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t-Up

검색결과 1,865건 처리시간 0.033초

중소기업 종사자의 창업역량과 창업의도 간의 영향 관계: 창업효능감과 창업멘토링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ME Work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tart-Up Efficacy and Start-Up Mentor)

  • 이언주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6호
    • /
    • pp.201-214
    • /
    • 2023
  • 본 연구는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인의 창업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으며, 창업역량과 창업의도간에 창업효능감과 창업멘토링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했다. 창업역량의 하위변수로는 창의성, 문제해결, 의사소통, 마케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전국에 소재하는 중소제조기업에서 종사자를 중심으로 수집한 설문지 368부를 실증 분석에 사용하였다. 매개변수 간 인과관계가 없는 병렬이중매개모형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창업역량 중에서 창의성, 의사소통, 마케팅은 창업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창업역량 중에서 창의성, 의사소통, 마케팅은 창업멘토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셋째, 창업효능감과 창업멘토링 모두 창업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역량 중에서 창의성과 마케팅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창업효능감과 창업멘토링은 창업역량 중에서 문제해결을 제외하고 창업의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중소기업 종사자의 창업의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창업효능감과 창업멘토링이 중요한 요인이고 개인의 창업역량 중에서도 마케팅과 창의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에 이에 대한 교육 및 사전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다변량 모형 적용이나 시계열 데이터 분석 및 외부 환경 요인을 고려한 연구, 세부화된 인구 특성을 고려한 창업역량과 성과 간의 차이를 검정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 PDF

프로세스 마이닝 기반 창업 프로세스 분석: ICT 서비스 창업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tartup Process based on Process Mining Techniques: ICT Service Cases)

  • 박민우;문현실;김재경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135-152
    • /
    • 2019
  • 최근 ICT 기반 서비스 기업의 성공 사례로 다양한 창업 기업 육성 및 지원이 등장하고 있지만 정책 및 지원이 창업 초기에 몰려 있어 창업 후 안정적인 성장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창업 과업을 개별적인 활동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창업 초기부터 성장 및 안정 단계에 이르기까지 창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프로세스가 존재하고 이를 파악하는 것은 창업자의 성공적인 창업 경험을 지원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창업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창업 프로세스 모델을 구축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실제 ICT 서비스업 창업 사례를 기반으로 프로세스 분석한 결과, 창업자 분석, 아이디어 도출, 사업계획서 작성, 사업다각화가 전체 창업 과정에서 중요한 프로세스로 도출되었다. 반면에 마케팅 관련 활동 및 투자자금 활용 과업이 빈도는 높았지만 중요하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이러한 활동들이 일회성활동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과업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분석 방법을 통해 창업 과업 간의 순차적인 흐름을 도출하고 과업 수행 간 특징을 도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 과업 단위의 연구에서는 파악할 수 없었던 일시적 과업의 파악과 상호 보완적인 과업 활동의 파악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프로세스 모델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자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면 더 많은 실제 창업 사례 분석을 통하여, 예비 창업자 또는 신규 창업자의 창업 과정에서 개인별 맞춤형 지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창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또는 발생 가능한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Start-up 교육 프로그램 체험의 효과성 분석 (The Effectiveness of Global Start-up Education Program Experience)

  • 이에스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64-174
    • /
    • 2019
  • 본 연구는 글로벌 start-up 교육 프로그램 체험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K대학교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 중 프랑스 'Eklya Global Entrepreneurship Camp'에 선발된 10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질문지 그리고 FGI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프랑스 현지 교육 프로그램에 3주간 참여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회수된 설문은 SPSS(24.0)와 FGI를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글로벌 start-up 교육 프로그램 체험 사전-사후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3.1점의 차이는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업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후 실시한 FGI인터뷰에서 자신의 글로벌 창업에 대해 구체적 계획 수립, Finance 체계적 교육, 창업에 대한 자신감 향상, 토론형 교육 등이 참여 학생들의 창업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그 효과성이 나타났다. 향후 창업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타대학교의 참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비교분석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대학 창업교육 고도화를 위한 사례분석 -10개 대학 창업교육 컨설팅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Advancement of Uni. Start-up Education)

  • 김재현;이성호;남정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96-108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 창업교육 컨설팅 사례분석을 통하여 정규교과, 비교과, 창업 사업화, 지원 인프라 등 대학 창업교육 방향을 제시하고 창업교육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10개 대학의 문헌연구, 실무자 사전진단설문지, 방문컨설팅의 3단계로 진행하며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을 구분하여 설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4년제 대학은 기존의 양적인 성과에서 질적 내실화 단계로 양적 인프라 등을 이용, 4년제 대학의 특화된 창업 밸리 조성과 실전 창업을 위한 지속적인 사업화 노력이 필요하며, 전문대학은 지원인프라, 사업화 부문에서 낮은 수준으로 학과의 특성에 맞는 창업교육 전문 인력 및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차별화된 평가지표 도입이 시급하였다.

점포창업자의 창업 전 창업교육 및 현장체험이 점포의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Store Entrepreneur's Start up Education and Experience before Start up to Performance of Stores)

  • 김춘화;강병오;윤형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135-1147
    • /
    • 2013
  • 본 연구는 자영업의 높은 실패율을 낮추고 자영업자의 안정적 사업영위에 기여하고자, 중요한 창업 성공요인인 사전 창업교육 및 현장체험이 실제 점포의 운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우리나라는 체계적인 창업교육 프로그램과 사전에 실전경험을 해볼 기회가 충분하지 않다. 게다가 학계의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점포 창업자의 창업교육 및 현장체험이 창업스킬과 창업가정신을 함양해 최종적으로 점포의 운영성과로까지 이어지는 과정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습교육은 창업스킬에, 이론교육은 창업가정신에 각각 영향을 미치고, 현장체험은 창업스킬과 창업가정신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창업스킬과 창업가정신은 점포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문적 시사점 외에, 점포창업자의 창업교육 및 현장체험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방안도 제시하였다.

네일아트 자격증 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 창업의도, 창업행동 간의 연결망 분석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tart-Up Intention, Start-Up Behavior Option Network Analysis)

  • 서란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1호
    • /
    • pp.139-146
    • /
    • 2021
  • 본 연구는 창업의지가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 창업의도, 창업행동 간의 연결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창업의지가 있는 네일아트 자격증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각 변수 간의 연결 관계에서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긍정심리자본, 창업의도, 창업행동의 측정변수를 설정하고, 자료수집 후, 수집된 자료를 연결중심성, 고유벡터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의도에 영향을 주는 일부 변수로는 긍정심리자본의 낙관성, 복원력, 희망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의도는 창업행동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달리 창업행동은 연결망 구조에서 거의 외곽으로 나타나 다른 변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긍정심리자본에서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긍정심리자본, 창업의도, 창업행동 간의 고유벡터 분석 결과, 가장 중심성이 높은 변수로 낙관성으로 나타났다. 즉, 예비창업자는 창업 시 고생을 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그런데도 향후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창업자의 창업의도, 창업행동,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성을 연결망 분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행동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에 관해 무엇이 중요하고, 어떻게 교육을 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정부와 공공기관 또는 대학의 창업지원 프로그램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예비창업자의 창업행동을 높이는 관점에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청년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지원 요인에 관한 연구 (Impact of Youth Start-Up Business Incubating System On the Start-Up Business Performance)

  • 황보윤;김재형;방중혁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149-160
    • /
    • 2013
  • 본 연구는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창업지원 사업 및 지원시스템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서울시 청년창업지원시스템(청년창업1000프로젝트)이 청년창업가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창업1000프로젝트에 수혜를 받은 20세이상 40세 미만의 청년창업가를 표본으로, 청년창업가 특성(수혜시기, 창업 시 자본금 규모, 입주 전 지적재산권 보유개수) 및 창업지원 서비스 요인에 대한 만족도(창업활동지원금,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 입주자간 협업지원 등)가 창업성과(창업성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청년 창업가의 창업시 자본금 규모, 입주전 지적재산권 보유개수, 창업활동 지원금 지원,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 입주사간 협업 지원들이 창업성과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가의 특성 및 지원서비스와 창업성과와의 회귀분석 결과는 청년 창업가의 졸업기수, 사무실 규무, 지적재산권 기존 보유 개수, 창업활동 지원금 지원, 입주사간 협업 지원들이 청년 창업기업의 창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년창업가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으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지원 방안의 기초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 PDF

대학의 창업교육지원이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 Support on Employment Rate)

  • 박남규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97-108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의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이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취업률에 미치는 대학요인으로서 대학설립유형과 대학소재지에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 요인을 추가하였다.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 요인은 대학공시지표에서 도출하였다. 창업교육 요인에는 창업강좌 이수자수, 창업동아리 참여인원수, 창업경진대회 참여인원수, 창업캠프 참여인원수과 창업지원 요인으로 전담교직원수, 창업교육 지원예산을 추가하였다. 설정된 연구 모형에 대해 전국 4년제 종합대학으로 특수목적대학 및 졸업생 1000명 미만의 대학을 제외한 118개 대학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설립유형은 취업률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대학소재지는 취업률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 요인 중에서 유일하게 창업강좌 이수자수는 취업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창업캠프 참여인원수는 취업률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유의수준 p=.070로 채택여부의 경계선상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술적인 시사점과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창업동기, 창업역량 및 창업지원 정책이 창업 초기기업의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Effects of Startup Motivation, Startup Competence, and Startup Support Policy on Startup Satisfaction in Early Startup Companies :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강영철;하규수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4호
    • /
    • pp.1-21
    • /
    • 2022
  • 사회·국가적으로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신생 기업의 생존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따라서 초기 창업기업의 창업 만족도를 재고하여 생존율을 높일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창업기업의 창업 동기, 창업역량, 창업지원 정책이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창업동기는 세부적으로 경제적 동기와 자아실현 동기로 구분하였다. 창업역량은 세부적으로 경험역량과 마케팅역량으로 구분하였다. 창업지원 정책은 세부적으로 창업자금지원과 창업컨설팅 지원으로 구분하였다. 온오프라인으로 창업 7년 이내 초기 창업기업의 경영자 250명으로부터 설문을 받아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경제적 동기, 자아실현 동기, 경험역량, 마케팅역량, 창업자금지원은 창업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창업컨설팅 지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자아실현 동기, 경험역량, 마케팅역량, 창업자금지원, 경제적 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조절 효과는 경제적 동기, 자아실현 동기, 경험역량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마케팅역량, 창업자금지원, 창업컨설팅 지원은 조절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자아실현 동기와 경험역량이 창업 만족도 제고에 핵심적인 요인이라는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기 창업가의 자아실현과 경험역량을 극대화할 창업 교육 프로그램과 창업컨설팅 지원 제도의 실효성 제고 노력 등이 필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대학생 창업프로그램 지원이 창업동기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tart-up Support Programs on College Students' Foundation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방형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599-605
    • /
    • 2021
  •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대학에서 제공받는 창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해서 전공만족과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 충청, 경북, 전라도의 2년 및 4년제 대학교 5개 대학에 재학중인 248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26.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기술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 창업프로그램 지원중 창업교육지원/창업활동지원이 기회동기와 성취동기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회동기, 성취동기, 독립동기 모두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 창업프로그램 지원중 창업교육지원/창업활동지원이 창업의지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학생들의 전공만족 및 창업의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창업교육지원과 창업활동지원 프로그램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