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32초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양상 분석: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ocio-demographic Factors Related to Older Adults'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Patterns)

  • 김영석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959-976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65세 이상 노인 10,073명의 성별, 연령, 학력, 연가구소득, 최장기 일자리 지위, 건강상태에 따라 평생교육 참여여부, 참여영역, 참여기관, 참여빈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성별), 70-74세, 75-79세(연령), 중학교 재학/졸업, 고등학교 재학/졸업, 전문대학 휴학 이상(학력), 상용근로자, 무급가족종사자(최장기 일자리 지위), 그리고 건강상태의 노인집단이 평생교육에 보다 많이 참여하였다. 중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집단과 고등학교 졸업이상 집단, 그리고 제1, 2분위 소득집단과 제3, 4, 5분위 소득집단 간에 유의미한 평생교육 참여영역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평생교육 참여기관과 관련해서는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은 70세 이상, 중학교 학력 이하, 3분위 소득 이하, 건강이 나쁜 집단이 참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평생교육 참여빈도와 관련해서는 무학에 비해 고등학교 재학/졸업 및 전문대학 휴학 이상 집단이, 무급가족종사자에 비해 상용근로자 집단이 자주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우려되고 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불평등 현상이 노인 집단 안에서도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다.

한국과 인도의 국가 발전 비교 연구 : 평생 사회 교육의 측면에서 영향 (Comparative study on the national development between Korea and India : in the aspect of lifelong social education)

  • 메타 제이딥 챈드라칸트
    • 산업진흥연구
    • /
    • 제3권2호
    • /
    • pp.87-94
    • /
    • 2018
  • 본 연구는 평생 교육이 교육 특성의 모든 활동을 포함하는 평생 학습을 위한 지원 시스템으로 간주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자기 교육의 보편화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그 목표는 삶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것이다. 평생 교육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성명서는 주로 사회 변화의 가속화와 평생 지속되기에 충분한 교육을 제공하는 본 시스템의 불가능성에 근거한 것으로 밝혀졌다. 시행에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는 관성, 변화에 대한 저항, 동기 및 비용이 포함되었다. 반대자들은 평생 교육을 착취와 통제 목적으로 의무 교육을 확대하려는 시도로 간주 할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는 지지자들 사이에 중요한 합의점이 있음을 밝혀냈지만 많은 의문점이 남아 있다. 평생 교육의 완전한 이행 가능성은 멀리 떨어진 것으로 간주되며, 평생 교육은 방향과 목적의 원천, 사회가 지향해야 할 이상으로 해석되어야한다.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기룡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33-341
    • /
    • 2020
  •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함으로써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원자료 중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활용하였고,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를 종속변수로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16개 변인을 독립변수로 각각 설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의 성, 연령, 장애정도, 가족지지, 생활만족도, 수단적일상생활수행능력이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탐색되었다. 따라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관, 관련 인력 및 프로그램 확대와 같은 인프라 구축뿐만 아니라 발달장애인이 평생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마련될 필요가 있다.

평생학습적 시각을 통해 바라본 SSI 교육과 과학적 소양 (SSI Education and Scientific Literacy from a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 박신희;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1-75
    • /
    • 2022
  • 최근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으로 새롭게 평생학습능력이 제시되었다. 학생들이 삶 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과학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 과학교육을 넘어선 과학과 관련한 평생학습능력이 필요하지만, 기존의 과학교육 연구에서 학생들이 실제로 삶 속에서 맞닥뜨리는 문제를 과학적 소양을 통해 해결할 수 있었다는 경험적 증거는 찾기 어렵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평생학습능력을 학교 과학교육을 통해 어떻게 함양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도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학교 과학교육을 통해 평생학습능력을 함양하고 삶 속에서 접하는 과학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SSI 교육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SSI 교육연구 속 진술을 검토하여 평생학습 관련 담론을 발견하고 그 유형과 특성을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교육 연구에서 주목하는 평생학습과 그것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를 위해 SSI 교육을 주제로 한 문헌 자료 18개를 선정하였으며, 자료에 드러난 진술을 검토하여 SSI 교육 연구에 내포된 평생학습 관련 담론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 범주화된 평생학습 관련 담론은 4가지이며 '과학에 대한 인식', '과학과 일상의 연결', '참여적 시민성의 촉진', '정체성의 구성'이다. 다양한 SSI 교육 연구들은 이미 여러 맥락에서 평생학습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평생학습 관련 담론의 4가지 유형은 UNESCO 평생학습 보고서에서 제시한 4가지 학습과 연결할 수 있었다. SSI 교육은 학생들의 삶의 경험을 학습의 일부로 바라보며, 학생들이 과학과 관련한 사회적 쟁점에 대해 책임감 있는 의사 결정을 내리고 실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인성과 역량을 갖추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량은 평생학습능력으로서 학교 밖 학생들의 실제 삶과 지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교육에서 평생학습과 관련한 담론의 확장과 학생들의 평생학습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시스템 전반에 걸친 운영과 관리가 요구된다.

프랑스 평생교육에 대한 소고 - 우리 사회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The overview of lifelong education in France and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 이경수
    • 비교문화연구
    • /
    • 제49권
    • /
    • pp.201-228
    • /
    • 2017
  • 우리나라가 산업화와 경제 발전을 가장 우선시 하던 시기에는 그것을 주도할 소수의 엘리트를 양성하는 데에는 대학이 최적의 시스템이었다. 하지만 우리 사회도 언제부터인지 평생학습사회로 변모하였고, 적어도 평생학습사회에 걸맞은 고등교육을 전담하기에 지금의 대학은 더 이상 이상적인 시스템이 아니다. 우리 정부도 그러한 변화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정책들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이 지난 해 이화여대 사태였다. 본고는 이화여대 사태의 원인을 대학 및 대학 구성원들이 평생학습사회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되지 못한 상태에서 평생교육이라는 주제를 대학에 성급하게 도입시키려 했던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았다.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우리보다 앞서 평생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정책들을 펼치고 있는 프랑스의 경우를 살펴보았다. 물론 프랑스도 평생교육이라는 복합적인 주제와 관련하여 공교육의 역할을 새롭게 규정하고 조정해야만 하는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음은 분명하다. 하물며 평생학습사회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기 시작한 우리의 경우에는 프랑스의 경우를 교훈 삼아 정책을 세우고 추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특히 교육의 공공성이라는 측면에서 평생교육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분명히 인식하고 대학에 재정적 지원을 늘림으로써 교육의 공공성을 확보해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평생학습사회에 임하는 대학의 태도가 바뀌어야 하고, 그 구성원들의 인식이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역량기반 평가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ompetence-based Assessment System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BAS-LVCD))

  • 허선영;임다미;권오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57-62
    • /
    • 2018
  • 평생직업개발에 대한 중요성 인식, MOOC의 확산과 온라인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교육 시스템 마련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기술공학분야의 역량기반 평가 도구와 시스템에 대한 설계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기술공학분야의 직무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Competence-based Assessment System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 CBAS-LVCD)을 설계 및 구축하였다. CBAS-LVCD는 NCS 기반 루브릭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학습자를 평가하고 기술공학분야에서 사용할 시뮬레이션 도구를 제공한다. 이는 실습과 온라인 시험이 제한적인 기술 엔지니어링 분야의 실무에 필요한 역량을 평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지역 평생교육 참여자의 특성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의 지역 간 차이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in Rural Areas -Focused on Regional Differences in Large Cities,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

  • 김정태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6권1호
    • /
    • pp.1-1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tendency of rural residents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a polynomial model for 3,685 people using raw materials from a lifetime education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participants in rural residents prefer small study groups. They were also approached on a practical level, such as life-help or self-realization. And the participating education programs were highly involved in vocational non-formal education. Based on the workings of personal backgrounds,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lower income and lower educational backgrounds is more active than in urban areas. In additio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lifelong education was shown in the order of big cities, small cities, rural are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lifelong education are not suitable as a means to maintain rural population.

대학을 활용한 평생 직업능력 개발 일본 사례 연구 (Case of Japan on the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Utilizing the University)

  • 김재훈;조준희;이상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57-62
    • /
    • 2016
  •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사례를 분석하여 대학의 평생직업 능력개발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평생학습의 보편화를 위해 일과 학습을 구분 짓는 시각에서 벗어나 일과 학습이 순환되고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경제사회가 고도 성장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력과 그 기술력을 지탱하는 인재에 의해서 발전을 이룩해 왔다. 세계화 속에서 지금까지 축적해 온 기술과 인재를 활용하면서 한층 더 경제성장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의 인재육성 경제 전체의 성장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일본의 대학은 "생애학습 진흥을 위한 시책 추진체재 등의 정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후 본격적으로 직업능력개발에 참가하여 교육기본법에 생애학습의 이념을 새롭게 규정하여 평생 직업능력개발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재챌린지를 위한 학습지원 사업과 시즈오카대학의 위탁업무 코스에 대한 사례를 기반으로 대학을 활용한 평생 직업능력 개발 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현장실습의 대한 실습능력을 강화시키고 현장실습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K샌드아트 평생학습 전문강사 동아리에 나타난 교육적 효과 탐색 (Explor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K-Sand Art's Lifelong Learning Specialized Instructor Club)

  • 김영옥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09-419
    • /
    • 2020
  • 이 연구는 평생교육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샌드아트 기법의 학습자 흥미 유발 요인과 교육적 효과를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K샌드아트 평생학습 전문강사 동아리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흥미 유발 효과를 높이는 요인은 샌드아트 기법을 모래 놀이로 인식, 이야기와 음율, 샌드박스에 그리며 표현해보는 활동, 학습자의 관심 주제를 표현하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평생교육 분야에서 샌드아트 기법은 교육적으로 심리치료, 집중력 향상, 자신감 향상, 표현력과 창의력 개발, 오감 발달에 효과가 있다. 셋째, 평생교육 분야에서 샌드아트 기법은 전 세대에게 적용되고 있으며, 평생교육 6진 분류 중 시민참여교육, 기초문해교육, 문화예술교육에 샌드아트 기법을 활용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넷째, 향후 과제로는 샌드아트 전문가 양성 지원, 샌드아트 재료 및 장비 지원, 다양한 대상을 찾아가는 샌드아트 프로그램을 확산해야 할 것이다.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dult learners in the Lifelong Learning happiness)

  • 김미영;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38-146
    • /
    • 2016
  • 이 연구는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의 관계에서 성인교육자 특성,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기관 특성의 매개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학습자의 성별, 학력별, 연령대별, 거주지별, 평생학습 참여경험, 직업, 참여하고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평생학습 행복지수의 차이는 없으며, 둘째, 성인학습자 특성이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셋째. 성인학습자 특성은 성인교육자 특성,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기관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넷째, 성인교육자 특성은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학습참여 동기와 교육기관 특성은 각각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다섯째, 성인교육자 특성은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매개 역할을 하지 않으나 학습참여동기와 교육기관 특성은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대해 각각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생학습 경험을 통해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하여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성인교육자가 성인학습자 특성 이해의 향상과 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질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