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수학, 과학, 실과.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부 (2015). 과학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 권용인, 손정주 (2015).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스마트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지구와 달의 운동' 주제를 중심으로. 현장과학교육, 9(1), 1-10.
- 김종희 (2006). 달의 위상 작도 모듈 활용 수업에 의한 고등학생들의 달의 위상 개념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353-363.
- 김찬종, 박현정 (1997). 초등학교 학생들의 빛에 대한 개념과 달의 위상 변화 개념 사이의 관련성: 개념 생태학적 접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1), 173-187.
- 김찬종, 이조옥 (1995). 달의 위상 변화와 빛에 대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사이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17(1), 8-21.
- 김희수, 정지영 (2004). 중학교 과학 '달의 운동' 단원의 상호작용형 WBI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663-673.
- 남정철 (2002). '달의 운동'에 대한 관찰 및 해석의 문제점과 선지식: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명전옥 (2001).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339-349.
- 박지현, 현동걸, 신애경 (2016). 지구와 달의 공전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의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323-340.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3.323
- 변재성, 정재구, 문병찬, 정진우 (2004). 지구와 달의 운둥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19-531.
- 손준호 (2015). 초등학생들의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개념유형과 수업 방법의 제안 및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289-301.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289
- 심기창, 김희수, 정정인 (2004). 인지갈등 수업모형을 적용한 중학생의 달의 운동 개념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5(5), 348-363.
- 우종옥, 이항로, 민준규 (1995). 계통도를 이용한 중.고등학생의 지구와 달의 운동에 관한 개념 유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379-393.
- 윤혜경 (2008).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 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초등과학교육, 27(2), 102-116.
- 이미애, 최승언 (2008). 중.고등학생이 이해하는 달의 위상 변화 모델 분석을 통한 보완 모델 제안. 한국지구과학회지, 29(1), 60-77. https://doi.org/10.5467/JKESS.2008.29.1.060
-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 (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 이용섭, 김순식, 이상균, 남윤경, 주은진, 이혜림 (2011).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천문분야에 대한 개념이해 조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3), 297-304.
- 이용섭, 김윤경 (2016). 소집단 탐구기법을 활용한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 수업이 과학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88-96.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88
- 임성만 (2011). 과학과 교육과정 중 '지구와 우주' 영역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청람과학교육 연구논총, 17(1), 29-38.
- 정남식, 우종옥, 정진우 (1996). 소집단 역할놀이와 토의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천문개념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61-76.
- 정동권 (2016). 웹캠을 이용한 달의 위상 변화 실험 장치개발. 현장과학교육, 10(2), 124-129.
- 정상윤, 손정주 (2013).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지구와 달' 단원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37(2), 359-373.
- 정은영, 홍미영 (2004). 초등학교 과학과 실험 및 관찰 수업 사례에서 나타난 수업의 문제점: 도시 지역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3(4), 287-296.
- 채동현 (1996). 학생들의 달 위상변화의 원인에 대한 개념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5(1), 45-55.
- 채동현 (2008). 새로운 달 위상 모형의 개발과 그 적용. 초등과학교육, 27(4), 385-398.
- 채동현, 최영완 (2002). 달의 운동에 대한 역할놀이 학습이 초등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1(2), 253-262.
- 한신, 정진우, Jeong S. (2015). 초등학교 5학년 '지구와 달' 단원의 스마트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76-86.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76
- Abell, S., Martini, M. & George, M. (2001). 'That's what scientists have to d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during a moon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1), 1095-1109. https://doi.org/10.1080/09500690010025049
- Barnett, M. & Morran, J. (2002). Addressing children's alternative frameworks of the moon's phases and eclip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8), 859-879.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95276
- Baxter, J. (1989).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miliar astronomical ev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 502-513. https://doi.org/10.1080/0950069890110503
- Cid, X. C. & Lopez, R. E. (2010). The impact of stereo display on student understanding of phases of the moon. Astronomy Education Review, 9, 010105-1, 10.
- Cole, M., Wilhelm, J. & Yang, H. (2015). Student moon observation and spatial-scientific reaso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11), 1815-1833. https://doi.org/10.1080/09500693.2015.1052861
- Foster, G. W. (1996). Look to the moon. Science and Children, 34(3), 30-33.
- Ogan-Bekiroglu, F. (2007). Effects of model-based teaching on pre-service physics teachers' conceptions of the moon, moon phases, and other lunar phenomen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5), 555-593. https://doi.org/10.1080/09500690600718104
- Osborne, J. (2015). Practical work in science: Misunderstood and badly used? School Science Review, 96(357), 16-24.
- Parker, J. & Heywood, D. (1998). The earth and beyond: Developing prim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basic astronomical ev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5), 503-520. https://doi.org/10.1080/0950069980200501
- Rivet, A. E. & Kastens, K. A. (2012). Developing a construct-based assessment to examine students' analogical reasoning around physical models in earth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6), 713-743. https://doi.org/10.1002/tea.21029
- Schoon, K. J. (1992).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of earth and space.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0, 209-214.
- Sherrod, S. E. & Wilhelm, J. (2009). A study of how classroom dialogue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geometric spatial concepts related to understanding the cause of moon ph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7), 873-894. https://doi.org/10.1080/09500690801975768
- Stahly, L. L., Krockover, G. H. & Shepardoson, D. P. (1999). Third grade students' ideas about the lunar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2), 159-177.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02)36:2<159::AID-TEA4>3.0.CO;2-Y
- Suzuki, M. (2003). Conversations about the moon with prospective teachers in Japan. Science Education, 87, 892-910. https://doi.org/10.1002/sce.10082
- Trumper, R. (2001a). A cross-age stud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basic astronomy concep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1), 1111-1123. https://doi.org/10.1080/09500690010025085
- Trumper, R. (2001b). A cross-age study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basic astronomy concept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19(1), 97-109. https://doi.org/10.1080/02635140120046259
- Trundle, K. C., Atwood, R. K. & Christopher, J. E. (200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s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633-658. https://doi.org/10.1002/tea.10039
- Trundle, K. C., Atwood, R. K. & Christopher, J. E. (2007a). A longitudinal study of conceptual chang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303-326. https://doi.org/10.1002/tea.20121
- Trundle, K. C., Atwood, R. K. & Christopher, J. E. (2007b). Fourth-grade elementary students' conceptions of standards-based lunar concep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5), 595-616. https://doi.org/10.1080/09500690600779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