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58/eamj.2020.034

Revisited: Formative Assessment, Performance Assessment,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Lee, Ji Wo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Noh, Jihwa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had newly introduced the term 'process-focused assessment'. The official document, however, did not offer an explicit definition of the new term, but only by virtue of narrative. This has encouraged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to figure out themselves what it is and how it differs from those in use, formative assessment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 particular, in use. In consequence, many versions of interpretation, all of which are not necessarily consistent, have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schools, This, in turn, still has created a chaotic situation carrying out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the meaning of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more explicit by conduct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for implementing it in its intended way.
Keywords
Formative Assessment; Performance Assessment; Process-Focused Assess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교육부(2009).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8].
2 교육부(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1]
3 교육부(2015b).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2015-2019). 교육부 보도자료(2015.3.16.).
4 교육부(2015c).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5 교육부(2017).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ORM 2017-19-2)
6 권점례, 박지현, 양성현(2015). 과정 중심 수학 평가에서 계산기 활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2015-11.
7 김명숙(1999). 영어작문 평가의 채점행위 분석 연구. 교육평가연구 12(2), 25-54.
8 김선희(2016). 수학 교과 과정 중심 평가의 방향. 2016학년도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연구발표대회 논문집(pp.3-7).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한국수학교육학회.
9 김성숙, 김희경, 서민희, 성태제(2015). 교수.학습과 하나되는 형성평가. 서울: 학지사.
10 김영민(1997). 초등영어 교육의 포트폴리오 평가 적용. 영어교육, 52(2), 289-205.
11 김희경, 박종임, 박상욱, 임은영, 이광상, 이정우, 배주경(2014).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학생 평가 가이드북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CRE 2014-5.
12 박정(2013). 형성평가의 재등장과 교육 평가적 시사. 교육평가연구, 26(3), 719-738.
13 박지현, 진경애, 김수진, 이상아(2018). 과정 중심 평가 내실화 방안 연구(ORM 2018-4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백순근 외(1996).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국립교육평가원
15 백순근 외(1998). 중학교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원미사.
16 서울특별시교육청(2017).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17 신혜진, 안소연, 김유원(2017). 과정 중심 평가 활용의 정책적 분석 :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교사의 수행평가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20(2), 135-162.
18 임은영, 임경미, 이상곤, 박지원, 류재인, 나은수, 주정미, 김미경, 김덕희, 김재정, 민문순, 김기중, 나은경(2016). 학습과 성장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전라남도 교육청.
19 이경화, 강현영, 고은성, 이동환, 신보미, 이환철, 김선희(2016).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26(4), 819-934
20 이미경, 박순경, ..., 김종윤(2017).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별 평가기준 개발 연구(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7-5-1.
21 박정(2017). 수업에서 학생 평가 의미 탐색. 교육평가연구, 30(3), 397-413.
22 임은영(2017).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과 의미.
23 전경희(2016). 과정중심 수행평가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6-02-4.
24 정수경(2017). 과정중심평가 측면에서의 백워드 설계 방식을 활용한 맥락적 수행과제 개발.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5(3), 249-269.
25 Black, P. & William, D. (1998). Assessment and classroom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5(1), 103-110.   DOI
26 Bloom, B. S. (1969). Some theoretical Issues relating to educational evaluation. In H. G. Richey & R. W. Tyler (Eds.), Educational evaluation: New roles, new means, pt. 2(Vol. 68, pp26-50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Boston, C. (2002). The concept of formative assessment.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8(9), 2-5.
28 Earl, L. M. (2013). Assessment as learning : using classroom assessment to maximize student learning, 2nd Ed. Corwin-Sage.
29 Gardner, H. (1993). Multiple Intelligences: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BasicBooks.
30 Kahl, S. (2005). Where in the world are formative tests? Right under your nose! Education Week, 25(4), 11.
31 Stiggins, R. J. (1994). Student-centered classroom assessment. New York: Macmillan.
32 McMillan, J. H. (2015). 교실평가의 원리와 실제 : 기준참조수업과의 연계(손원숙, 박정, 강성우, 박찬호, 김경희 옮김). 파주: 교육과학사.
33 Popham, W. J. (2008). Transformative assessment. Alexandria, VA: ASCD.
34 Scriven, M. (1967). The methodology of evaluation. In R. W. Tyler, R. Gagne, & M. Scriven(Eds.). Perspectives on Curricular Evaluation. AERA Monograph Series on Curriculum Evaluation. No1, pp.39-83. Chicago: Rand McNally.
35 Cowie, B. & Bell, B. (1999). A model of formative assessment in science education. Asse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and Practice, 6(1), 32-42.
36 U.S. Congress, 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미국의회기술평가국] (1992). Testing in American schools: Asking the right questions. OTA-SET-519.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