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acher difficulties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1초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fficulties in Science Lessons)

  • 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74-8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an implication on teacher education program, by exploring the difficultie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ve with their science lessons. 37 pre-service teachers were requested to write an anecdote about their science lessons during their 4 week practicum. By analyzing these anecdotes, the difficulties were grouped into several categories by the researcher, and then reconfirm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themselve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far more difficulties with practical work (cases: 48), than with content knowledge teaching (cases: 17). Among practical work related difficulties, the most frequent cases were: 1) when they have unexpected result different from scientific theory (cases: 10), 2) when they teach process skill and usage of lab equipments (cases: 8), and 3) when they do not have enough preparation for practical work (cases: 7). Unlike the result of preceding research on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there was no affective aspect problems. These difficulties also can be divided into 'problems' and 'dilemmas'. Whereas 'problems' can be settled by removing obstacles, 'dilemmas', a conflict-filled situation, require choices between competing values or aims. The use of scientific language, the decision on the level and amount of knowledge they teach, and disposal of unexpected experiment results caused such dilemmas in science lessons. The research results imply practical work should be more strengthened in th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both teacher educators and pre-servic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at practical teaching is a complex enterprise accompanying some 'dilemmas'. The role of science teachers as managers of dilemmas could be considered.

  • PDF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과학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and Solutions of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166-18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실행하면서 과학 교사들이 겪은 어려움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수업 및 평가 경험이 있는 과학 교사 15명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과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참여 과학 교사들은 평가 주체 영역에서의 어려움으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시 정확한 평가 불가능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체적인 평가 항목 제시, 학생의 평가 능력 향상을 위한 연습 기회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평가 내용 영역에서 객관적인 평가 기준 부족으로 인한 정의적 영역 평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가 실시 전 학생에게 평가 기준 제시, 교사 간 협의를 통한 기준 선정 등을 제시하였다. 평가 방법 영역의 수행 평가시 어려움으로 관련 자료 및 평가 도구 개발 보급 미흡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평가 결과 영역 중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많은 수의 학생에게 피드백을 해야 하는 부담을 가장 많은 교사들이 선택하였고,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 또는 교사의 수업 시수 감소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평가 결과 서술식 기재의 어려움으로 가장 많은 교사들이 언급한 학생의 특성 파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와 행정 업무 경감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교과 협의회에서는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동료 교사의 이해 부족과 소극적 태도로 인한 어려움이 언급되었는데 꾸준한 토론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개선이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었으며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연수 관련 어려움으로 학생 수 과다 및 시간 부족으로 연수 내용의 현장 적용의 어려움이 언급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교사 스스로의 노력뿐 아니라 제도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성공적 운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충북 소외지역의 영재교육기관 운영에 있어 초등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및 지원 요구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Elementary Teachers in the Management of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s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 최보미;정정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55-7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difficulties teachers face in the management of the elementary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 of Chungbuk province. In this study, rural area was defined that the area where gifted education is difficult to access due to geographical accessibility or where gifted education service is restricted. The participants of the this study were three elementary gifted teachers who manage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is teaching science to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We collected data about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for the management of the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difficulty that teachers expressed was the lack of parental attention and awareness of gifted education. Secon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perceived different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ir area, experience, and environment. Teacher A is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managers, teacher B is the difficulty of student selection, teacher C is the most difficult factor in teacher quality management.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s also led to differences in the support improvements required by gifted class teachers in the rural area. Third, the three teachers commonly referred to difficulties to access due to geographical accessibility, and demanded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gifted class in the rural area and the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the class.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Classes)

  • 이수아;전영석;홍준의;신영준;최정훈;이인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97-10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nd develop any implications which may arise in relation to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and development by investigat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classes. 19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requested to write an anecdotal report regarding their science lessons. 30 science teachers in middle school also answered the same questionnaire. By means of inductive categorical analyzing, the difficulties were grouped into several catego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fficulties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 in their science lessons fall into three categories; 'professional science knowledge(9.8%)',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78.3%)', 'teaching methodology(11.2%)'. (2) Science teachers in middle school experienced similar difficulties. However, distribution differed from tha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 science knowledge(39.0%)',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35.6%)', 'teaching methodology(27.1%)'. (3) The causes of these difficulti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a lack of time to prepare for science classes, insufficient substantial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a lack of adaptive support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 PDF

고등학교 지구 과학에서 야외 지질 조사의 지도 방법 (A Study on the Teaching Plan of Geologic Field Trip in the Earth Science Ecucation, High School)

  • 오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5-52
    • /
    • 1978
  • In order to normalized the Earth Science Education, experiments and geologic field trainings are very important. But it have not carried out on account of many difficulties in current High School of Korea. These difficulties are lack of time, many problems of the text book, heavy teaching load, shortage of facilities and experimental equipments, and poor quality of teacher etc. The practical training of geologic field trip is very important in Earth Science Education. Finally, wirter propose a new teaching plan of geologic field training as follows: 1. The teacher must prepare the guide paper of field geologic training. 2. Subjects of practical training must simplify. 3. The teacher must take a pre-field investigation in order to get the teaching plan and the preparation of practical field training. 4. Let students observe for themselves on this guide, as if they were geologists. 5. The teacher must conclude about practical training after the working.

  • PDF

자생적 온라인 교사 공동체의 질문분석을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관련 어려움 탐색 -인디스쿨의 물리 관련 질문 게시글을 중심으로-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Difficulties on Teaching Science by Analyzing Questions in an Autonomous Online Teacher Community : Focusing on Physics Questions in Indischool)

  • 김윤화;유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3-8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생적 온라인 교사 공동체 인디스쿨에 축적되어 온 과학 교수 관련 질문 게시글을 분석함으로써, 초등교사가 겪는 과학 교수 관련 어려움을 파악했다. 이를 위해, 3~6학년 물리 영역 및 과학 전반에 해당하는 질문 게시글 409개를 초등교사의 탐구 기반 과학 교수 역량을 다룬 Alake-Tuenter et al.(2013)의 틀을 수정 보완한 질문 분석틀로 분석하였고, 과학-SMK와 과학-PCK의 구성요소별 어려움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SMK 질문이 과학-PCK 질문 보다 더 많이 나타났으며, 연도별로는 교육과정이 변화하는 시기였던 2014년과 2015년도에, 단원별로는 렌즈 단원에 대한 질문이 가장 많았다. 과학-SMK 측면에서 4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난 어려움은 렌즈와 전기 단원에 대한 것이다. 렌즈 단원에서는 투명한 물컵 모양의 물체가 렌즈로 작동하는 원리와 볼록렌즈에서 상의 생성 과정 등 과학적 사실과 개념의 적용 등이, 전기 단원에서는 '전류의 흐름 변화에 따른 나침반의 움직임 변화'와 '전구의 직렬연결'에서 예상치 못한 탐구 결과 오류 등이 초등교사가 오랜 기간 겪어온 과학-SMK 측면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과학-PCK 측면에서 4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난 어려움은 과학수업 운영 전반에 대한 것으로, 수업자료 및 학기말 활동구성 아이디어의 요청과 교육과정 운영 지침의 이해 등이 있다. 자생적으로 생성 및 운영되고 있는 인디스쿨의 과학 교수 관련 질문 게시글에서 오랫동안 해결되지 못한 채 반복되고 있는 초등교사들의 실제적인 어려움을 파악해 이를 해결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과학 교수 지원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예비 초등 교사들이 달 관측 활동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교수법적 제안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fficulties in Moon Observations and Their Pedagogical Suggestions)

  • 오필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4호
    • /
    • pp.447-460
    • /
    • 2017
  • This study ask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conduct an inquiry of observing the moon, and analyzed the phenomena observed, difficulties experienced, and pedagogical suggestions by th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nts were 31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science course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As a part of the course, the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the moon for about a month and completed personal journals which described the phenomena they observed,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and the pedagogical suggestions to help elementary students conduct the same inquiry activity. The analysis of the journals reveal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the moon mostly during the evening or night and that they noticed lunar phases, directions, altitudes, and color and brightness more frequently than other phenomena.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related to the observation time, lunar phases, directions, and altitudes, and, reflecting on their own experiences, suggested a variety of pedagogical ideas about these difficulties. The pedagogical suggestions by the preservice teachers also included how to help elementary students keep their interest and perform the moon observation for a rather long period of time. Implications for moon investiga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room and relevant research were discussed.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STEAM Class)

  • 이정민;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588-59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STEAM class by exam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STEAM class and discussing solutions. For this research, 25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City and Gyeonggi-do were asked to write their difficulties in the STEAM class in the open-ended questionnaires. After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data,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one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is richly experienced in STEAM education to find solutions for each type of difficultie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mo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the STEAM class, due to selection of integrated subjects, production of teaching devices and materials, guidance of group activities,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assessment and uncooperative co-teachers. One teacher that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o discuss solutions for teachers' difficulties was solving the problems in various ways. She said that many of her solutions came from her experience and also, knowledge obtained through a participation in the STEAM training or opportunities to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teachers who belong to the STEAM research institution, was highly helpful.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Analysis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Student-Teacher Practice)

  • 강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80-59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들이 교육실습 중 겪는 어려움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56명의 중등 예비 과학 교사들은 교육실습 동안의 일화에 대해 기록하도록 요구받았다.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은 수업지도와 관련해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흥미 유발과 주의 집중, 적절한 발문 구성,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하는 것 등이 특히 어려웠던 것으로 응답했다. 실험 지도와 관련해 예비 과학교사들은 실험 수업 중 학생들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에 대해 노력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생활지도와 관련해 상담 시간이 부족했고 상담 내용이나 수준이 불만족스러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더욱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의 이행 뿐만 아니라 피드백을 통해 꾸준히 개선시켜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사 전문성 계발 기준에 기초해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보다 체계화할 필요성이 있다.

예비 과학교사들이 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내용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Studying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for Teacher Selection Test)

  • 김인환;차정호;김창만;김학범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9-43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이 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내용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우선 중등교사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한 인터넷 카페의 게시판에 2008년 1월부터 2009년 6월 사이에 게시된 질문들의 내용 영역을 분석하였다. 또한, 임용시험을 마친 예비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용 영역 분석에 사용한 평가틀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과 한국과학교육학회에서 개발한 것이었다. 인터넷 카페의 질문을 분석한 결과, '과학철학과 과학사'와 '과학교수학습이론과 수업모형'에 대한 질문이 가장 많았다. 설문 조사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학철학 관련 내용이 가장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과학 교수학습 이론이나 수업모형의 적용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