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Analysis of Teacher Recommendation on Selection Process for Scientifically Gifted Program: Focus on the Scientific Attitude, Process Skill, Logical Think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students  

Park, Min-Jung (Seoul Jongam Middle School)
Jeon, Dong-Ry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28, no.2, 2008 , pp. 111-11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We objectively analysis of teacher recommendation on selection process for scientifically gifted program, by having conducted the test of scientific attitude, process skill, logical think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th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science gifted-education programs, students who were recommended by science teachers as talented in science and students of ordinary classes. In result, both gifted program students and teacher-recommended students scored much higher than ordinary class students in all test fields, bu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ifted-program students and teacher-recommended students. This result signifies that teacher recommendation is a valuable tool for selecting students for a science gifted-education program.
Keywords
identifying scientifically gifted; teacher recommend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노형환 (1998). 공업계 고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교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 백순근 (2004).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교육 연구 및 통계 분석. 교육 과학사-서울
3 소금현 (2000). 중학교 과학 영재 및 일반 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4 이미순 번역 (2007). 렌줄리 박사의 영재교육 시리즈-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 박학사-서울
5 이상법 (2001). 과학영재 선발 문항 성취도의 지역 별 편차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1(1), 185-212
6 전동렬, 김성호, 남경운, 박민정, 손유미, 이근호 (2007). 과학영재 판별과 선행학습. 2006 대학연계 협력 연구 보고서, 서교연 2007-25
7 Birch. J. W (1984). Is any identification procedure necessary?. Gifted Child Quarterly. 28(4), 157-161   DOI
8 Nicholas Colangelo & Gary A.Davis (1997).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9 Renzulli, J. S. (1982). Myth: The gifted constitute 3-5% of the population. Gifted Child Quarterly. 26(1), 11-14   DOI
10 Torrance, E. P. (1984). The role of creativity in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Gifted Child Quarterly. 28(4), 153-156   DOI
11 성태제 (2002). 타당도와 신뢰도. 학지사-서울
12 이상법, 이광필, 최상돈, 황석근 (1999).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선발문항 분석 및 선발방법에 대한 제언. 한국과학교육학회, 19(4), 604-621
13 Joyce VanTassel-Baska, Annie Xuemei Feng & Brandy L.Evans (2007). Patterns of Identification and Performance Among Gifted Students Identified Through Performance Tasks: A Three-Year Analysis.Gifted Child Quarterly. 51(3), 218-231   DOI
14 양태연 (2003).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불안도. 한국영재 교육학회 춘계 학술 대회 발표집
15 전정제 (2003). 전정제의 영재클리닉. 김영사-서울
16 조현주, 김영민 (2006). 학생의 과학적 재능과 흥미에 대한 학생 본인, 학부모,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6(4), 559-567
17 Del Siegle & Teri Powel (2004). Exploring Teacher Biases When Nominating Students for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Quarterly. 48(1), 21-29   DOI
18 한기순, 배미란, 박인호 (2003). 과학영재들은 어떻 게 사고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 23(1), 2003
19 Susan K. Johnsen & James Kendrick(2005), science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PRUFROCK PRESS, INC
20 박민정, 전동렬 (2007). 선행학습과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및 도형 창의력 검사의 상관관계. 새물리, 55(6), 1-11
21 Bonnie Cramond (2005). A Report on the 40-Tear Follow-up of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Alive and Well in the New Millennium. Gifted Child Quarterly. 49(4), 283-291   DOI
22 최호성 (2003). 중등 영재 판별과 교육 프로그램의 비판적 검토. 영재교육학회. 13(5), 1-28
23 조석희, 시기자, 지은림 (1997). 과학영재 판별도구 개발 연구(II)-검사 제작편-.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4 박경희 (2004). 과학창의성 검사도구 개발과 과학영재아의 뇌 기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5 Stenberg, R. J. (2001). Lies We Live By: Misapplication of Tests in Identifying the Gifted. Susan K. Johnsen & James Kendrick(2005), science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PRUFROCK PRESS, INC
26 배덕진 (1999).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 전영석, 신영준, 손정우, 배병일, 동효관, 김규상, 신희관, 홍달식 (2001). 한성과학고등학교 중학생 영재 학급의 학생 선발 과정과 결과 분석. 영재교육학회, 11(2), 71-83
28 신지은 (2002).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창의성 비교 연구-확산적 사고와 과학 창의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9 유진우 (2005). 영재교육기관의 과학영재 학생 선발 방법에 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