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6.605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ed Motivations on Relation between Class Climat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Kim, Yoo-Lee (한라대학교 교직과정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s on the effect of class climat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lilit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89 stud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this researc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so 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all the variables. As a results, first, the perceived autonomous class climate had a 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n in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identified regulation. Second, the perceived controlled class climate had a 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n in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identified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and external regulation. This study implies that facilitating autonomous engagement in learning activities will be a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mprov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Keywords
Class Climate; Self-determined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R. H. Moos and E. J. Trickett, Classroom Environment Scale Manual, Consulting Psychologiests Press. Inc, 1974.
2 김창걸, 교육행정학신론, 서울: 형설출판사, 1995.
3 강승희,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몰입, 자기주도학습, 학급풍토와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11호, pp.259-281, 2015.
4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 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교육심리연구, 제16권, 제4호, pp.169-187, 2002.
5 양명희, 자기조절학습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6 이강자, 부모의 양육태도와 성취목표지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 홍세희, 황매향, 이은성,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잠재평균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9권, 제4호, pp.1159-1177, 2005.
8 P. R. Pintrich and E. V. De Groot,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pp.33-40, 1990.   DOI
9 안도희, 김지아, 황숙영,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변인탐색," 교육심리연구, 제19권, 제4호, pp.1199-1217, 2005.
10 J. S. Eccles and C. Midgley, "Stage-environment fi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lassroom for young adolescents," Re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 Vol.3, pp.139-186, 1989.
11 김윤희, 오상철, "교사의 정서적 지원과 교사신념이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지원 수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2호, pp.263-282, 2010.
12 J. J. L. Chen, "Relation of academic support from parents, teacher, and peer to Hong Kong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engagement,"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Vol.131, No.2, pp.77-127, 2005.   DOI
13 D. Cross and S. Paris, "Developmental and introduction analysis of children's meta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ist, Vol.80, No.2, pp.131-142, 1988.   DOI
14 R. A. Schmuck and P. A. Schmuck, Group processes in the classroom, 1992. 김경식(역), 학급의 사회심리학: 협력학습 조성을 위한 기초 이론과 실제, 서울: 원미사, 2000.
15 황정규, 대학환경의 사회심리적 특성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88.
16 J. Sullivan, Dimensions of classroom environment as related to student's self-control and academic self-concept, doctoral dissertation, The City University of N.Y, 1988.
17 송인섭, 정미경, "고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모형의 구조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3권, 제3호, pp.71-91, 1999.
18 김경식, 이현철, "학업성취에 대한 학급풍토의 영향," 중등교육연구, 제59권, 제1호, pp.1-23, 2011.
19 김민성, 신택수, "중학생이 지각한 학교의 심리적 환경과 자기결정성, 학습노력, 학업성취, 학교만족도의 인과관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pp.43-70, 2010.
20 김아영, 차정은, "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양육행동지각,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기조절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3호, pp.563-582, 2010.
21 김은빈, 김정섭,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동기부여방식과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3호, pp.859-878, 2016.
22 김청자, "중.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동기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1148-1156, 2013.   DOI
23 이은주, "자기결정성동기와 학업적 성과의 관계: 동일시 조절과 내사 조절의 효과 재조명," 교육심리연구, 제31권, 제4호, pp.713-743, 2017.
24 최병연, 유경훈,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구조분석," 교육문화연구, 제16권, 제3호, pp.183-203, 2010.
25 조현철,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25권, 제1호, pp.33-60, 2011.
26 이창현, 이은주, "청소년들의 지각된 부모학업지원, 타율적 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 간의 종단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29권, 제2호, pp.241-259, 2015.
27 U. Bronfenbrenner, "Toward an experimental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Vol.32, No.7, p.513, 1977.   DOI
28 M. M. Wagner, Students' achievement and perception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in single-sex mathematics classes in coeducational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2002.
29 민상기,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학습몰입과 학급풍토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0 김주영, 김아영, "교사의 조건부 관심 및 자율성 지지와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학업참여 및 성취도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28권, 제2호, pp.251-268, 2014.
31 최영아, 양명희, "자기조절학습과 정의적 특성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 중등교육연구, 제61권, 제4호, pp.931-961, 2013.
32 도승이, "정서와 교수-학습 연구의 쟁점과 전망," 교육심리연구, 제22권, 제4호, pp.919-937, 2008.
33 한순미,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1호, pp.329-350, 2004.
34 박성은, 학업능력자아개념과 본질동기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35 송성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6 유은주, 청소년이 지각한 학급풍토, 가정의 도전과 지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7 M. W. Gallbrath, Adult learning methods: A guide for effective instruction, Malabar, FL: Krieger Publishing Company, 1990.
38 박소희,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 행동과 자기결정성동기, 학업자아개념,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0호, pp.263-289, 2013.
39 김성수, 윤미선, "자기결정성이론의 연구 동향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학연구, 제50권, 제4호, pp.77-106, 2012.
40 정지영, 김희화, "한국 초등학생의 학업동기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자기결정성 이론을 근거로,"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11호, pp.117-137, 2010.
41 김민수, 자기결정성 및 부모의 학습지원 행동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42 임지현, 자기결정성 수준에 따른 동기유형과 학업성취, 학업유능감, 자기조절학습 능력과의 관련성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3 조한익,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아동교육, 제23권, 제2호, pp.233-251, 2014.
44 안혜진, 자기결정동기, 인지전략, 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5 E. L. Deci and R. M. Ryan,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s scale: Self 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19, No.2, pp109-134, 1985.   DOI
46 김선희, 자기조절학습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학업성취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결정성동기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7 R. M. Ryan and E. L.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5, pp68-78, 2000.   DOI
48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 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교육심리연구, 제16권, pp.169-187, 2002.
49 이점형, 정서지능, 학급풍토 및 사회적 지지가 교우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0 곽기상,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학교학습태도와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36권, 제3호, pp125-146, 2004.
51 A. Dincer, S. Yesilyurt, and S. Takkac, "The effects of autonomy-supportive climates on EFL learners' engagement, achievement and competence in English speaking classrooms. Paper presented in WCES 2012", Proci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46, pp.3890-3894, 2012.   DOI
52 곽화진, 학급풍토가 학업동기 및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생수준과 학급수준 비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3 R. M. Ryan and E. L. Dcci,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In E. L. Deci, & R. M. Ryan(Eds.),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4-33,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2002.
54 김민성, 신택수, 허유성, "중고등학교 시기 교사-학생관계, 교우관계의 종단적 변화가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26권, 제2호, pp.429-459, 2012.
55 E. A. Skinner and M. J. Belmont, "Motivation in the Classroom: reciprocal effects of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engagement across the school year,"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5, No.4, pp.571-581, 1993.   DOI
56 조유미, 임성택,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급풍토,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계," 교육학연구, 제50권, 제4호, pp.159-184, 2012.
57 김경숙, "한국 1위 PISA 2012 결과 세미나,"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21538, 2014.
58 최명구, 성소연, "중학생의 사회적지지,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간의 구조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1호, pp.357-373, 2012.
59 신태섭, 박용한, "협동학습경험이 지각된 교사지원과 내재적 학습동기를 매개로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27권, 제3호, pp.739-759, 2013.
60 이숙정, "중.고생의 교사신뢰와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학업성취 및 학급풍토간의 관계모형 검증," 교육심리연구, 제20권, 제1호, pp.197-218, 2006.
61 S. G. Paris and J. P. Byrnes, The constructivist approach to self-regulation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In B. J. Zimmerman, & D. J. Schunk(E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Y: Springer-Verlag, pp.169-200, 1989.
62 최해주,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관련변인들간의 관계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63 김은영, 초.중.고등학생의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64 류지헌, 임지현,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요인이 인지전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인과관계의 검증," 교과교육학연구, 제12권, 제1호, pp.219-238, 2008.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