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2.536

Social Contextual Factors Affecting Career Barri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differences by Family Income Class  

Kim, Youngmi (동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career barri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family income clas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of social contextual factors affecting career barriers. A total of 1,265 cases from the sixth wav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adolesc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rier barriers by income class. Second, low-income class adolesce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lack of mother involvement and academic adjustment, and middle-income class were affected by family support, academic adjustment, peer relationships, and adults helping at school.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 on career barri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Keywords
Multicultural Adolescent; Career Barrier; Social Contextual Factor; Income Cla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영미, 현안나, "다문화청소년의 맥락적 요인과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 및 성별간 다집단분석," 학교사회복지, 제49호, pp.311-338, 2020.
2 이아라, 이주영, 손보영, "다문화 청소년이 경험하는 진로장벽에 대한 질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5권, 제11호, pp.35-64, 2018.
3 김성경,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의 경로모형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51권, pp.23-46, 2015.
4 박세정, "소득계층에 따른 시간빈곤 결정요인 분석," 보건사회연구, 제40권, 제1호, pp.206-237, 2020.   DOI
5 박호준, 박정민, "가구의 소득, 자산, 부채수준이 부부폭력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 행위자-파트너 의존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2012회 한국복지패널대회 학술대회 자료집, pp.9-25, 2019.
6 김광혁, "아동‧청소년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가족소득의 수준별 영향의 차이," 한국청소년연구, 제21권 제2호, pp.35-65, 2010.
7 선미정, 전종설, "생태체계 요인이 청소년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가구소득수준별 집단차이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41권, pp.175-194, 2018.
8 김근영, 곽금주,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청소발달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 "청소년학연구" 논문 개관을 통해 본 과제와 제언,"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1호, pp.269-297, 2015.
9 이지민, 오인수, "다문화가정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 및 애착이 진로장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제44권, 제3호, pp.193-216, 2013.
10 R. W. Lent, S. D. Brown, and G. Hackett,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No.1, pp.36-49, 2000.   DOI
11 L. S. Gottfredson, "Using Gottfredson's Theory of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in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In S. Brown and R. W. Lent(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John Wiley & Sons, pp.71-100, 2004.
12 박은정, 이유리, 이성훈, "부모의 소득계층별 청소년의 사회자본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5호, pp.237-263, 2016.
13 김재희,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교육활동 참여 및 만족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소득계층별 비교를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제22권, 제1호, pp.75-109, 2019.
14 류성창, 김재우, 이윤옥, "다문화학생의 진로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교육문화연구, 제22권, 제6호, pp.451-481, 2016.
15 이순희, "대학생의 심리적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19호, pp.23-44, 2017.
16 김지연, 이윤희, "다문화청소년 진로발달 연구동향과과제: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2009-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19호, pp.1205-1230, 2019.
17 J. L. Swanson and M. B. Woitke,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 of Career Assessment, Vol.5, pp.443-462, 1997.   DOI
18 D. E. Super, "A Life-Span, Life-Space Perspective on Convergence."In M. L. Savickas and R. W. Lent(eds.), Convergence in Career Development Theories, pp.63-74,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94.
19 원지영, "가구소득과 진로지도 및 상담경험이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638-649, 2018.   DOI
20 H. Holloway-Friesen, "Acculturation, Enculturation, Gender, and College Environment on Perceived Career Barriers among Latino/a College Students," J. of Career Development, Vol.45, No.2, pp.117-131, 2018.   DOI
21 유비, 김기현, "한국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한국인 부모가정)의 진로정체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제1호, pp.5-29, 2015.
22 선혜연,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발달 연구 동향," 초등교과교육연구, 제22권, pp.15-30, 2015.
23 M. J. Heppner and A. Jung, "Gender and Social Class: Powerful Predictors of a Life Journey," in W. B. Walsh and M. L. Savickas, and Hartung,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4th), pp.81-102, Routledge, 2013.
24 N. Schaefer-McDaniel, "Neighborhood Stressors, Perceived Neighborhood Quality, and Child Mental Health in New York City," Health & Place, Vol.15, pp.148-155, 2009.   DOI
25 김명숙, 이미현, "다문화가정 부모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pp.19-34. 2019.
26 김은혜, 노충래,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한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매개효과, 다집단분석," 한국아동복지학, 제68호, pp.87-107, 2019.
27 J. Dietrich and B. Kracke, "Career-specific Parental Behaviors in Adolescents' Development," J. of Vocational Behavior, Vol.75, No.2, pp.109-119, 2009.   DOI
28 손은령, "진로선택과정에서 지각된 진로장벽의 역할," 상담학연구, 제5권, 제3호, pp.623-635, 2004.
29 서정아, "가족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4권, 제1호, pp.135-164, 2013.
30 김민선,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들의 학업적응 변화와 관련요인 분석: 한국어능력, 성취동기, 진로장벽을 중심으로," 문화교류연구, 제8권, 제4호, pp.251-271, 2019.
31 전영주, 박미화,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제7권, 제2호, pp.23-37, 2018.
32 김민경, "다문화청소년의 진로발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제13권, 제2호, pp.121-134, 2015.
33 홍지선, 계은경, "여성 진로장벽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과제: 진로발달단계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7권, 제3호, pp.225-250, 2016.
34 이혜미, 김유미,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의식발달의 관계: 성취동기와 진로관련 부모행동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10호, pp.665-689, 2019.
35 전영주, 박미화,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제7권, 제2호, pp.23-37, 2018.
36 남부현, 최충옥,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발달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pp.117-137, 2012.
37 양계민, 윤민종, 신현옥, 최홍일,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IV: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