토가 자기결정성동기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자율지향적 학급풍토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지각된 자율지향적 학급풍토는 자기결정성동기 유형 중에서 확인된 조절을 매개로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통제적 학급풍토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지각된 통제적 학급풍토가 확인된 조절, 부과된 조절과 외적조절을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에 대한 자기결정성을 높이는 것이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적 개입이 될 것을 시사한다.

초등학교 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력과 과학 교수 효능감 및 기타 배경 변인들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Other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강석진;김보경;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326-331
    • /
    • 2004
  •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other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vestigate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34 teachers from 25 elementary schools in Jeonju. It was found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teach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age.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life satisfaction,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and age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PDF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오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311-32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 2학년 간호학생 194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11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성별, 성격성향, 간호학과 지원동기, 전공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 만족도, 성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53.1%를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역할극 활용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평가방법에 대한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문제해결과정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after Practice Evaluation of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sing Role Play)

  • 김영희;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47-155
    • /
    • 2012
  • 본 연구는 역할극을 활용해서 간호학생의 기본간호학 술기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실습교육평가방법을 통한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문제 해결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였다. 연구대상자는 기본간호학 실습 교과목 수강생 289명이었다. 결론적으로,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간호과 지원이 적성에 맞고 졸업 후 진학을 하고자 하는 학생, 역할극을 활용한 평가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에서, 문제해결과정은 남학생이고, 역할극을 활용한 평가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문제해결과정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