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보육교사의 교사적성과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김헤라 (대덕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3.10.19
  • Accepted : 2014.02.14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Subjects were 297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a day care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ree questionnaires(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 Inventory of Science Attitude, and Attitude Test for Child Care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ptitude for child care teacher and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cience attitude and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of child care teachers. Third,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were interest in science, social value of sc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abilities, and positive emo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effectiv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적성,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교사 297명이었으며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 Inventory of Science Attitudes, 보육교사적성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와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보육교사의 적성은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과학태도 중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의 사회적 가치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자체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적성과 과학태도를 살펴본 결과,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 대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 정서가 영향을 미치고,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에 대해서는 과학의 사회적 가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쳤으며, 과학교수효능감에 대해서는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의 사회적 가치, 긍정적 정서,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보육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증가시켜 영유아교육 현장에서 바람직한 과학교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옥, 이규림, 조홍자, 차금안(2012).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수준에 따른 과학활동 불안, 태도 및 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99-115.
  2. 김정아(2010).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과학 교육에 대한 태도 및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충행(1999). 교사적성요인과 그 측정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3, 1-21.
  4. 김헤라(2013).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교육지식이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281-296.
  5. 김현지, 나동진(2006).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2), 111-128.
  6. 김혜경, 조복희(2012). 보육교사 적성검사 도구 개발. 한국아동학회지, 33(5), 221-246. https://doi.org/10.5723/KJCS.2012.33.5.221
  7. 배미양(2000). 유치원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불안, 태도, 교수 효능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서봉연(2003). 발달심리학-아동발달. 서울 : 중앙적석출판사.
  9. 서소영(1997).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 관련 경험 및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신은수, 김현진(2010).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육아지원연구, 5(2), 5-24.
  11. 신정현, 전선혜(2012). 방과후 체육특기적성 활동참여가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6(3), 1-14.
  12. 이경민(2005). 유치원 교사들의 과학불안과 과학불안 요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383-406.
  13. 이지영(2009).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물에 대한 과학적 개념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장근주(2011). 음악 특기, 적성교육에 참여하는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음악 학습동기와의 관계. 음악교육연구, 40(2), 53-82.
  15. 정미영, 안효진(2012). 유아교사의 성격 유형, 창의성, 그리고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50(3), 25-34. https://doi.org/10.6115/khea.2012.50.3.025
  16. 정우현, 박상범(2000). 방과후 특기, 적성 교육활동이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8(1), 85-96.
  17. 정효정(200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조직 변인에 관한 연구: 정부지원 시설과 민간시설 간의 비교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조부경, 서소영(2001).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2(2), 361-373.
  19.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20. 조주연, 백순근, 임진영, 여태천, 최지은(2004). 초등학교교사 적성검사 도구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지, 18(3), 231-247.
  21. 조형숙(1998). 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 유아교육연구, 18(2), 283-301.
  22. 조형숙(2001). 유아교사의 과학지식과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5(1), 117-139.
  23. 지성애, 김치곤(2011).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적 태도와 구성주의 교육신념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1), 277-300.
  24. 홍광식, 정상정명(1996). 한 일 대학생의 교사적성에 관한 자기평가 비교. 초등교육연구, 10(1), 199-217.
  25. 홍금자(2002). 보육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간한 비교적 고찰, 한국영유아보육학, 31, 287-325.
  26. 황혜신(2008).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4), 589-600. https://doi.org/10.5934/KJHE.2008.17.4.589
  27. Ashton, P. T., & Webb, R. B. (1982). Teachers' sense of efficacy : Toward an ecological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New York.
  28. Ashton, P. T., & Webb, R. B. (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Y : Longman.
  29. Bandura, A. (1977).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0. Bandura, A. (1997). Self-efficacy : The exercise of control. NY : W. H Freeman and Compant.
  31. Czerniak, C., & Chiarelott, L. (1990). Teacher education for effective science instruction-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1), 49- 58. https://doi.org/10.1177/002248719004100107
  32.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8), 694-706.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0.tb12048.x
  33. Enochs, L. G., Scharmann, L. C., & Riggs, I. M. (1995). The relationship of pupil control to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 self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ience Education, 79(1), 63-75. https://doi.org/10.1002/sce.3730790105
  34. Ginns, I. S., Watters, J. I., Tulips, D. F., & Lucas, K. B. (1995). Changes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teaching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5), 394-400.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5.tb10191.x
  35. Holland, L. (1992). Making vocational choices :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36. Koballa, T. R. (1986). Teaching hands-on science activities : Variables that moderate attitude-behavior consisten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493-503. https://doi.org/10.1002/tea.3660230603
  37. Martine, D. J. (2001).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includes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Y : Delmar Thompson Learning.
  38. Moore, A. D., & Martin, J. T. (1990). How do teachers feel about science?: measurement of attitude towards science. The Northern Rocky Mountai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October 4-6.
  39. Myeong, J. O. (2002). Factors affecting earth science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 study o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2), 180-187.
  40. Ramey- Gassert, L. K. (1993). A qualitative analysis of that influence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beliefs in elementary teachers(teachers belief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ansas State University, USA.
  41.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42. Schlein, G., & Guerney, B. (1977). Relationship enhancement. San Francisco, CA : Jossey-Bass.
  43. Schuttenberg, E. M. (1983). Preparing the educated teacher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4(4), 14-17.
  44. Settlage, J. (2000). Understanding the learning cycle : Influences on abilities to embrace the approach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Education, 84, 43-50.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1)84:1<43::AID-SCE4>3.0.CO;2-F
  45. Tanner, C. K., & Ebers, S. M. (1983). Factors related to the beginning teacher's successful completion of competency evalu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6(3), 41-54.
  46. Tilgner, P. J. (1990). Avoiding Sc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74(4), 421-431. https://doi.org/10.1002/sce.3730740403
  47. Weiss, I. (1987). 1985-86 National Survey of Science, Mathematics, and Social Science. Research Triangle Park, NC :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Research Triangle Institute.
  48. Wenglinsky, H. (2000, October). How teaching matters: Br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 of teacher quality. Princeton, NJ : The Milken Family Foundation and Educational Testing Service.

Cited by

  1.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vol.11, pp.6,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097
  2. 보육교사의 직업적성 및 책임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vol.12, pp.2,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2.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