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Child Care Teachers' Life Satisfaction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박봉환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남미경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7.12.15
  • Accepted : 2018.02.12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life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ampling 162 child 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job training courses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Three kinds of variables, which included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18.0 program for windows. Results: First,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teachers were generally above normal. The resilience subscale showed the highest score in 'affirmative', followed by 'interpersonal ability', 'self-control ability'. And the 'support of colleagues' was higher than 'support of superior' in the social support's subscale. Nex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by child care teachers' background,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working center types and academic levels. Second,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The 'affirmative', 'support of superior' variables were factors that predicte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We suggested ways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through the 'affirmative' and 'support of superior' variables.

Keywords

References

  1. 강문숙, 황해익 (2008).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2), 57-80.
  2.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 효능감, 교사-유아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구광현, 김성숙 (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2), 287-304.
  4. 구서연 (2017).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구은미 (2004). 보육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구현영, 박현숙, 장은희 (2006). 고등학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6(1), 151-158.
  7. 권대훈 (2017). 진로진학상담교사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삶의 의미, 삶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4(1), 1-24. doi:10.24211/tjkte.2017.34.1.1
  8. 권성민 (2011).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313-333.
  9. 권수현, 이승연 (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137-157.
  10. 권화숙 (2012). 사회지지와 근무환경이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요인과 소진을 매개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57-174.
  11. 김경화 (2011). 권태성향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서자각능력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도윤 (2011). 지역사회 정신보건 프로그램 환경이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민환 (2006). 교사들의 임파워먼트와 학교 및 교직 헌신간의 관계에 관한 학교문화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1), 45-65.
  14. 김안나 (2014).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및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4(3), 153-175.
  15. 김영애, 김문겸 (2017). 사회적 지지가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테츠학회논문지, 17(6), 351-361. doi:10.5392/JKCA.2017.17.06.351
  16. 김은수 (2007).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법과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응경 (2013). 기혼여성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이영, 박현숙 (2005).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동료지지 정도에 따른 임상적, 기능적, 주관적 경험의 차이. 정신간호학회지, 14(4), 353-361.
  19. 김정엽 (2010).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복지행정논총, 20(2), 29-62.
  20. 김정희, 김동춘 (2010). 영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조직커뮤니케이션 능력,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1(3), 149-173.
  21.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103-120.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3.103
  22.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고양: 위즈덤하우스.
  23. 김준환 (2014).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SSO(Stress-Strain-Outcome)모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김현심 (2014).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김현진, 이수정 (2012). 예비유아교사의 교사동기와 구성주의 교수신념이 학부모-교사 파트너쉽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9(4), 637-663.
  26. 김혜순 (2011).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종교성의 매개효과. 종교교육학연구, 35, 139-158.
  27. 남미경, 박봉환 (2016).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회복탄력성에 따른 이직의도 수준 분석. 인성교육연구. 1(1), 48-66.
  28. 류성봉 (2013).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삶의 질 연구: 노후준비 및 직무만족의 영향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문은식 (2015).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자율성지지, 친구의 사회적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9(4), 737-756. doi:10.17286/KJEP.2015.29.4.05
  30. 박경옥, 김지연(2017). 특수학교 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인식. 지적장애연구, 19(2), 121-145.
  31. 박경희 (2005).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 개발 및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박동필, 이지연 (2016).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53-70.
  33. 박소영 (2009). 보육교사로 살아가는 힘에 관한 이야기: 10년 이상 경력 교사들의 이야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박유진 (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박창현 (2015). 유아교사의 개인특성과 유아교육기관 특성이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201-220. doi:10.14698/jkcce.2015.11.201
  37. 박현주 (2011).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갈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배영선 (2007). 유치원 일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소진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백선희 (1997). 정부의 보육시설 공급정책의 전개과정에 관한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10, 189-210.
  40. 서영숙, 박진옥, 서혜전 (2014). 보육교직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5-28. doi:10.14698/jkcce.2014.10.4.005
  41. 손세영, 임귀희, 남기영 (2015). 보육시설평가인증제와 보육의 질-학부모와 교직원을 중심으로. 21세기사회복지연구, 12(2), 35-60.
  42. 손흥숙 (2015). 보육정책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2), 65-84.
  43. 송미경, 양난미, 이은경 (2016). 교사의 소명의식, 자아존중감, 직업적 정체감, 삶의 만족간의 관계. 교원교육, 32(4), 197-218. doi:10.14333/KJTE.2016.32.4.197
  44. 신현숙 (2003). 가정환경 역경과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보호요소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상담연구, 11(2), 71-84.
  45. 오옥선 (2014). 유아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이 교사 효능감, 직무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91-310.
  46. 오정석 (2013). 경찰 직무스트레스와 긍정적 사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윤갑정 (2012). 예비보육교사의 목표, 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113-131.
  48. 윤창영 (2001). 기혼 직장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이경선 (2000). 보육의 질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이미란, 김정원 (2011).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 헌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 243-260.
  51. 이순복, 원지현 (2013).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3), 263-281.
  52. 이순애, 성소영 (2012). 보육교사의 배경변인과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아동교육, 21(3), 267-284.
  53. 이은설, 신윤정 (2017). 인지적 유연성이 중.고등학교 교사의 직업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교, 14(2), 235-258. doi:10.16983.kjsp.2017.14.2.235
  54. 이은숙 (2016).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보육효능감, 보육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5. 이정희, 조성연 (2011).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아동학회지, 32(1), 157-172. doi:10.5723/kjcs.2011.32.1.157
  56. 이지우, 장영혜, 강인호(2016). 감정노동, 조직몰입, 삶의 만족의 관계. 관광연구, 31(3), 277-295.
  57. 이해리(2007). 역경과 유연성이 청소년의 정신건강, 학교생활적응,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5(1), 51-66.
  58. 임안나, 박영숙(2017).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지, 17(3), 675-682. doi:10.5392/JKCA.2017.17.03.675
  59. 장진이, 이지연 (2014). 교사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 소명수행 의식, 삶의 의미, 직업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1), 123-146.
  60. 장희선 (2016). 영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생애목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3), 169-196. doi:10.22155/JFECE.23.3.169.196
  61. 전혜경 (2016).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101-124.
  62. 정선영 (2017).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개인 가치관의 영향력: 한국, 중국, 일본의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1), 71-81. doi:10.7466/JKHMA.2017.35.1.71
  63. 정일영, 김찬우 (2015).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가 서울시 거주 중고령자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6(1), 149-168.
  64. 조성연, 이정희 (201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원장, 동료의 사회적 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29-42.
  65. 조성자, 문수백, 민하영 (2008).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지각된 자아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25-32.
  66. 조영아, 이재은 (2017). 자원봉사 관리자의 소명과 삶의 만족의 관계: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9(2), 111-135. doi:10.23840/agehrd.2017.49.2.111
  67. 조진형, 김경미, 김동원, 김정희 (2008). 감사일지 작성이 주관적 안녕감, 자기 존중감, 자기 효능감, 감사성향 및 신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담론201, 11(2), 75-101.
  68. 천경주, 최주희, 김유리, 이상옥, 장철훈, 김성수 (2017). 교대근무 간호사와 비교대근무 간호사의 공감수준이 삶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3), 261-273. doi:10.5392/JKCA.2017.17.03.261
  69. 천성문 (2014). 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2623-2637.
  70. 최병태, 김이영 (2013). 개인특성과 사회지지가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업무스트레스를 매개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1), 7-23.
  71. 최효정, 석은조 (2013).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75, 93-115.
  72. 하춘광 (2015). 호주 시드니 거주 한인 중년층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연구. 보건사회연구, 35(2), 193-225. doi:10.15709/hswr.2015.35.2.193
  73. 홍은숙 (2006). 탄력성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특수교육학연구, 41(2), 45-67.
  74. 황해익, 박성미, 탁정화 (2015).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4(2), 193-218.
  75. 황해익, 송연숙, 정혜영, 남미경, 정혜영, 유수경 (2015). 보육교사론. 서울: 정민사.
  76. 황해익, 탁정화, 강현미 (2014).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인식수준에 따른 소진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31-52.
  77.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411-432.
  78. Block, J. G., & Kremen, A, M. (1986). IQ and ego 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410. doi:10.1037/0022-3514.70.2.349
  79.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doi:10.1097/00006842-197609000-00003
  80.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doi:10.1111/J.1559-1816.1983.tb02325.x
  81.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doi:10.1207/s15327752jpa4901_13
  82. Essa, E. L. (2003).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4th Ed). NY: Delmar Learning.
  83. Garmezy, N., & Rutter, M. (Eds.). (1983).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4. Greenhaus, J. H., Parasuraman, S., & Wormley, W. M. (1990). Effects of race on organizational experiences, job performance evaluations, and career outcomes.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1), 64-86. doi:10.2307/256352
  85. Gu, Q., & Day, C. (2007). Teachers resilience: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8), 1302-1316. doi:10.1016/j.tate.2006.06.006
  86. Helm, C. M. (2006). Teacher dispositions as predictors of good teaching. Clearing House, 79(3), 117-118. doi:10.3200/TCHS.79.3.117-118
  87. Le Cornu, R. (2009). Building resilience i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5), 717-723. doi:10.1016/j.tate.2008.11.016
  88.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The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238. doi:10.1037/0003-066X.56.3.227
  89. Minor, L. C., Onwuegbuzie, A. J., Witcher, A. E., & James, T. L. (2002). Preservice teachers'educational beliefs and their perceptions of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ch, 96(2), 116-127. doi:10.1080/002206709598798
  90.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134-143. doi:10.1093/geronj/16.2.134
  91. Reivich, K., & Shatte, A. (2002). The resilience: seven essential skills for overcoming life's inventable obstacles. NY: Broadway books.
  92. Rutter, M. (1993). Resilience: Some conceptual consideration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14(8), 626-631. doi:10.1016/1054-139X(93)90196-V
  93. Rutter, M. (2007). Resilience, competence, and coping. Child Abuse & Neglect, 31(3), 205-209. doi:10.1016/j.chiabu.2007.02.001
  94. Salovey, P., Bedell, B. T., Detweiler, J. B. & Mayer, J. D. (1999). Coping intelligently: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coping process. In C. R. Snyder(Ed.). Coping: The Psychology of what works. (pp. 141-16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95.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96. Thomas, L., & Ganster, D. C. (1995).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1), 6-15. doi:10.1037/0021-9010.8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