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16.9.1.1

Development and Effects of Smart Personalized Assessment(SPA) System for Using of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in Earth Science Classes  

Son, Jun Ho (Munsan Elementary School)
Kim, Jonghe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9, no.1, 2016 , pp. 1-1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PA system using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in earth science classes in order to discuss its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total management system, app for teachers, and app for students. This research was practiced to 76 students in 5th gra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group taking a class used by app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an effect of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However, as for learning achievement long term endurance test, the group taking a class using app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no effect. Secondly, the group taking a class using apps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an effect of improving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s for self-directed long-term endurance test, the group taking a class using app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an effect. In conclusion, I hope that this SPA system might apply to the science classes as it is a system that will satisfy the needs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giving much needed feedback to students.
Keywords
diagnostic assessment; formative assessment; application; learning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2011).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대통령 보고서.
2 김계형(2013). 초등학교 곤충의 한살이 학습을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구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3 김민정, 황지현(2007). 국내외 사례를 통한 모바일 교육 콘텐츠연구-국내와 국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15(1), 79-87.
4 김용, 손진곤(2011). 스마트폰 활용을 위한 초.중등 교육용 e-러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2(4), 135-143.
5 김운기(2012). 스마트교육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6 김은수(2013). 앱 저작도구를 이용한 학교학습용 앱 개발 및 학교 시스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7 김종윤(2007). e-Learning 활용 문제중심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문제 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8 김종희(2003). 달과 행성의 위상작도 모듈을 활용한 수업이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9 김흥식, 권기태(1999).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웹 기반 형성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4), 157-167.
10 남정희, 성을순, 엄재호, 김경희, 최병순(1999). 형성평가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 과학교육논문집, 43(6), 720-727.
11 노원경(2009).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4), 169-190.
12 문일수, 김한일, 김철민, 박찬정(2004). 형성평가시 개별피드백을 제공하는 시스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7(1), 89-96.
13 박동우(2011). 스마트앱을 활용한 보충학습 시스템 개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4 박성범(2012). 성취도 분석 기반의 반복연습형 온라인 형성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5 반재천, 신선희(2011). 다수준 맥락변인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에 미치는 효과 추이 분석: 2003-2009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24(3), 685-712.
16 손준호, 김종희(2015). 동형검사를 활용한 진단 및 형성평가가 초등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 '지구와 달'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4), 619-628.   DOI
17 유선경(2004). 교수방법의 효율화를 위한 웹 기반 진단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8 이보영(2011). 진단평가 실시 유형이 고등학교 영어 교수 활동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 이용섭(2004). 초등학교 과학과 '지구' 분야의 ICT 활용 수업모듈 개발과 그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 이상홍(2010). 스마트폰과 공학교육: 스마트폰과 대학 교육 2.0. 공학교육, 17(2), 10-13.
21 이정숙(2013). 교육용 앱의 평가도구 개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2 조성수(2003). 형성평가에서 교정적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3 조재춘, 임희석(2012). 교수-학습 활동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교육 개념모델.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5(4), 41-49.
24 최원호, 정은영(2008). 200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과학 성취도와 학생 관련 배경변인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48-859.
25 황윤한(2008). 교실 수업에서의 평가와 학습의 연계. 교육과정연구, 26(4), 47-72.
26 Alderson, J. C. (2005). Diagnosing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The Interface Between Learning and Assessment. New York: Continuum.
27 Black, P. J. (1993).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by Teacher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1(1), 49-97.   DOI
28 Cohen, A. D. (1993). Assessing Language Ability in the Classroom (2nd ed.). Boston, MA: Heinle & Heinle.
29 Harrison, A. (1983). A Language Testing Handbook. London: Macmillan Press.
30 Joseph, G. R., Martinez, P. A., & Nancy C. (1999). Teacher Effectiveness and Learning for Mastery, Master Teachers, Mastery Learning, Group Work in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2(5), 279.   DOI
31 McMillian, J. H. (2007).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4rd ed.).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32 William, D. (2007). Changing Classroom Practice. Educational Leadership, 65(4), 36-42.
33 OECD (2005). Formative assessment: Improving learning in secondary classroom. Paris : The Author.
34 Scherer, M. (2007). An Answer for the Long Term. Educational Leadership, 65(4), 7.
35 Stiggins, R. (2005). From Formative Assessment to Assessment for Learning: A Path to Success in Standards-based Schools. Phi Delta Kappan, 87(4), 3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