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Non-face-to-face Experiment and Non-face-to-face Interaction -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Engineering Freshmen

비대면 실험실습 수업 경험과 비대면 상호작용 경험의 현상학적 분석 - 공과대학 신입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 Kang, Eugene (Quantum Sensors Research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 강유진 (부산대학교 양자센서연구센터)
  • Received : 2022.02.03
  • Accepted : 2022.03.28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 a pandemic situation caused by COVID-19 to explore the online distance experiments and interaction of engineering freshmen, and to identify practical difficulties, resulting in to derive implications. Seven freshmen from engineering college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of which data were analyzed based on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s. The types of non-face-to-face experiments experienced by students were complete non-face-to-face experiment, mixed face-to-face experiment, and fusion face-to-face experiment. Students were completely isolated in time and space in complete non-face-to-face experiment. In biweekly mixed face-to-face experiment, isolation was halved. In fusion face-to-face experiment, isolation was removed. Non-face-to-face interactions can be characterized by restrictions on simultaneous activities, on rapport formation, and on observation opportun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ree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allow students to manage time and space constraints on their own in non-face-to-face experiments. Second, support is needed to solve the difficulty of forming rapport,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non-face-to-face interaction. Third, an opportunity to observe the interaction between other students and professors should be provided.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B5A07112103)

References

  1. 강소연(2021). 2020년 1학기 공과대학 교수와 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관한 인식 연구. 공학교육연구, 24(2), 20-28. https://doi.org/10.18108/JEER.2021.24.2.20
  2. 강진호.박아름.한승태(2020).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5), 289-297.
  3. 교수학습지원센터(2021).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교수자.학습자 인식 및 요구도 분석. 부산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4. 교육부(2020). 2020학년도 초등(특수)학교 원격수업 세부운영 지침. (2020.04.02.).
  5. 김상미(2020). 코로나 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 보도기사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1(6), 1091-1100.
  6. 김영희(2020). 대학생의 COVID-19 로 인한 온라인 학업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2), 278-290. https://doi.org/10.5762/KAIS.2020.21.12.278
  7. 김영천(2013). 질적연구방법론 II: Methods.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8. 김은경(2020). 비대면 수업에서 공학 팀 프로젝트 수행 사례.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2(2), 255-264. https://doi.org/10.14702/jpee.2020.255
  9. 남영옥(2020). 대학의 온라인 수업 질 제고 요인에 대한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요구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975-997.
  10. 박성진(2020). [코로나 6개월] 180도 바뀐 학교 풍경...초유의 온라인개학. 연합뉴스, Retrieved July, 17, 2020,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200715176400530.
  11. 송명현.하태인(2021). COVID-19 발생 전후 공과대학 학생의 일과시간 활용 실태연구. 공학교육연구, 24(2), 3-11. https://doi.org/10.18108/JEER.2021.24.2.3
  12. 신경림 외(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3. 신희선(2021). 비대면 환경에서의 비판적 사고와 토론교육-공대 신입생 대상 온라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4(1), 34-45. https://doi.org/10.18108/JEER.2021.24.1.34
  14. 엄상현.임걸(2017).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실시간과 비실시간 소셜미디어 활용유형 차이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5(4), 27-34. https://doi.org/10.14400/JDC.2017.15.4.27
  15. 이남인(2005).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현상학과 현대철학, 24, 91-121.
  16. 이보경(2020).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4(4), 97-112.
  17. 이상수(2004).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학습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교육공학연구, 20(1), 63-88.
  18. 이은철(2013). 라포 수준에 따른 집단 구성이 온라인 협력학습환경에서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51(3), 57-82.
  19. 이종만(2020).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7), 342-351. https://doi.org/10.5392/JKCA.2020.20.07.342
  20. 이현경(2021). 공과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교수자 평가와 경험 분석. 공학교육연구, 24(5), 53-64. https://doi.org/10.18108/JEER.2021.24.5.53
  21. 장원형.최민지.홍훈기(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937-966.
  22. 정재원.허정은.박효원(2020). 코로나19로 인한 공과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색. 공학교육연구, 23(6), 60-67. https://doi.org/10.18108/JEER.2020.23.6.60
  23. 정향기(2020). 코로나19 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3), 392-412. https://doi.org/10.15702/MALL.2020.23.3.392
  24. 최현실(2021).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경험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1), 273-286.
  25. 한형종(2020). 대학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고려요소 및 개선방안 탐색: 학습자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8(12), 69-79. https://doi.org/10.14400/JDC.2020.18.12.069
  26. An, H., Shin, S., & Lim, K.(2009). The effects of different instructor facilitation approaches on students' interactions during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s. Computers & Education, 53(3), 749-760. https://doi.org/10.1016/j.compedu.2009.04.015
  27. Bouta, H., Retalis, S., & Paraskeva, F.(2012). Utilising a collaborative macro-script to enhance student engagement: A mixed method study in a 3D virtual environment. Computers & Education, 58(1), 501-517. https://doi.org/10.1016/j.compedu.2011.08.031
  28. Brandon, D. T.(2020). Unflipping the Flipped Classroom: Balancing for Maximum Effect in Minimum Lead-Time in Online Education.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7(9), 3301-3305. https://doi.org/10.1021/acs.jchemed.0c00795
  29. Creswell, J. W.(2015). 질적 연구방법론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13 출판).
  30. Gares, S. L., Kariuki, J. K., & Rempel, B. P.(2020). Community Matters: Student-Instructor Relationships Foster Student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an Emergency Remote Teaching Environment.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7(9), 3332-3335. https://doi.org/10.1021/acs.jchemed.0c00635
  31. Gulseven, O. et al.(2020). How the COVID-19 Pandemic Will Affect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SRN Electronic Journal. DOI: 10.2139/ssrn.3592933.
  32. Guo, S.(2020). Synchronous versus asynchronous online teaching of physic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hysics Education, 55(6), 065007. https://doi.org/10.1088/1361-6552/aba1c5
  33. Jennifer, A., & Lipin, R.(2020). Students' Reflections on Pandemic Impacted Chemistry Learning.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7(9), 3327-3331. https://doi.org/10.1021/acs.jchemed.0c00613
  34. Tarkar, P.(2020).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education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29 (9 Special Issue), 3812-3814.
  35. UNESCO(2021). COVID-19: Education from disruption to recovery. Retrieved August 11, 2021, from https://en.unesco.org/covid19/education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