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of Head Teachers' Styles for Handling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hild-care Centers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styles for handl ing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head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teacher's styles for handling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total of 194 child-care head teachers who work in the Busan and Gyeongnam area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tyles for handling conflict, the head teacher s used the most obliging type toward their principal, and also used the most integrati ng type toward colleague teachers. The head teachers perceived moderate or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hild-care centers, and there were partial diffe rences in styles for handling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ing on ag e, academic achievement, career of head teachers and facility type. Finally, it was fou nd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care cent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 h integrating type, dominating type and compromising type among all styles for hand ling conflict which head teachers adopted,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voidin g type.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head teacher's styles for handling conflict having most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avoiding type to ward their principal and integrating type toward colleagu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주임교사가 지각한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효과성을 알아보고,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남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164곳에 근무하는 주임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임교사들은 원장에 대해서는 배려적 유형을, 동료교사에 대해서는 통합적 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지배적 유형과 회피적 유형을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임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 조직효과성의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주임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시설유형 등 배경변인에 따라 갈등관리 유형 및 조직 효과성에 부분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의 조직효과성은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 중 통합형과 지배형, 타협형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피형과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의 조직효과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은 원장에 대해서는 회피형이었으며, 동료교사에 대해서는 통합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낙흥(2010). 보육시설 주임교사의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1), 235-258.
  2. 김낙흥, 손수민(2010). 보육시설 주임교사의 역할수행과 역할갈등과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4(2), 395-416.
  3. 김동춘(1998).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미경(2010). 유아 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발달단계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문희(2011).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정희(2007). 원장의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 개인 및 조지특성 중재효과와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진아, 이종희(2008). 보육종사자가 지각한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한국영유아보육학, 55, 119-149.
  8. 김진아, 이종희(2009). 보육종사자가 지각한 보육시설의 조직효과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25-57.
  9. 김창걸(1983). 교장의 지도성 행위, 상황 및 조직효과성과의 관계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노종희(2001). 교원 직무만족의 개념화 및 측정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9(2), 163-181.
  11. 박은혜(2006).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12. 백은영(2004).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과 갈등관리특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서현, 송선화(2010).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4), 145-169.
  14. 송경섭(2006).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송미선, 김동춘(2005). 유치원 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5(5), 55-74.
  16. 심현정, 김현주, 김남연(2009).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역할 수행 및 어려움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5), 5-26
  17. 유미경(1997). 유아교사들의 갈등유형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유지영(200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 리더십 유형과 조직효과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유희정, 이미화(200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 분석.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40-17, 1-288
  20. 윤혜미, 권혜영(200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만족도. 한국생활과학회지, 12(3), 303-319.
  21. 이윤경(1999). 유치원 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교육학연구, 37(3), 365-383.
  22. 정다운, 문혁준(2008). 시설장 및 교사가 지각한 보육시설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8), 73-84.
  23. 최윤정(2011). 중등학교 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최희주(2011). 유치원 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황해익, 남미경(2011). 보육시설종사자의 자격 및 처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영유아보육법과 아이사랑카드, 2011년 춘계보육관련학회 통합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pp. 128-149. 5월 27일.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100주년기념관 삼성컨벤션센터.
  26.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2012).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313-335.
  27. Hartley, D. L. (2009). Solving the assistant principal's puzzle . Larchmont, NY: Eye On Education Inc.
  28. Jamieson. D. W. & Thomas, K. W. (1974). Power and conflict in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10(3), 321-336 https://doi.org/10.1177/002188637401000304
  29. Kreitner, R., & Kinicki, A. (1989). Organizational behavior (2nd ed.). Boston, MA: Orwin.
  30. Luthans, F. (1981). Organizational behavior (3rd ed.). NY: Mcgraw-Hill Book Company.
  31. Porter, L. W., Steers, R. M., Mowday, R. T., & Boulian, P. V. (1974).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 603-609. https://doi.org/10.1037/h0037335
  32. Rahim, M. A. (1983). A measure of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5, 368-376.
  33. Rahim, M. A. (1985). A strategy for managing conflict in complex organization. Human Relations, 38(1), 81-89. https://doi.org/10.1177/001872678503800105
  34. Rahim, M. A. (1986). Managing conflict in organization. NY: Praeger.
  35. Weller, L. D. & Weller, S. J. (2002). The assistant principal: essentials for effective school leadership.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