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focused assessment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6초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중심평가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for Improving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 전성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16-30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apply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and verify the assessment's effectiveness for improving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in elementary science learning. To achieve the aims of this study, the unit "Action of Electricity" in elementary science text book for 5-6th students was selected, and then 13 process-focused assessments were developed to improve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11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6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it was performed to compare between 60 students on the general assessment and 59 students on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the results of achievement levels on scientific concept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process-focused assessment had higher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specific area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than the general assessment. Second,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can help to form students' scientific concepts as the general assessment. Furthermore,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group was more effective at reducing the non-scientific concept than the general assessment.

초등 과학과 과정중심 평가문항 예시 자료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Exampl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 신정윤;박상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191-209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과정중심평가의 특징이 배포된 과학과 과정중심평가 예시 문항 자료들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리뷰를 통해 과정중심평가의 특징에 대한 분석 관점을 6가지로 추출하였다. 그 분석틀을 이용하여 시도 교육청 및 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 과정중심평가 장학자료의 초등 과학과 평가문항이 과정중심평가의 특징을 어떤 방법으로 반영하고 있는지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과정중심 평가의 특징은 초등 과학과 평가 문항 예시 자료들에 형식적으로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고, 과정중심 평가의 특징이 초등 과학과 평가 문항에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개발된 예시문항들은 기존 과학과 수행평가 문항의 형태와 동일한 유형, 서·논술형 유형, 실험관찰과 유사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형성평가, 수행평가,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재고찰 (Revisited: Formative Assessment, Performance Assessment,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 이지운;노지화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6권4호
    • /
    • pp.515-535
    • /
    • 2020
  •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had newly introduced the term 'process-focused assessment'. The official document, however, did not offer an explicit definition of the new term, but only by virtue of narrative. This has encouraged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to figure out themselves what it is and how it differs from those in use, formative assessment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 particular, in use. In consequence, many versions of interpretation, all of which are not necessarily consistent, have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schools, This, in turn, still has created a chaotic situation carrying out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the meaning of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more explicit by conduct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for implementing it in its intended way.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for the Practi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 이경화;강현영;고은성;이동환;신보미;이환철;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4호
    • /
    • pp.819-834
    • /
    • 2016
  • 수학교육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방안으로서 평가의 개혁은 최근 과정 중심 평가라는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 과정 중심 평가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것이며 정책적으로도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직 개념화가 명확하게 되지 않은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와 그 실행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 최신 교육 평가 이론과 연구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과정 중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조건 등을 탐색하여 그 실행 방안을 모델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 수업 현장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실천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 평가를 통한 과정 중심 평가가 수학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Using Student Self-Assessment o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 문소정;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9-297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과정 중심 평가가 대두됨에 따라 교실에서 과정 중심 평가의 정착 및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안으로 자기평가를 통한 과정 중심 평가를 제안하였고 이를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동질성이 검증된 5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한 후 실험집단에는 자기 평가를 통한 과정 중심 평가를, 비교집단에는 교사 주도의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 평가를 통한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한 수업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실험집단의 정의적 영역은 유의미하게 변화하지는 않았으나 학생들의 소감문과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본 수업을 통해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더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 수학교실에서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의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Process-Focused Assessment for Mathematical Subject Competency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전영주;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99-219
    • /
    • 2019
  • 수학 교실에서 과정중심평가의 실현을 위해서는 수업의 설계자이자 실제적 운영자인 현장 교사가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행하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한 실험 수업을 수행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학생 평가로 강조되고 있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 사례를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학교수학 교육평가에서 과정중심평가가 지니는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였으며, 나아가 초등수학 교육 현장에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2학년 초등수학 교실에서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 수업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실제적으로 살펴보고, 더불어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한 수업에서 각 학생들의 요구와 필요에 부합하는 개별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을 알아보았다는 것이다.

교구 및 공학도구를 활용한 수학적 과정중심 평가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s on Process-Focused Mathematics Assessment Using Manipulatives and Technological Devices)

  • 고상숙;박만구;한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75-69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구 및 공학도구를 활용한 수학적 과정중심의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평가 현황을 파악하고 교구 및 공학도구를 활용한 바람직한 수학적 과정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학 교과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구 및 공학도구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 지역의 초 중등학교 수학교사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수학적 과정중심 평가에 교구나 공학도구의 활용을 허용할 경우 교사들은 연구보고서, 프로젝트, 토론법 등의 다양한 대안 평가 방법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교구나 공학도구를 활용한 수학적 과정중심 평가 방법은 학생들의 학습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동시에 수학적 과정을 강조한 교사의 수업 방법과 교수 활동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면에서 현장에서 대안적 평가 방법이 될 수 있다.

  • PDF

과정 중심 평가가 반영된 백워드 설계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Backward Design Reflecting Process-Focused Assessment on Science Learning Achievement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손준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0-106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과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가 반영된 백워드 설계가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과정 중심 평가와 학습자의 온전한 이해를 추구하는 백워드 설계는 과학 학습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을 중심으로 과정 중심평가가 반영된 백워드 설계를 실시하였고, 성취기준도달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과정 중심 평가를 반영하였다. 둘째, 실험집단 학생들은 과학학업 성취도 검사와 과학학습 동기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과학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과정 중심 평가가 백워드 설계와 연계되어 학교 현장에서 의미 있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수학적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Teachers' Perspectives on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School Mathematics)

  • 정상권;이경화;유연주;신보미;박미미;한수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401-427
    • /
    • 2012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적 문제해결, 수학적 추론, 수학적 의사소통을 구성요소로 하는 수학적 과정 중심의 수학교육을 구현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수학적 과정 중심의 수학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려면, 학교에서 실시하는 학생 평가에 수학적 과정을 적절하게 반영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학적 과정 중심의 평가에 대한 수학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학과 평가 전반에 대한 인식, 정기고사와 수행평가에서 고려한 평가요소와 평가결과 활용 현황, 수학적 과정 구성요소 평가에 대한 인식 및 평가방법에 대한 의견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의 교직경력이나 소속한 학교의 학교급, 도시규모에 따라 교사들의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 평가와 수학적 과정 중심 평가와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국가별 학교 평가혁신 사례분석 (Analysis of Process-focused, Innovative Assessment Cases in Australia, Singapore, the U.S.A. and Korea)

  • 강지혜;이지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3-15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novative adaptation of IT systems worldwide to support process-focus assessment. To this end, the study presents four cases from Australia, Singapore, the U.S.A., and Korea to inform educational policy and technolog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Based on comparing the four chosen cases as benchmarks, the study concluded that IT systems and technologies can expedite and improve school interventions to enhance student learning in terms of time and quality. Also, educational big data and learning analytics can be used to systematically monitor and communicate individual student's progress among school stakeholders (i.e., teachers, students, parents, and administrators). Lastly, the study made some suggestions to support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schools as following : 1) A more evidence-based, systems approach is needed to integrate the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to bridge the gap between educational policy and school practice; 2) It is critical to create ICT-friendly school environments so that meaningful data could be collected, analyzed, and stored from individual students and school units; 3)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s another area that needs special considerations and support to successfully implement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