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ally gifted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8초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 비교 (Comparison on the Vocational Values and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between Middle School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 김수겸;유미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222-124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의 영재학급 과학영재 학생, 일반학급 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를 비교하고,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성별에 따라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영재학생 85명, 일반학생 139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를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업가치관은 11개의 영역 중에서 다양성, 보수, 사회적 인정, 자율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양성과 자율성에서는 과학영재 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보수와 사회적 인정에서는 일반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과학 진로지향도의 전체 평균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4개의 하위영역 모두에서도 유의미하게 과학영재 학생의 평균이 높았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이 성별에 따른 직업가치관은 성별에 따른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다양성, 보수, 안정성, 사회적 인정, 자율성 영역에서는 집단에 따른 주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집단과 성별의 차이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과학 진로지향도의 4개 하위영역에서 집단에 따른 주효과가 나타났고, 성별에 따라서는 '과학 진로 선호도' 영역에서만 주효과가 나타났다. 과학 진로지향도 전체 및 3개 하위영역에서 집단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 Choi, Seong-Hee;Lee, Eun-Ah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0-10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gifted students' conceptions about nature of science (NOS).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be professionals in the future should possess an adequate understanding of NOS that if firm foundation for scientific career. 47 volunteers from the 8th grade gifted science program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Gifted Education Center participated to answer questions inquiring NOS conceptions. Their answer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different groups such as non-gifted students and younger gifted students. As a result, 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NOS appeared to surpass that of non-gifted students in many aspects and it seemed that gifted students formed their NOS view in early ages. The relative weakness in their NOS conceptions was found in understanding of scientific enterprise. Their strong misunderstanding about obstacles that minority people would face in scientific enterprise was noticed, too. They admitted that there has been discrimination in scientific enterprise, but they wrongly believed that outstanding scientists cannot be affected by it.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to probe more.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eacher Recommendation on Selection Process for Scientifically Gifted Program: Focus on the Scientific Attitude, Process Skill, Logical Think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students)

  • 박민정;전동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1-119
    • /
    • 2008
  •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의 교사 추천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과학 교사가 추천한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논리적 사고력, 창의적 문제 해결력, 창의성 점수를 과학 영재원 재학생 및 일반학급 학생들의 점수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 영재원 재학생과 교사 추천 학생은 일반 중학교 학생보다 모든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과학 영재원 재학생과 교사 추천 학생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과학 영재학생 선발을 위해 교사 추천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공학 설계 과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Perceptions of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Engineering Design Process)

  • 송신철;한화정;심규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35-84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성별과 재능영역에 따른 공학 설계 과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공학 설계 과정에 대한 인식 조사 도구는 문제 정의 능력, 정보 수집 및 활용 능력, 아이디어 도출 능력, 탐구 수행 능력, 협업능력(의사소통, 협동, 리더십) 등의 총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커르트 5점 척도로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총 102명(남자 69명, 여자 33명)의 중학교 과학영재들이 설문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성별과 재능영역(물리학, 생명과학, 소프트웨어, 수학, 천문지질, 화학)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과학영재들은 자신의 공학 설계 과정에 대해 높은 수준의 인식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과학 영재들의 성별과 재능영역에 따라 관심분야의 영재성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공학 설계 과정을 반영한 맞춤형 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과학영재들의 실제적인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여 과학 영재를 위한 공학 설계 프로그램의 교수 학습 방법 및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과학영재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 반응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elf Esteem and Reactions on Landscape Montage Test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 송순현;박경빈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2호
    • /
    • pp.313-333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의 반응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 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1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아존중감 척도검사와 풍경구성법을 실시한 후 SPSS.PASW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보다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전체적으로 높았다. 둘째, 풍경구성법에 나타난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 간의 반응특성을 살펴보았다. 풍경구성의 통합성, 원근과 공간감 표현, 추가 항목 수, 문과 창문의 유무 4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 간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 반응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사회적 능력 및 자기조절능력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Life Skills, Soci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Scientifically Gifted and Regular Middle School Students)

  • 황희숙;조환옥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388-39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life skills, soci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scientifically gifted and regul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51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ad hig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dership life skills, soci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an regular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leadership life skills, soci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ird, soci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ability affected leadership life skills. This suggests that soci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ability are important variables to develop and improve leadership life skills of gifted students.

생물분류과정에서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안구운동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ye Movement on Performing Biology Classification Task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 전예름;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1호
    • /
    • pp.142-15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ye movement pattern shown in shown in classification process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consisted of 16 gifted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22 general students at G elementary schools. The tasks consisted of four hierarchical biology classification tasks and one non-hierarchical tasks. SMI's Eye Tracker (iView $X^{TM}$ RED) was used to collect eye movement data while the Begaze software analyzed the task performing process and eye move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wofold.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fixation duration b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 Gifted students spent little time on scanning details and found the features successfully. Second, the process of the classification is different b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General students spent more time to gaze the salient features not relevant features. They had a difficulty to find the element to classify.

교사변인에 따른 초등과학 영재교사의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의 과학교수불안 분석 (Analysis of the State of Science Teaching Anxiety of Elementary Teachers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 김상일;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1호
    • /
    • pp.95-10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e of science teaching anxiety of elementary teachers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career in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training course for gifted education, participation in meeting related to gifted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instrument to assess their science teaching anxiety was Westerback's S-STAI, modified in this study to be suitabl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teachers for gifted felt more teaching anxiety in gifted classes than in normal classes on the whol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career in education experience, experience of taking gifted education training courses, and participation in meeting related to gifted education. Implications related to reduce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teaching anxiety were discussed in depth.

과학일기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Journal Writing on the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t Middle School Level)

  • 남경운;이봉우;이성묵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272-1282
    • /
    • 2004
  • 수도권 소재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교 2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2개월 동안 과학일기쓰기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총 192편의 일기를 작성하였는데, 자신의 과학일기를 작성하여 탑재하고 다른 사람의 일기를 읽고 토론히는 활동을 하였다. 일기내용과 설문 응답 내용, 홈페이지에서의 상호작용 내용, 면담 내용 등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과학일기쓰기는 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과 흥미, 과학적 태도 등 정의적 영역의 모든 대범주에 현저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영재 고등학교 도구교과로서의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내용요소 설계 (Designing Content Elements of the Programming Curriculum as a Instrumental Subject for Gifted Science High School)

  • 김종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11
    • /
    • 2014
  • 본 연구에서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는 정보과학 영재가 아닌 과학영재학생들을 위한 도구교과로 설계되었다. 먼저, 도구교과로써의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은 2학기 동안의 수업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래밍의 이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의 3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를 설계하였다. 그 후, 과학영재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수학, 과학 수업이나 연구에서 활용 가능 여부 확인을 위해, 한 학기동안 수업 및 프로젝트과제, 문제해결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의 문제해결능력 뿐 아니라 수학, 과학 분야에서의 수치 해석 및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역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프로그래밍 학습이 과학, 수학 공부나 연구를 하는데 필요한 도구교과라는 생각으로 바뀐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과학영재학교에서 도구교과 성격으로서의 정보 교과의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