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Trends in Inclusive Child-care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어린이집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관한 연구 동향

  • 조귀희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 문예은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 이주연 (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 Received : 2019.12.20
  • Accepted : 2020.02.11
  • Published : 2020.02.29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of inclusive child-care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inclusive child-care. Methods: There were a total 330 previous research papers about child-care inclusion, which means the practice of educating and caring for children aged 0 to 5 years old with disabilities alongside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at child-care centers.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main research topic, subject, and research methods.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a quantitative increase of the research since 2003 and a sharp increase of total research in this area since 2006 were found. Second, as a result of the main topic analysis, recognition and attitude research was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followed by the research about child-care programs, teacher and family support, and the effect of inclusive child-care. Third, more than half of the researches were done by teachers. Lastl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mainly used.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o extend the research on inclusive child-care effect, intervention programs, non-disabled children, infants, and qualitative research.

Keywords

References

  1. 강대옥, 강은희 (2014). 장애아담당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6(4), 161-186. doi:10.21075/kacsn.2014.16.4.161
  2. 강대옥, 박소영, 구신실 (2008). 장애유아통합교육 연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교사교육연구, 47(1), 119-141.
  3. 강상, 권정심, 신지혜 (2012). 장애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 이해의 차이 및 통합학급 상호작용의 실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2), 23-46.
  4. 강재희 (2013). 시각장애유아 민준이의 어린이집 사회적 통합과정.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1), 123-145.
  5. 강종구, 최나리 (2019). 통합교육에 있어 장애 유형별 연구 동향비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8(3), 209-238.
  6. 고경필, 하정숙 (2013). 예비 유아.보육교사와 예비 사회복지사의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및 보육과 그에 관한 장애 영유아 관련법에 대한 인식 비교. 특수아동교육연구, 15(4), 77-98. doi:10.21075/kacsn.2013.15.4.77
  7. 교육부 (2018).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경기도: 교육부.
  8. 교육인적자원부 (2007). 유아를 위한 장애 이해 및 통합교육 활동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9. 국가법령정보센터 (2007. 5).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http://www.law.go.kr에서 2019년 11월 30일 인출
  10. 국가법령정보센터 (2018. 10).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2018.10.30. 대통령령 제29258호 일부개정) http://www.law.go.kr에서 2019년 11월 30일 인출
  11. 권미은, 신현기 (2008). 유아기 자녀의 장애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그림책 선정기준 비교. 지적장애연구, 10(2), 123-143.
  12. 권연정, 유주연 (2013). 최근 5년간 유아교육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의 동향분석. 유아교육연구, 33(2), 191-212. doi:10.18023/kjece.2013.33.2.009
  13. 김경숙, 엄현옥 (2004). 유아기 통합경험 유무에 따른 장애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친사회적 태도 비교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20(1), 233-253.
  14. 김경은, 이대균 (2017). 장애통합보육을 경험한 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보람. 열린유아교육 연구, 22(1), 547-573. doi:10.20437/KOAECE22-1-22
  15. 김선화, 조윤경 (2011). 통합보육기관 재원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가족지원 실태 및 욕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333-354.
  16. 김수영, 정정희, 김주연 (2005). 프로젝트 접근법이 장애통합교실의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6(1), 229-245.
  17. 김수영, 정정희 (2002). 장애아 통합프로그램에서 유아의 지능발달 수준이 인지적, 사회적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7(3), 231-246
  18. 김유진, 이영애, 권정윤 (2019). 공.사립 유치원 장애 유아 통합 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08년-2018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19(1), 187-219. doi:10.21214/kecse.2019.19.1.187
  19. 김은자, 이승희 (2002). 유아특수교육관련 연구논문 동향 분석: 1990년부터 2001년까지의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37(3), 171-194.
  20. 김태연, 정현심 (2015).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관련 연구동향. 한국보육학회지, 15(2), 109-128.
  21. 김태연, 조윤경 (2017). 학급 생활주제 관련 가정연계 프로그램이 통합된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1), 385-411. doi:10.22155/JFECE.24.1.385.411
  22. 김화영, 조윤경 (2009).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기술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수준 비교. 특수아동교육연구, 11(3), 157-178. doi:10.21075/kacsn.2009.11.3.157
  23. 류호영, 김선아, 이성희 (2012). 장애유아 부모의 통합보육 경험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2(2), 145-165. doi:10.18023/kiece.2012.32.2.007
  24. 목명화, 최윤희 (2011). 장애를 주제로 한 통합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프로그램이 일반유아 어머니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와 통합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2(4), 655-676.
  25. 문선화, 이선애 (2003). 장애아통합보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3, 251-272.
  26. 박소영, 신현기 (2009) 통합된 장애유아의 변화를 통해 본 협력교수의 이점. 특수교육학연구, 43(4), 197-221.
  27. 박윤, 양진희 (2018).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3(6), 351-372. doi:10.20437/KOAECE23-6-15
  28. 박은성, 조윤경 (2010).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특수아동교육연구, 12(2), 273-291. doi:10.21075/kacsn.2010.12.2.273
  29. 배정희, 조윤경 (2009). 통합보육시설에서 보육교사와 장애전담교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 8(2), 85-111. doi:10.18541/ser.2009.09.8.2.85
  30. 보건복지부 (2019. 4). 어린이집 및 이용자 통계: 특수보육어린이집 현황. http://kosis.kr/common/meta_onedepth.jsp?vwcd=MT_OTITLE&listid=154_15407에서 2019년 11월 15일 인출
  31. 성태제, 시기자 (2014).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32. 송영선 (2006). 장애아 통합보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시 국.공립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송호준, 옥정달 (2014).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실태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통합 및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3(1), 179-198. doi:10.15870/jsers.2014.03.53.1.179
  34. 원계선 (2012). 장애통합보육 경험 여부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 이해와 놀이동반 수용. 교육의 이론과 실천, 17(3), 47-63.
  35. 원계선, 정경희, 이진숙 (2006).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유아의 장애이해 지원 전략에 관한 고찰. 교육의 이론과 실천, 11(1), 93-116.
  36. 원종례, 김경희 (2010).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관련 중재 연구 동향 분석: 2000-2009년까지의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10(3), 169-192.
  37. 유종은, 최윤희, 박나리 (2012). 장애 이해 및 통합교육 활동이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통합교육연구, 7(1), 97-116. doi:10.26592/ksie.2012.7.1.97
  38. 유창숙, 조윤경 (2012). 보육정보센터 장애아 순회지원사업의 운영 실태와 지원욕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253-281.
  39. 이귀애 (2010). 보육시설장의 장애영유아 통합보육 경험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이나영, 양시내 (2016). 영유아 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4), 355-380.
  41. 이미애, 권희연, 전병운, 한성희 (2008). 통합 환경에서의 장애유아 중재 연구 동향 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8(3), 21-40.
  42. 이상희, 윤정숙 (2012). 장애유아 통합교육환경에서의 사회적 기술 연구 동향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5(3), 21-45. doi:10.20971/kcpmd.2012.55.3.21
  43. 이수련 (2011). 장애유아 통합교육 관련 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아동학회지, 32(6), 49-62. doi:https://doi.org/10.5723/KJCS.2011.32.6.49
  44. 이숙향 (2010). 국내 중등 통합교육 연구의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1(3), 339-369. doi:10.19049/JSPED.11.3.14
  45. 이승매 (2011). 유아통합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00년-2010년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이은선 (2013). 장애영유아 통합보육 활성화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연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이정림, 김은영, 엄지원, 강경숙 (2012).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교육현황과 선진화 방안(연구보고. 2012-10).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48. 이제화 (2011).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중재 동향 분석: 국내실험연구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2(2), 1-28. doi:10.19049/JSPED.12.2.01
  49. 이지연, 한수진 (2017). 특수교육학개론. 경기: 양서원.
  50. 이효신, 곽윤정 (2008). 장애이해프로그램이 일반유아의 발달지체 유아에 대한 태도 및 상호작용 변화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4(1), 207-232.
  51. 전귀연, 김수경, 최정선 (2006). 통합시설 부모교육 실태 및 요구도 조사-장애유아 및 일반유아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7), 163-175.
  52. 정영희, 김혜정 (2006). 장애유아 통합교육이 일반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307-339.
  53. 정정희, 김유정 (2003). 통합과 분리학급 장애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형태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2), 281-299.
  54. 조광순 (2004). 장애 영.유아 조기발견을 위한 협력적 추적 체계의 개발 방향. 특수교육학연구, 38(4), 145-175.
  55. 조용태, 이영석, 김경중, 신현기, 임명희, 이경선 등 (1999). 어린이집에서의 장애아동 보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15(1), 23-41.
  56. 조윤경 (2007).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훈련이 교사 교수 행동 및 장애유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7(1), 131-155.
  57. 조윤경, 홍은주 (2005). 우리 함께 해요: 장애유아 통합 프로그램의 실제. 서울: 창지사.
  58. 조태곤, 김용욱, 우정한, 김경일 (2014). 통합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5(1), 79-98. doi:10.19049/JSPED.15.1.04
  59. 조현근 (2017). 장애유아 통합교육 관련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국내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를 중심으로(2007-2016)-. 유아특수교육연구, 17(3), 251-275. doi:10.21214/kecse.2017.17.3.251
  60. 조현근, 이병인 (2017). 유아통합교육의 연구 방향성 탐색을 위한 연구 동향 분석: 2007-2016년 국내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8(3), 271-296. doi:10.19049/JSPED.2017.18.3.11
  61. 조희순 (2009).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아스퍼거 장애유아의 통합교육 사례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6), 455-480.
  62. 환경부 (n.d.). 지속가능발전목표. http://www.ncsd.go.kr/unsdgs?content=2에서 2019년 12월 3일 인출
  63. 채수경 (2013). 감각통합 놀이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감각기능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7(2), 53-72.
  64. 하영숙 (2002). 통합보육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통합보육시설 비장애아 학부모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한국보육진흥원 (2012). 장애아보육 교사실무.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66. 한민경, 이미숙 (2009). 장애 유아 통합 어린이집에서의 보육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9(2), 43-73.
  67. 허계형 (2010). 장애유아통합 교사전문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아동교육, 19(1), 133-148.
  68. Anderson, E. M., & Lindeman, K. W. (2017). Inclusive prekindergarten classrooms in a new era:Exploring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School Community Journal, 27(2), 121-143.
  69. Creswell, J. W., & Poth, C. N. (201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70. Diamond, K. E. (2001).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ideas, emotional understanding, and social contact with classmates with disabilitie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1(2), 104-113. doi:10.1177/027112140102100204
  71. Evans, J., & Lunt, I. (2002). Inclusive education: Are there limits? European Journal of Special Needs Education, 17(1), 1-14. doi:10.1080/08856250110098980
  72. Farrell, P. (1997). Teaching pupils with learning difficulties: Strategies and solutions. London, UK: Falmer Press.
  73. Fraenkel, J. R., Wallen, N. E., & Hyun, H. (2018). How to design and evaluate research in education, (10th Ed.). New York: McGraw Hill.
  74. Green, K. B., Terry, N. P., & Gallagher, P. A. (2014). Progress in language and literacy skills amo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arly Reading First classroom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33(4), 249-259. doi:10.1177/0271121413477498
  75. Guralnick, M. J. (2001). A framework for change in early childhood inclusion. In M. J. Guralnick (Ed.), Early childhood inclusion: Focus on change (pp. 3-35). Baltimore, MD: Brooks.
  76. Hestences, L. L., Cassidy, D. J., Shim, J., & Hegde, A. V. (2008). Quality in inclusive preschool classroom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9(4), 519-540. doi:10.1080/10409280802230973
  77. Holohan, A., & Costenbader, V. (2000). A comparison of developmental gains for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lusive and self-contained classrooms.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20(4), 224-235. doi:10.1177/027112140002000403
  78. Kwon, K., Elicker, J., & Kontos, S. (2011). Social IEP objectives, teacher talk, and peer interaction in inclusive and segregated preschool setting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9(4), 267-277. doi:10.1007/s10643-011-0469-6
  79. Lawrence, S., Smith, S., & Banerjee, R. (2016). Preschool inclusion: Key findings from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policy(ED579178). New York: National Center for Children in Poverty. Retrieved October 12, 2019 from http://lps3.eric.ed.gov.libproxy.jnu.ac.kr/contentdelivery/servlet /ERICServlet?accno=ED579178
  80. Mitchell, L. C., & Hegde, A. V. (2007). Beliefs and practices of in-service preschool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Implications for personnel prepar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28(4), 353-366. doi:10.1080/10901020701686617
  81. Mogharreban, C. C., & Bruns, D. A. (2009). Moving to inclusive prekindergarten classrooms: Lessons from the field.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6(5), 407-414. doi:10.1007/s10643-008-0301-0
  82. Odom, S. L., Buysse, V., & Soukakou, E. (2011).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rter century of research perspective.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33(4), 344-356. doi:10.1177/1053815111430094
  83. Phillips, D. A., & Meloy, M. E. (2012). High-quality school-based pre-k can boost early learning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Exceptional Children, 78(4), 471-490. doi:10.1177/001440291207800405
  84. Rafferty, Y., Piscitelli, V., & Boettcher, C. (2003). The impact of inclusion on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competence among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 69(4), 467-479. doi:10.1177/001440290306900405
  85. Rakap, S., Cig, O., & Parlak-Rakap, A. (2015). Preparing preschool teacher candidates for inclusion: Impact of two special education courses on their perspectives. Journal of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al Needs, 17(2), 98-109. doi:10.1111/14713802.12116
  86. Sayce, L. (2001). Social inclusion and mental health. Psychiatric Bulletin, 25(4), 121-123. doi:10.1192/pb.25.4.121
  87. Soukakou, E. P., Winton, P. J., West, T. A., Sideris, J. H., & Rucker, L. M. (2014). Measuring the quality of inclusive practices: Findings from the inclusive profile pilot.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36(3), 223-240. doi:10.1177/1053815115569732
  88. Vargas-Baron, E. (2016). SDGs related to early childhood development,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hington, DC: The RISE Institute.
  89. Wertlieb, D. (2018). Inclusiv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Ensuring the rights and well-being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Zero to Three, 38(4), 22-30.
  90. Yu, S., Ostrosky, M., & Fowler, S. A. (2012). Measuring young children's attitudes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Highlights from the research.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32(3), 132-142. doi:10.1177/0271121412453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