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Adolescents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7초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맥락요인: 가족 소득계층별 차이를 중심으로 (Social Contextual Factors Affecting Career Barri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differences by Family Income Class)

  • 김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36-545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가족 소득계층에 따른 진로장벽 차이를 검토하고, 주요 사회맥락인 가족환경과 학교환경, 이웃환경, 이중문화적응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계층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6차년도 자료 1,265 사례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은 소득계층에 따라 진로장벽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하위계층 청소년의 진로장벽 수준이 가장 높았다. 둘째, 소득계층별로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맥락요인 분석결과, 하위계층 청소년은 어머니의 관여부족과 학업적응이, 중위계층 청소년은 가족지지와 학업적응, 교우관계, 학교내 도움을 주는 어른 유무가, 상위계층 청소년은 어머니의 진로간섭과 학업적응이 유의미한 사회맥락요인이었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 진로장벽에 대한 개입방안과 추후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다문화 가정의 부모-자녀 간 관계 특성에 따른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차이 (Psychosocial Adaptat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4-5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 어머니와의 관계의 질에 따라 차별적인 특성을 갖는 유형이 있는지 확인하고, 차별적 특성을 갖는 유형에 따라 자녀의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다문화가족정체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의 5,540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 일원분산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다문화 가정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 어머니와의 관계의 질에 따라 '아버지 하-어머니 중 집단(6.5%)', '아버지 중-어머니 하 집단(2.0%)', '아버지 하-어머니 하 집단(18.6%)', '아버지 중-어머니 중 집단(31.2%)', '아버지 상-어머니 상 집단(41.7%)'의 잠재계층이 확인되었다. 둘째, 일원분산분석 결과 5개 잠재계층에 따라 자녀의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다문화가족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상-어머니 상 집단(41.7%)'이 나머지 4개 잠재계층보다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다문화가족정체성 수준이 높았으며, '아버지 중-어머니 중 집단(31.2%)'이 '아버지 하-어머니 중 집단(6.5%)', '아버지 중-어머니 하 집단(2.0%)', '아버지 하-어머니하 집단(18.6%)'보다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 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을 높기 위해서는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와의 관계의 질을 높여 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문화 청소년과 비다문화 청소년의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 경험의 비교 (Comparison of Unsafe Sex Experience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Korean Adolescents)

  • 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9-4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unsafe sex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f 3,029 respon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had sex i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18. Weighted percentages and simpl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AS 9.2. Results: As a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the odds ratio of unsafe s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the related variables. Among the covariates, the odds of unsafe se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ys (AOR: 1.34; 95% CI: 1.08~1.66), those who did not live with their family (AOR: 1.68; 95% CI: 1.17~2.39), those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AOR: 1.33; 95% CI: 1.02~1.73), binge drinkers (AOR: 1.61; 95% CI: 1.29~2.02), smokers (AOR: 1.37; 95% CI: 1.06~1.78), and those who did not receive sex education (AOR: 1.59; 95% CI: 1.20~2.11).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safe sex experience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study also shows the positive effect of school sex education on safe sex in teenag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ex education for male students, students not living with their family,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binge drinkers, and smokers.

청소년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효능감 (Perceptions and Efficacy of the Multiculture Among Adolescents)

  • 임주용;오윤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0호
    • /
    • pp.143-157
    • /
    • 2010
  • This study performed to develop a basic framework of adolescent's perception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impacts of cultural exchange on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368 students from four high schools in the Seoul area. The data were analysyed by ANOVA, Duncan-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perception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was the highest among those who believed the perceptions would increase, while the lowest among those believing to decreas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ought about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ther country people, the multi media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knowledge about the multiculture, and thought about an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erceptions about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children in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impacts of cultural exchange on cultural diversity, and efficacy of the multicultural environment.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한국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서 특성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in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 안인영;서지영;이동윤;이소진;차보석;이철순;김봉조;박철수;최재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4호
    • /
    • pp.306-312
    • /
    • 2016
  • Objectives: We aimed to compare the smoking behaviors in adolescents from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ir smoking behavior and number of suicide attempts. Method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The T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differences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adolescents in the multicultural and monocultural families were analyzed through the ${\chi}^2$-test, and a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moking behavior and number of suicide attempts of the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ss involved an analysis using a complex sample design.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eighted rates of the current smoking behavior (13.3% vs. 8.4%, p<0.001), experience of violence (6.8% vs. 2.3%, p<0.001), and number of suicide attempts (5.4% vs. 2.7%, p<0.001) between the adolescents from the multicultural and monocultural families. In both groups, the current smoking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suicide attempts (multicultural families OR=6.5, p=0.005; monocultural families OR=1.5, p<0.001).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current smokers in the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monocultural families and that current smoking behavior is related to the number of suicide attempts in both groups, after adjustment for age, sex, socioeconomic status, academic achievement, current smoking behavior, depressive mood and experience of violence.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Monitoring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diating Role of Ego-Resilience)

  • 임양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1-55
    • /
    • 2019
  • 본 연구는 어머니의 한국어능력을 통제한 상황에서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다문화 가정의 중학교 1학년 자녀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 청소년 패널자료 중 어머니가 외국인이고 아버지가 한국인인 국제결혼가정 중학교 1학년 자녀의 자료(1,325명)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 자료에 대해 IBM SPSS 25.0 및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일원분산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부모의 지지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모 감독의 영향력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부모의 지지 및 감독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모두 매개함으로써 부분 매개효과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 다문화 가정 중학교 1학년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부모의 양육행동 및 자아탄력성의 영향이 규명됨에 따라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수준을 높이고, 학교생활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이 연계한 부모교육 실시의 필요성 및 가정과 교과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A Convergent Study of Variables Influencing on Suicide Ideat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y)

  • 김민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15-324
    • /
    • 2019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과 사회관계적 요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186명의 다문화가족 청소년으로 자료분석은 SPSS 23. 프로그램에 의해 기술통계,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자존감이 3.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무망감이 3.34, 차별경험 3.14, 학교폭력경험 2.78, 자살생각이 1.98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살생각에 자존감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유의미한 정적상관계를 보였다. 셋째,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망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많은수록, 차별경험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무망감을 비롯한 심리적 요인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차별경험 등 사회관계적 요인의 중요성을 보여주었으며 결과적으로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감과 교우관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ody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esion and Friendship)

  • 맹미숙;천미정;정영심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27-134
    • /
    • 2021
  •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감과 교유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다문화패널(MPAPS) 중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7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표본은 조사당시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1,146명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더불어 우울감과 교우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감과 교우관계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우울감 감소와 원만한 교우 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실천적 함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A Longitudinal Study o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Kim, Hyun-Joo;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7호
    • /
    • pp.153-160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utual influences betwee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Research problems fo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stable over time? Second, what is the longitudinal impact of school adjustmen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ver time? Third, what is the longitudinal impa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school adjustment over tim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 problems by apply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autoregressive model of school adjus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uture time point and is stable over time. Second, the autoregressive mod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uture time point and is stable over time. Third, cross-lagged effect from school adjustment to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t a later time, and is stable over time. Fourth, cross-lagged effect from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o school adjust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tim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re was no change with tim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ovid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 three - year term data over time.

다문화 가족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건강행위와 건강상태의 비교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by Gender Difference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 김은경;유하나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1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gender. Methods: The study used raw data of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performed in 2016. The 12th survey was conducted on 67,983 adolescents in 400 middle schools and 400 high schools. Among them, 759 adolesc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ir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conomic status, smoking experience, age of drinking onset, vigorous physical activity, soft drink consumption, toothbrushing after lunch, handwashing with soap before eating at school and eating at home and after coming home, BMI, subjective health status, stress, depression, and allergic rhinitis according to gender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For boy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ge and the age of drinking onset,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economic status, and between the age of smoking initiation and the age of drinking onset.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conomic status and stress and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tress. For girls, ag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the age of drinking onset, BMI, and stress and economic statu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the age of smoking initia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lso, the age of smoking initi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age of drinking onset and BMI. Lastly,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ge and economic status, between ag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ge of smoking initiation, economic status and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tres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planning health interventions for boys and girls in multicultural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