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ption on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of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Underachievement Student in School Levels and Family Form

실과(기술·가정) 학습부진학생 학습능력향상에 대한 학교급 및 가족유형별 인식

  • Received : 2011.09.28
  • Accepted : 2011.11.20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chool parent and student's perception of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and to suggest plan to school parent of multicultural and learning disability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who teaching Practical Arts or Technology Home Economics.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including five sections: influence on students by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interest i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to school parents, school support with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school parents support with home i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data form of school parents support with home i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ociality development of students is influential by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School parents and students believe important subjects i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Teachers ask for support with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for practical training space and programs i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School parents ask for support with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of programs of teaching learning method for home education o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희(2010).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가족교육에 대한 인식,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 김순택(1987). 목표별 수업, 교육과학사.
  3. 권오걸(2005). 학습우수아와 학습부진아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비교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진희(2004).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교육인적자원부(2006). 다문화가정자녀 교육지원대책.
  6. 나승일 외(2002). 전문대학 학생의 학습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직업교육연구 21(2). 141-163.
  7. 박솔지(2010). 다문화가정자녀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방기석. 서성우(2001). 제7차 실과교육과정 적용상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4(3), 47-63.
  9. 소연희(2009). 수업에 대한 자율성 지각과 다중지능 및 교과흥미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8(2), 5-18.
  10. 신효선(2010). 다문화가정자녀의 생활환경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오은순 외(2007).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지원방안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윤미선. 김성일(2004). 중.고생의 학업성취결정요인으로서 사고양식, 학습동기, 교과흥미, 학습전략간의 관계모형, 교육심리연구 18(2), 161-180.
  13. 윤미선. 홍창용(2006). 중학생의 부모 학습관여 지각과 교과흥미 및 교과성적의 관계, 교육방법연구 18(2), 139-155.
  14. 이동민(2010). 초등사회과 학습부진아의 사회과에 대한 인식전환의 유형적 특성,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상혁(2007).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에서 기술영역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1). 24-39.
  16. 이화진 외(1998).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임정달(2008). 대구.경북지역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실과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종삼(1995). 문제해결에서 메타인지의 역할을 강조한 수업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전경숙(2010). 동향분석,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30호.
  20. 정병노 외(2001). 제7차 실과교육과정 적용상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4(3), 47-63.
  21. 조혜영 외(2008).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수행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8(2), 105-134.
  22. 주동범(2011).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수산해양교육연구 23(2). 277-289.
  23. 하종화(1992). 학습능력에 따른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4. 황순영, 강승희(2009). 초등과 중등 예비교사의 사고양식 및 비판적 사고 성향의 차이, 수산해양교육연구 21(3), 390-399.
  25. Casey, F.(1988). How to study: A practical guide, Macmillan Educaton LTD. Camelot Press Ltd.
  26. Gonzalez-Pienda, J. A., Nunez, J. C., Gonzalez-Purmariega, S., Alvaral, L., Roces, C., & Garcia, M.(2002).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parental invol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 104-113.
  27. Robert B. McCall, Scott R. Beach, and Sing Lau, 2000, The Nature and Correlates of Underachievement among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Hong Kong, Child Development 71(3), 795.
  28. Whitaker, P.(1995). Managing to learning. Biddles Ltd, Guildford and King's Lynn., 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