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또래애착이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and Peer Attachment on Mobile Phone Dependency of Adolescent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 The Mediating Effect of ego - Resilience

  • 이미애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서혜전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8.10.30
  • Accepted : 2018.12.2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study shows that parent-children of the Adolescent who are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and the effect of the peer attachment influence the mobile phones. Also it has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between these relationships. For this stud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Central support group of community child center. "Community child center children panel survey" the fourth data of th second stage of 2017 has been used, 438 ist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 have been selected. As a result, On the relation of mobile phone dependency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is statistically important trust and being isolated is statistically important among peer attachment. In addition, Ego-resilience has not found to be meaningful between the parent-children only communication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y has been confirmed mediation effect among peer attachment.

Keywords

References

  1. 권오형 (2017).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송지은 (2018). 부모의 방임과 또래관계에서의 소외감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 31(2), 25-42.
  3. 김경민, 조은영, 송지은 (2018). 부모의 감독과 과잉간섭이 아동.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9(1), 7-32.
  4. 김미정 (2005). 부모갈등과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내면화와 외현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미진, 권경인 (2014). 청소년의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자아탄력성, 또래애착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22(2), 1-23.
  6. 김선남, 김현욱 (2004).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8(4), 88-116.
  7. 김영춘 (2016).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또래애착, 자아탄력성 휴대폰 의존과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3), 145-157.
  8. 김지연 (1995). 청소년기 애착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지혜 (2012). 부모요인, 친구요인, 개인요인이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용도를 매개로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4(3), 97-120.
  10. 김현순 (2014). 청소년의 또래소외와 휴대전화 의존 간의 관계에 미치는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트학회논문지, 14(12), 2014.
  11. 김혜수 (2005).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완벽주의 및 자아탄력성간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류금란, 최은실 (2017). 학령기 아동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인구학적 요인,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21(2), 157-176.
  13. 박봉선 (2018). 청소년의 또래 소외감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61, 1-27.
  14. 박주나, 전종설 (2013).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휴대전화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과 연구, 10, 127-160.
  15. 성윤숙 (2008).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이용동기 및 결과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9(4), 181-197.
  16. 송미령, 김성영 (2012). 중학생의 또래 애착, 자아탄력성, 휴대폰 의존과의 관계, 청소년문화포럼, 32(1), 65-89.
  17. 신효재 (2016). 부정적 부모양육방식과 학교생활부적응이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양혜린, 윤영지, 정보영, 에머리크리프턴 (2016). 청소년의 학대경험과 공격성이 휴대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활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시설환경, 14(2), 5-15.
  19. 여성가족부 (2018). 2018년 인터넷, 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 발표.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정책뉴스. 2018. 6. 21.
  20. 우수정 (2013).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학령기 아동의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6), 583-590. https://doi.org/10.6115/fer.2013.51.6.583
  21.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2004).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18(1), 393-408.
  22.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23. 유창근 (2015). 가정 내 학대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윤혜정, 권경인 (2011). 휴대전화 중독 청소년들의 특성 및 중독과정 촉진요인. 상담학연구, 12(2), 577-598.
  25. 이봉주, 곽금주, 구인회, 김민화, 김선숙, 김지현, 김혜란, 박혜준, 신혜은, 윤명희, 이강이, 이광호, 이 순형, 정익중, 진미정 (2009).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26. 이시형, 김학수, 나은영, 이세용, 김선남, 배진한, 최병목 (2002).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제2002-1호). 서울: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 연구소.
  27. 이연미, 이선정, 신효식 (2009).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 환경 변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1(3), 29-43.
  28. 이유리, 박은정, 이성훈 (2016). 초등 5학년 남녀아동의 또래애착 유형에 따른 개인발달과 발달환경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2). 337-366.
  29. 이은미, 박인전 (2002).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27(1), 3-24.
  30. 이주리 (2012). 아동의 휴대폰 의존도와 심리적 복지감 간 관계에서의 성차. 놀이치료연구, 16(2), 97-105.
  31. 이지언 (2017). 아동.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발달궤적과 심리․정서적 예측요인.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110-155.
  32. 이태영, 송병호 (2017). 스마트폰 중독 실태와 대응방안. 한국범죄심리연구, 13(1), 195-226.
  33. 장석진, 송소원, 조민아 (2011).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12), 431-451.
  34. 장혜진 (2002).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집단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자기개념, 애착, 자기통제력, 충동성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정진희, 권오영, 김석준 (2018).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이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1), 596-629.
  36. 조혜진 (2017).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을 매개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전상민 (2016).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용도가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과 우울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3(1), 471-482.
  38. 정택용 (2015).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사회적 지지의 미개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조수현 (2013).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또래애착이 1년 후의 우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차은진, 김경호 (2016).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자녀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복지정책, 43(4), 51-78.
  41. 최경일, 김미영 (2016), 부모의 자녀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과 친구관계와 학업태도의 매개효과. 청소년 문화포럼, 48, 109-133.
  42. 하주영, 심보윤, 조은경, 천지언 (2015). 청소년의 정신건강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5(4), 261-269.
  43. 현은민, 박혜영 (2005). 시설보호아동.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19-29.
  44. 황미경 (2010).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사회불안과의 관계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Armsden, G. C, and Greenberg, M.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tchment: l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 427-453. https://doi.org/10.1007/BF02202939
  46.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47. Kamibeppu, K., & Sugiura, H. (2005). Impact of the mobile phone on junior high-school students' friendships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Cyber Psychology & Behavior, 8(2), 121-130. https://doi.org/10.1089/cpb.2005.8.121
  48. Wilkinson, R. B. (2008). Development and properties of the adolescent friendship attactment scal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t, 37, 1270-1279. https://doi.org/10.1007/s10964-006-91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