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freshme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7초

비대면 실험실습 수업 경험과 비대면 상호작용 경험의 현상학적 분석 - 공과대학 신입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Non-face-to-face Experiment and Non-face-to-face Interaction -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Engineering Freshmen)

  • 강유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32-4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 a pandemic situation caused by COVID-19 to explore the online distance experiments and interaction of engineering freshmen, and to identify practical difficulties, resulting in to derive implications. Seven freshmen from engineering college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of which data were analyzed based on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s. The types of non-face-to-face experiments experienced by students were complete non-face-to-face experiment, mixed face-to-face experiment, and fusion face-to-face experiment. Students were completely isolated in time and space in complete non-face-to-face experiment. In biweekly mixed face-to-face experiment, isolation was halved. In fusion face-to-face experiment, isolation was removed. Non-face-to-face interactions can be characterized by restrictions on simultaneous activities, on rapport formation, and on observation opportun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ree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allow students to manage time and space constraints on their own in non-face-to-face experiments. Second, support is needed to solve the difficulty of forming rapport,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non-face-to-face interaction. Third, an opportunity to observe the interaction between other students and professors should be provided.

공과대학 신입생의 동시적 온라인 글쓰기 수업에서 스캐폴딩이 쓰기 불안과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affolding on Writing Apprehension and Media Literacy in Engineering Freshmen's Synchronous Online Writing Course)

  • 황순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33-45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ffects of scaffolding on writing apprehension and media literacy in engineering freshmen's synchronous online writing cours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variables. 'Scaffolding' is in-time support provided by a teacher/tutor or competent peer that enables students to meaningfully gain skills at problem solving process. Also, it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concepts in education as well as one of the more necessary teaching strategies in an online writing course. In this study, provided treatments for the experiment were supportive scaffolding for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reflective scaffolding for meta-cognitive knowledge. Participants were 102 engineering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assigned to two experimental groups by scaffolding types. A process-based writing course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as conducted for 8 weeks. The writing tasks were given according to writing process. The findings were that, fir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riting apprehension's reduction and self-expression's improvement through the scaffolding provided in writing class. Secondly, writing apprehension's reduction and self-expression's improvement were significant in supportive scaffolding group. Thirdly, media literacy predicted writing apprehens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herein, with particular attention on ways for writing apprehension's reduction as well as media literacy's enhancement.

수학 기초학력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성적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and Scholastic Aptitude Test)

  • 이정례;이경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629-639
    • /
    • 2011
  • 최근 공과대학 학생들에게 대학수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반면, 제7차 수학과교육과정의 인문계 수학에는 미분적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많은 중위권 대학의 입학전형에서 교차지원을 허용하기 때문에 공과대학 대학수학의 교수학습에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위권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 기초학력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리영역 성적의 관계를 조사하여 교차지원을 허용하는 입학전형 제도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그 의의를 두었으며, 이를 위하여 2010학년도 A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성적과 수학 기초학력평가 및 대학수학 교과목의 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Factors and Satisfaction in Selecting University and Departments of One University freshmen

  • Kim, Tae-Sun;Hong, Sun-Yeun;Hur, Hwa-La;Park, Gang-woo;Park, Jin-Sik;Lee, Chang-Soo;Ha, Jong-Uk;Shin, Hwa-S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03-21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신입생의 학교 및 학과선택 요인과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G시에 위치한 K대학의 2021년 신입생 499명을 대상으로 대학신입생의 학교 및 학과선택 요인과 만족도를 파악하고 SPSS WIN 18.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선택요인으로 대학정보매체는 인터넷/SNS, 대학정보제공자는 학교선생님, 대학등록에 영향요인은 취업률, 등록결정은 본인으로 나타났다. 대학만족도는 3.43점이고 성별(t=5.527, p=.019)과 입학전형(F=5.527,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학과만족도는 3.86점이고 입학전형(F=3.004, p=.018)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학교만족도와 학과만족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5.527, p<.001). 대학은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대학 정보제공을 통해 학생들을 만족시키고 대학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Basic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Program on Scholastic Achievement and Scholastic Motivation - A Case Study on Engineering Freshmen in D University -)

  • 이정례;이성진;권혁홍;이경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67-184
    • /
    • 2011
  • D대학교 공과대학에서는 2010학년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기초학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충수업 형식의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기초학력평가 성적과 대학수학 성적을 보충수업 비대상자와 대상자, 대상자 중에서도 보충수업에 출석한 횟수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적 성향검사, 수학에 대한 인식 설문, 그리고 정규수업과 보충수업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들은 대체로 수학기초학력이 부족하였고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은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대학수학 교육을 위해서는 수학기초학력평가를 실시하고 수학적 성향검사와 수학에 대한 인식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배경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며, 대학수학 교수 학습은 수학기초학력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을 이수한 공과대학 신입생의 학업성취도 연구 (A Study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Educated by the $7^{th}$ National Education Process)

  • 노태완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5호
    • /
    • pp.10-13
    • /
    • 2011
  • The 7th National Education Process, implemented in 2004, features student-oriented, selective educational programs with a wide range of optional subjects. In 2005, reflecting this revised National Education Process,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began allowing individual students to choose the subjects for examination they would like to take. As a result, the deviations of the college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s in some subjects have noticeably widened. This study shows academic abilities of the students on some subjects by comparing the results of 2008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ith that of the Basic Academic Ability Evaluation Test for freshmen in engineering college of Hongik university. Lastly, this paper presents some improvement plans in order to better accommodate students with academic achievement levels lower than what is expected by the university.

컴퓨터 전공 신입생의 성공적 적응 요인 분석 (Analysis of Successful Adaptation Factors of Computer Science Freshmen Students)

  • 박우창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4호
    • /
    • pp.95-101
    • /
    • 2014
  • As other major, students have difficulties to be successfully adapted to computer science major without some interest and skill to computer programming. In this paper, we try to find successful factors for computer science major freshmen students to computer programming. The factors we focused are programming experience before college entrance, taking liberal arts/natural science courses at high school, application motivations to computer major, existence of mentors, satisfaction to his/her computer department, student's holland job aptitude code. After analysis, taking liberal arts/natural science courses at high school, satisfaction to computer department, some holland job aptitude code are significant to their successful adaptation to computer major. Also, we found the holland job apptitude code is closely related to student's satisfaction to their major for engineering students including computer science students. Our analysis results will be a suggestion for designing computer science education program with students who enters college without some aptitude or preparation to his major.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 활동 (A Case Study on the Activity of Student Initiated Learning Community(Peer Tutoring))

  • 선복근;김병삼;정준오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126-134
    • /
    • 2009
  • 공학계열 신입생의 기초학력 저하가 점차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대학의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서대학교 공과대 신입생을 대상으로 학습향상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던 피어 튜터링 제도의 사례를 제시하고 피어 튜터링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피어 튜터링 제도는 학생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제도 참여자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형성, 역할 분담과, 업무 검증을 통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피어튜터링 제도는 튜터와 튜티 모두에 교과에 대한 흥미 증대, 학업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선후배간의 유대감, 리더십, 책임감 증대에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의미 분석법에 의한 공과대학 신입생의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 (Physics Image Analysis by Sematic Method and Interest in Physics of Freshman Students in the Engineering College)

  • 송영욱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2호
    • /
    • pp.214-224
    • /
    • 2020
  • 물리 이미지 및 관심은 물리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하나이다. 공과대학 신입생은 고등학교 때에 다양한 학습 환경 조건에서 대학에 입학한다. 대학 물리교육을 위하여 공과대학 신입생의 특성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공과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 따른 물리 이미지와 관심 여부를 조사하여, 공과대학 학생의 대학 물리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연구 대상은 공과대학 1학년 공과 계열 286명, 정보기술 계열 242명, 건설환경 계열 136명 총 664명이다. 분석 내용은 공과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첫째, 물리 이미지는 공과대학 신입생의 물리 이수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교 때 물리를 배우지 않은 학생의 물리 이미지 점수가 물리I 또는 물리I,II를 배운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물리 관심 여부는 성별과 물리 이수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물리 관심이 높았고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서는 고등학교 때 물리를 이수하지 않은 학생이 물리를 이수한 학생보다 물리 관심이 높았다. 끝으로 공과대학 학생의 대학 물리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전문대학 전기전공 신입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문제해결력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College Electrical Information Control Freshmen on Academic Achievement)

  • 정애경;신재흥;이상철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0권1호
    • /
    • pp.1-5
    • /
    • 2011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abilities of college electrical students, especially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8 college freshmen was chosen to conduct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college engineer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above variabl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should sufficiently considered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college engineering courses that enable students to become self-regulated learners and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