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ative assessment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7초

Why Web-based Peer Assessment is Needed?

  • KIM, Minjeo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6권2호
    • /
    • pp.131-151
    • /
    • 2005
  • As student-centered learning grows, formative peer assessment practices have been universally used in various fields. According to the review of traditional peer assessment practices, the formative peer assessment has five common stages: planning, assessing (giving feedback), receiving feedback, reflection, and revising. As the each stage of traditional formative peer assessment has some weaknesses, the study discusses solutions that are recommended for dealing with the problems by introducing the potential benefits of web-based peer assessment. Then, desirable future trends of web-based peer assessment are suggested. The author hopes that understanding the potential benefits of web-based formative peer assessment will promote the proper use of peer assessment and render positive effect on student learning.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형성평가의 실제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Assessmen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ing)

  • 엄재호;남정희;최병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9권2호
    • /
    • pp.83-9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assessmen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ing. In order to examine the practices of formative assessment in science teaching, 8 science classes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for each of two instructions. We also interviewed the teachers and student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teachers used planned formative assessment and interactive formative assessment. Teachers assessed three aspects of student loaming in science classroom: the student's personal, social and science development. However, the majority assessed in science teaching was science development. Teachers used observation, question and answer, dialogue, reports, and presentation as the formative assessment methods. The process of formative assessment was categorized as to get information, to judge and to give feedback. These three aspects were interrelated and interdependent. The type of question and feedback was influenced on the exten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 PDF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가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 through Student Interactive Feedback o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ttitude)

  • 허가은;신항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409-432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과정 중심 평가의 중요성과 함께 주목 받고 있는 형성평가의 정착 및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안의 하나로 설정한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동질성이 검증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를, 비교집단에는 본인 확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는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고,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는 수학적 태도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이는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가 초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있어서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형성평가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 (Th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Status of Formative Assessment in Science Teaching)

  • 남정희;성을선;엄재호;김경희;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20-727
    • /
    • 1999
  •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과학교사 197명을 대상으로 과학교육에서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 및 이에 대한 실태를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학교교육에서 평가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학습목표의 성취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가장 적절한 평가방법은 형성평가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형성평가는 수업 후반부에 학습내용의 성춰정도를 확인하는 평가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형성평가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그 이유로 학습목표 달성 정도의 확인을 들었다. 그러나 과학 수업 중 수시로 이루어지는 형성평가는 적었다. 형성평가의 실시를 어렵게 만드는 원인으로 학생 수 과다, 시간 부족, 준비의 어려움을 들었으며, 형성평가로부터 얻은 정보는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판단하는데 이용한다고 응답하였다.

  • PDF

지구과학 수업에서 진단 및 형성평가 활용을 위한 스마트 맞춤 평가(SPA) 시스템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Smart Personalized Assessment(SPA) System for Using of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in Earth Science Classes)

  • 손준호;김종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PA system using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in earth science classes in order to discuss its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total management system, app for teachers, and app for students. This research was practiced to 76 students in 5th gra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group taking a class used by app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an effect of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However, as for learning achievement long term endurance test, the group taking a class using app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no effect. Secondly, the group taking a class using apps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an effect of improving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s for self-directed long-term endurance test, the group taking a class using app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an effect. In conclusion, I hope that this SPA system might apply to the science classes as it is a system that will satisfy the needs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giving much needed feedback to students.

온라인 형성평가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과 실행 사례를 통해 살펴본 교사 교육의 시사점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throug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Cases on Online Formative Assessment)

  • 김효준;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01-514
    • /
    • 2022
  • 온라인 교수학습 환경으로의 변화에 따라 온라인 형성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교육의 기초 토대 마련을 위해 예비 과학교사 2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형성평가,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사항을 분석하였다. 사전 인식은 개방형 설문을 통해 얻은 응답을 오픈 코딩을 통해 범주화하여 범주별 빈도를 파악하였고, 사전 인식의 범주 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실행의 모습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상태와 바람직한 활용 목표 간의 격차를 파악하고, 교사 교육에서 중점을 두어야 하는 사항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전 인식에서는 온라인 수업의 어려움으로 상호작용을 언급하고, 온라인 형성평가의 장점으로 테크놀로지의 활용 및 피드백과 수업 조정을 언급하였다. 지도안과 조별 사전 인식 과정에서는 플랫폼의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자동화된 피드백을 대부분 활용하였지만, 응답 분석 결과를 활용한 수업 조정과 상호작용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또한 온라인 형성평가의 형성적 기능에 적합하지 않은 활용 방식이 다수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예비 교사들의 형성평가 활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평가'의 측면에 치중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형성평가의 피드백을 통한 '형성적' 기능과 활용 방법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충분한 이해가 바탕이 될 때, 온라인 형성평가의 장점을 활용한 상호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형성평가의 핵심적 기능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형성적 활용에 대한 역량 강화와 실질적 적용 방법에 대한 교육이 예비 교사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중학교 1학년 수학 수준별 수업에 적용한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 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CRESST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to the 7th Grade Level-Differentiated Math Classes)

  • 이봉주;변희현;양명희;류현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431-450
    • /
    • 2011
  • 효과적인 수학 교수 학습 방안의 하나로 형성평가에 주목하였으나 수업에서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피드백을 주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을 하나의 모형으로 채택한 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중학교 1학년 수준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수준별 수업에 따른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수 학습 방안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적 논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형성평가, 수행평가,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재고찰 (Revisited: Formative Assessment, Performance Assessment,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 이지운;노지화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6권4호
    • /
    • pp.515-535
    • /
    • 2020
  •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had newly introduced the term 'process-focused assessment'. The official document, however, did not offer an explicit definition of the new term, but only by virtue of narrative. This has encouraged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to figure out themselves what it is and how it differs from those in use, formative assessment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 particular, in use. In consequence, many versions of interpretation, all of which are not necessarily consistent, have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schools, This, in turn, still has created a chaotic situation carrying out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the meaning of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more explicit by conduct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for implementing it in its intended way.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 형성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Development of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in Geometry Area for the 1st Graders of Middle School)

  • 류현아;이봉주;양명희;최승현;변희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37-154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에 대한 형성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한 형성평가 프로그램 효과 검증에 활용된 사전 사후평가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중학교 1학년 학생의 기하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를 살펴보았다. 기하 영역 형성평가 프로그램과 그 분석 결과는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중학교 유전과 진화 단원의 만화를 활용한 형성평가에 대한 연구 (Study on Formative Assessment using Cartoon for 'Genetics and Evolution' Unit of Middle School)

  • 이계영;소금현;여성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0-12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유전과 진화"단원 학습을 위해 만화를 활용한 형성평가 문항을 총 17개 개발하고, 이를 실험집단 73명과 통제집단 78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이에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학업성취도 변화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만화를 활용한 형성평가는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생들이 평가의 유용성을 인식하고(p<.05) 시험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개발된 만화를 활용한 형성평가는 서술형 지문의 형성평가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유전과 진화"단원의 추상적인 개념들을 그림으로 표현하여 학습내용과 문항의 이해를 더 쉽게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만화를 활용한 형성평가는 학습내용의 이해와 흥미도의 향상에 기여하며 수업에 적극 활용했을 때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고 평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줄 수 있는 평가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