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center teacher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4초

어린이집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관한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Inclusive Child-care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조귀희;문예은;이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49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of inclusive child-care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inclusive child-care. Methods: There were a total 330 previous research papers about child-care inclusion, which means the practice of educating and caring for children aged 0 to 5 years old with disabilities alongside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at child-care centers.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main research topic, subject, and research methods.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a quantitative increase of the research since 2003 and a sharp increase of total research in this area since 2006 were found. Second, as a result of the main topic analysis, recognition and attitude research was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followed by the research about child-care programs, teacher and family support, and the effect of inclusive child-care. Third, more than half of the researches were done by teachers. Lastl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mainly used.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o extend the research on inclusive child-care effect, intervention programs, non-disabled children, infants, and qualitative research.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Child Care Teachers' Life Satisfaction)

  • 박봉환;남미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9-148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life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ampling 162 child 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job training courses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Three kinds of variables, which included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18.0 program for windows. Results: First,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teachers were generally above normal. The resilience subscale showed the highest score in 'affirmative', followed by 'interpersonal ability', 'self-control ability'. And the 'support of colleagues' was higher than 'support of superior' in the social support's subscale. Nex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by child care teachers' background,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working center types and academic levels. Second,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The 'affirmative', 'support of superior' variables were factors that predicte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We suggested ways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through the 'affirmative' and 'support of superior' variables.

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도 비교 및 증진방안 (Analysis on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Between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 송예희;조윤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73-200
    • /
    • 2020
  •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inclusive settings, and to investigate support needs of both teachers for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PBS. Methods: This study made up 405 surveys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45 inclusive settings from July to August in 2019. A total of 244 surveys(60.2%) were completed and returned. Resul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enter based level 1, the small group based level 2, and the individual based level 3 of PBS. In open-ended responses, when implementing PBS, the two groups of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getting knowledge about how to instruct preschoolers and implementing PBS. Both groups of teachers wanted the education and the training opportunities for PBS at first, and to 'reduce the teacher-to-child ratio'in the public support system.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discussed on how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s of PB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inclusive settings.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근무환경, 소진 및 건강상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Workplace Characteristics, Burnout, Health Condi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enters)

  • 유정하;김재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9-87
    • /
    • 2021
  • Objective: Studies have shown that turnover intent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enters tend to negatively affect the quality of child care and children's adjustment.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underlying mechanism that increases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nd have barely focused on environmental factors. We aimed to test whether workplace characteristics may affect teachers' turnover interntion through personal factors (i.e., burnout and health). Methods: A sample of 262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Workplace characteristics, burnout, health and turnover intention were asses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SEM using Mplus and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s were estimated by the bootstrapping confidence intervals. Results: Finidngs indicated that a poor workplace enviornment directly predicted high turnover intentions of teachers and indirectly predicted through their high burnout and poor health contid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contriubed to provide better understaning about an effective future direction for policies and intervention programs in order to decreas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nd subsequently increas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enters.

유아의 자유선택활동과 놀이 인원수 제한규칙 (Young Children's Free Choice Activities and a Play Rule Restricting the Number of Players)

  • 이유정;원계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7-8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선택활동 시 놀이 인원수 제한규칙에 따른 유아의 놀이를 알아보는 것이며, 본 연구결과가 자유선택활동 운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참여자는 사립유치원 4세 학급 유아 25명과 담임교사와 공동연구자인 도움교수였다. 2014년 7월부터 10월까지 유아 관찰, 유아 인터뷰, 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은 영역 선택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름표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고 서로 간의 과도한 경쟁을 하고 있었으며 규칙을 위반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인원수 제한규칙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 제한, 사회정서발달 저해와 안전사고 위험, 자유선택 행동 저해 등의 역기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규칙의 역기능을 인식한 연구자는 인원수 제한규칙을 해제함으로써 유아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 공간 놀이 갈등 조절에서 유아의 자율성이 증진되었으며,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역할과 운영방법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자유선택활동의 다양한 제한규칙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규칙 적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사적성과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 김헤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3-58
    • /
    • 2014
  •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적성,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교사 297명이었으며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 Inventory of Science Attitudes, 보육교사적성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와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보육교사의 적성은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과학태도 중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의 사회적 가치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자체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적성과 과학태도를 살펴본 결과,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 대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 정서가 영향을 미치고,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에 대해서는 과학의 사회적 가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쳤으며, 과학교수효능감에 대해서는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의 사회적 가치, 긍정적 정서,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보육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증가시켜 영유아교육 현장에서 바람직한 과학교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경험유무에 따른 구강보건행태 및 인지도 (Subjective Oral Health Behaviors and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 With and Without Oral Health Education)

  • 장경애;성미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19-326
    • /
    • 2009
  •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경험이 구강건강을 관리하는 태도 변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보육하고 있는 아동들의 구강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구강보건형태를 변화시키는 효율적인 구강보건교육이 확대 시행되어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하고자 경상남도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67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건강과 구강건강 스트레스 경험 인지도, 구강보건관리 행태, 구강보건교육 경험, 구강보건교육 필요성 인지도 등을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용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구강건강 스트레스 정도는 스트레스가 심하다라고 한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영자가 41.4%,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28.0%로 나타났고, 없다라고 한 응답자 중에서는 구강보건교육 경험자가 8.1%,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7.7%로 구강보건교육의 유무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2. 구강보건관리 행태에 있어 잇솔질 방법은 상하동작으로 한다는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25.3%,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51.8%이었고, 회전동작은 구강보건교육 경험자 35.4%,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 20.8%를 나타났고, 진동동작은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8.0%, 구강보건교용 비경험자는 2.4%로 구강보건교육의 유무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01). 구강위생용품사용 정도는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영자는 90.9%,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92.9%로 높게 조사되었다(p<.001). 3. 구강보건교육 경험 인지도에 있어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37.1%이었고, 교육경로는 보건소에서 69.7%이었으며, 교육방법은 이론지도가 61.6%로 잇솔질방법이 74.7%로 조사되었다. 4. 구강보건교육 필요성 인지도에 있어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한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40.1%,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지는 73.8%이었고(p<.05), 구강 보건교육 시 참석의향은 있다라고 한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67.7%이었고,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66.1%로 구강보건교육의 유무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 PDF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A Study on the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Education Demand of First Aid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 황지영;오은순;조근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34-243
    • /
    • 2016
  • 보육시설에서 발생한 응급상황에서의 최초반응자로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응급처치 수행자신감과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응급처치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일부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이며 2015년 3월 5일부터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된 자료는 149부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PC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응급처치 수행자신감은 대체로 낮았으며(평균 2.70점), 응급처치 시행의사가 있는 경우 수행자신감이 유의하게 높았다(p=.002). 응급처치 교육요구도는 대체로 높았으며(평균 4.04점), 특히 응급상황 경험이 있는 경우(4.21점, p=.006), 재직 중 응급처치 교육을 이수한 경우(4.14점, p=.001)에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응급처치 교육 시 빈도가 높은 응급상황을 고려하여 수행자신감이 낮은 응급처치 항목과 교육요구도가 높은 응급처치 항목을 고려한 정기적인 맞춤형 응급처치 교육이 필요하다.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Conceptual Diagrams of Education for Happines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 황해익;김미진;김병만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9-79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여 행복 교육에 대한 가능성과 지침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각 50명씩 10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교사가 작성한 개념도는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내용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사용한 상위개념의 개수는 총 364회로 나타났으며, 총 21개의 상위개념 범주로 도출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내용에서 어린이집 교사들이 사용한 상위개념의 개수는 총 296회로 나타났으며, 총 18개의 상위개념 범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의 개념에 대한 지식을 체계화하고 전문화된 지식체계로 발전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Head Teachers' Styles for Handling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hild-care Centers)

  • 임성진;조혜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85-20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주임교사가 지각한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효과성을 알아보고,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남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164곳에 근무하는 주임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임교사들은 원장에 대해서는 배려적 유형을, 동료교사에 대해서는 통합적 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지배적 유형과 회피적 유형을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임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 조직효과성의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주임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시설유형 등 배경변인에 따라 갈등관리 유형 및 조직 효과성에 부분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의 조직효과성은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 중 통합형과 지배형, 타협형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피형과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의 조직효과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은 원장에 대해서는 회피형이었으며, 동료교사에 대해서는 통합형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