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child center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7초

『전래놀이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Traditional Play Program』 on a Child's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y in a Community Child Center)

  • 김민석;최진아
    • 아동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9-57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a "Traditional Play Program" in a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y enrichment program at a Community Child Center.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comprised 12 children attending L Community Child Center in M city and participated in a "Traditional Play Program" for each 70minutes every week through total 10 sessions running from July 28th to September 29th in 201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Mann-Whitney & Wilcoxon test as non-parametric test, in addition to the progressive recording method for behavior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Traditional Play Program" enriches the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ho gets more vigorous activity sociality initiative respectively, and proves the usefulness for a Community Child Center.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또래애착이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and Peer Attachment on Mobile Phone Dependency of Adolescent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 The Mediating Effect of ego - Resilience)

  • 이미애;서혜전
    • 아동복지연구
    • /
    • 제16권2호
    • /
    • pp.87-107
    • /
    • 2018
  • The study shows that parent-children of the Adolescent who are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and the effect of the peer attachment influence the mobile phones. Also it has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between these relationships. For this stud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Central support group of community child center. "Community child center children panel survey" the fourth data of th second stage of 2017 has been used, 438 ist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 have been selected. As a result, On the relation of mobile phone dependency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is statistically important trust and being isolated is statistically important among peer attachment. In addition, Ego-resilience has not found to be meaningful between the parent-children only communication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y has been confirmed mediation effect among peer attachment.

부모, 또래, 지역아동센터 교사와의 관계가 지역아동센터 이용 저소득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s, and Community Child Center Teachers on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Adolesc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이운경;김민주;윤기봉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권4호
    • /
    • pp.633-652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s, and community child center teacher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adolesc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he indirect effects mediated through adolescents' resilience. The second-term panel data from the fourth-year Community Child Center Survey was used to analyze 198 adolescents (103 boys, 95 girls) who were first graders at middle schools. SPSS 20.0 and AMOS 20.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Parental monitoring and peer trust had direct effects on th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while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enter teachers did not. Parental monitoring, peer trust,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enter teachers had in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mediated through resilience. The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adolescents has received attention from both researchers and politici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notable in that both the important relationships and resilience of low-income adolescents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ir school adjustment in their first year at middle school. Given the developmental needs of low-income adolescents, interventions for school adjustment that consider adolescents' important social context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학교적응유연성 유형에 따른 이용 아동의 세분화(동질적) 집단 특성연구 - 지역아동센터 이용 만족도가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Segmenting the Effect of School Resilience of the Poor Children by Children's Satisfaction i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 유수복;김현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4호
    • /
    • pp.109-130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이용 만족도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학교 적응유연성 유형에 따른 이용 아동의 세분화(동질적) 집단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청주시 지역의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3-6학년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만족도가 학교적응유연성 중학교생활에 대한 흥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친구관계와 인지활동 프로그램에 만족하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은 학업 및 성적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둘째, 학교적응유연성 유형에 따른 이용 아동의 세분화(동질적) 집단 특성을 4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지역아동센터의 집단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수립에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가정복지 실천의 장으로서의 사회복지관 효용성 연구 : 전주시 사회복지관 프로그램 및 요구도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ty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s the Application of the Family Welfare Service)

  • 이승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8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tility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main subjects(1) A analysis about the program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2) A analysis about the experience of the user and non-user o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3) A analysis about the demand for family welfare service program For the data set 398 married women living in Jeonju were chose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pc+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program of community welfare center consisted of child adolescent elder family a disabled person community welfare program Among contents of this program family welfare program is limited to level of individual needs (2) The wives experienced of community welfare center did not satisfied about equipment location program of community welfare program The 44.0 portion of wives not experience of community wlfare center have no plan using of community welfare center (3) The wives hoped to establish diversed subjects such as parents-child communication conjugal communication sexuality education for child child care techniques health and nutrition of family member time managememt and lesuire and consumer's rights and damage relief.

  • PDF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서비스 이용 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Sense of Community Affecting Center Service Experience of Adolesc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justment)

  • 양심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41-247
    • /
    • 2018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을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경험-센터 교사와의 만족도 및 서비스 이용평가-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센터 서비스 이용경험과 공동체 의식간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2기 패널 대상자 중 2017년 전국 중학교 1학년 청소년 438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단계별 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은 센터 교사와의 만족도 및 서비스 이용평가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공동체 의식이 높았으며, 아울러 교사 만족도 및 서비스 이용평가는 학교적응을 통해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토대로 저소득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해 청소년과 센터 교사 간 긴밀한 관계 유지, 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 지역아동센터와 학교체계 간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지역사회 협의체 중심의 지역아동센터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i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Community Networ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Community Child Center)

  • 염종화;김혜진;권명화;신선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4-222
    • /
    • 2014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아동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건강생활 실천 활성화를 위해 일부 지역사회의 보건소와 지역사회 내 치위생학과 및 지역아동센터를 바른 구강건강생활 실천 을 도모할 수 있는 협의체로 구성하여 운영한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이 취약계층 아동들의 구강건강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 고학년에 비해 저학년의 구강보건지식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p<0.05), 이는 프로그램 운영 후에서 동일한 양상을 나타냈다(p<0.05). 또한 프로그램 운영 후 저학년과 고학년 구강보건지식 수준이 증가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2.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후 구강보건인식 변화를 비교한 결과, '내가 무엇을 하든지 치아우식증은 생길 것이다'에 대한 인식은 프로그램 운영 전후 모두 긍정적인 태도가 높았다(p<0.05). 3. 탄산음료 섭취 비율은 프로그램 운영 전 저학년과 고학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과자섭취 비율은 저학년의 경우 프로그램 운영 후 먹지 않는 비율이 높아졌고, 고학년의 경우 주 1~2회 먹는 비율이 다소 증가하였다(p<0.05). 4. PHP index의 변화는 프로그램 전에는 저학년에 비해 고학년이 치면세균막 관리 능력이 우수하였으나(p<0.05), 프로그램 운영 후에는 학년별의 차이가 없이 모든 학년에서 관리능력이 향상되었다(p<0.001).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지역사회 협의체를 통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후 구강보건지식, 인식, 행동의 변화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므로 취약계층 아동의 구강건강생활을 실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 다양한 자원과 연계하여 지역사회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며, 다양한 자원의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장애 영유아 부모의 지역사회자원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 서울 북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by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Northern Part of Seoul)

  • 유정현;정가윤;서민경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257-270
    • /
    • 2019
  • This study the presents survey results of a families livi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ern Seoul (Nowon-gu and Dobong-gu) that provides various educational servic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usage and needs of community resour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the families in the inclusive and segregated care as well as education centers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system. A total of 109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62 (57%) were returned. 44 families in the 14 inclusive care and education centers as well as 18 families in the 2 segregated care and education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report on access to community resources that include compulsory education, family support, medical treatment, counseling services, commuting support, ways to gain necessary information, current use, and further needs for community resources for their children.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families in two different types of child care centers needed differentiated community services. Parents who use a segregated child care center demanded physical accessibility and increased numbers of highly qualified teachers; however, parents who use the inclusive child care center require the unified information system for the community resources. Survey findings are discussed related t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child care centers. Implications for shar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through child care teachers and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and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또래애착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 김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1-9
    • /
    • 2019
  •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적응에 또래애착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이용 경험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역아동센터 2기 패널 4차(2017년)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애착(또래 신뢰)은 센터 이용 경험과 학교적응에 있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애착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들에게 센터 교사와의 관계나 센터 경험의 도움 여부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넘어서 학교생활적응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경험이라는 점에서 지역아동센터 교사와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및 경로계수 크기 차이 검증 (Influential Factors for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 An Application of Latent Mean Analysis and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85-49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부모-자녀 대화, 또래애착, 센터교사만족도,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 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및 구조모형의 경로계수의 크기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2기 패널 4차 조사(2017년)의 청소년 438명이 분석 대상이다. 첫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또래애착 및 센터교사만족도는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부모-자녀 대화는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또래애착 및 센터교사만족도는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평균분석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이 더 높은 반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부모-자녀 대화 정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경로계수 크기 차이 검증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또래애착이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며,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센터교사만족도가 자아탄력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 체계를 통한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 성별에 따른 차별적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